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Ⅲ. 간호사정
(1) 현병력
(2) 과거력
(3) 가족력
(4) 사회심리력
(5)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건강사정
(6) 진단적 검사
(7) 특수검사
(8) 약물치료 현황
(9) 기타치료 현황
(10) Critical pathway
Ⅳ. 간호과정 (3개)
- 신체 기동성 장애
- 낙상의 위험
- 수면 양상 장애
Ⅴ. 참고문헌
Ⅱ. 문헌고찰
Ⅲ. 간호사정
(1) 현병력
(2) 과거력
(3) 가족력
(4) 사회심리력
(5)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건강사정
(6) 진단적 검사
(7) 특수검사
(8) 약물치료 현황
(9) 기타치료 현황
(10) Critical pathway
Ⅳ. 간호과정 (3개)
- 신체 기동성 장애
- 낙상의 위험
- 수면 양상 장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더라도 부상 입을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교육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환자 및 간병인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시행한다.
야간에 어두운 환경에서 화장실을 가려고 하는 것은 낙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인이므로, 야간에 간병인이 환자를 도울 수 없는 상태라면, 간호사를 부를 수 있는 호출벨의 위치와 사용법에 대해 안내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간호수행
1. 6시간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날짜
시간
BP
PR
RR
BT
SpO2
5/25
06:00
12070
75
17
36.8°
97%
12:00
130/80
81
20
37.1°
98%
18:00
130/70
83
18
37.1°
98%
2.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 명료함
3. 낙상평가도구, 근력 사정 등의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대상자의 근력 평가, 낙상 위험을 사정하였다. -> 5/22 Morse fall scale 65점 / 5/25 Morse fall scale 80점 / Lt. leg : Splint 적용 상태
4. 하루에 한번씩 대상자의 침상 주변을 살펴, 낙상 점검을 실시하였다.
-> 필요한 물건은 가까이 위치시키고, 장애물이 될 물건들은 멀리 위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
치료적 간호수행
1. 낙상 예방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 대상자 침대에 낙상주의 팻말과 입원 날짜에 낙상 스티커가 부착되어있음
-> 바닥이 건조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함
-> 호출벨은 대상자의 손이 닿는 범위 내에 위치되어 있음
교육적 간호수행
1. 환자 및 간병인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시행하였다.
-> 침대 고정 및 side rail을 고정할 것
-> 취짐 전 소변을 보도록 안내함
-> 환자에게 간병인이 없는 야간에 도움이 필요하면 호출벨을 눌러달라고 안내함
-> 사이즈가 알 맞고, 미끄러지지 않는 편안한 신발을 신고 활동하도록 함
간호평가
단기
대상자는 하루 안에 낙상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 최소 2가지 이야기하였다. (달성)
-> side rail 고정 방법을 알고 있다.
-> 간병인이 없으면 호출벨을 눌러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해야함을 안다.
장기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낙상을 하지 않았다. (부분 달성)
-> 5월 30일 오전까지만 관찰할 수 있었고, 퇴원 날인 6월 3일까지는 지켜볼 수가 없음. 그러므로, 관찰 가능한 5월 30일 오전까지는 낙상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부분 달성됨
#3. 통증으로 인한 수면 양상 장애 (2023.05.24.)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욱씬거려서 잠을 못자겠네”
객관적 자료
진단명 Septic arthritis 화농성 관절염
NRS 4점 (지속적으로 뻐근하고 욱신거림)
5/22 Arthroscopy knee 무릎 관절경술
5/24 QUETAPIN TAB 25mg가 경구투여됨
간호진단
통증으로 인한 수면 양상 장애
간호목표
단기
대상자는 2일 이내 8시간 이상 잠을 잘 수 있다.
장기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수면장애로 인한 불편함이 사라질 것이다.
진단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계획
통증의 정도와 양상에 대해 사정한다.
1.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알맞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확인한다.
2. 환자가 낮잠은 얼마나 자는지, 저녁에는 숙면을 몇시간 동안 하는지에 대해 사정하여 수면양상에 대해 파악하고, 필요한 중재를 취할 수 있다.
치료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취침 전 읽을 거리를 제공하거나, 목욕, 간단한 음식 및 음료, 클래식 음악 틀어주기 등 일상적인 수면 보조방법을 제공한다.
수면 보조방법을 제공해주어, 신경을 통증에만 두지 않도록하며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2. 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면제를 투여한다.
2. 비약물 요법인 수면 보조방법으로도 대상자가 저녁에 수면을 이루지 못하며 깨어있을 때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면제를 투여할 수 있다.
교육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대상자에게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식이에 대해 교육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권장한다.
자기 전, 따뜻한 우유 한잔이나 바나나, 호두, 콩류 등을 권장하여 수면을 유도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간호수행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와 양상에 대해 확인하였다.
-> NRS 통증 점수 4점 / 지속적으로 뻐근하며 욱신거림
대상자가 낮잠을 얼마나 잤는지, 하루의 총 수면시간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수면양상을 파악하였다. -> 낮잠 x / 총 수면시간 4~5시간
치료적 간호수행
1. 취침 전 읽을 거리를 제공하거나, 목욕, 간단한 음식 및 음료, 클래식 음악 틀어주기 등 일상적인 수면 보조방법을 제공하였다. -> 수면시간에 클래식 음악을 들려주며 마음을 안정시켜, 신경이 통증으로만 집중되지 않도록 케어하였다.
2. 비약물요법으로도 대상자가 저녁에 수면을 이루지 못하며 괴로워하고 있어, 약물요법인 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면제를 제공하였다. -> QUETAPIN TAB 25mg 투여함
교육적 간호수행
자기 전 따뜻한 우유 한잔이나 바나나, 호두, 콩류 등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식이에 대해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교육하였고, 섭취할 수 있도록 권장하였다. -> 바나나 먹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평가
단기
대상자는 2일 이내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였다 (달성) -> 5/26 수면시간 8시간
장기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수면장애로 인한 불편함이 사라졌다. (부분 달성)
-> 5월 30일 오전까지만 관찰할 수 있었고, 퇴원 날인 6월 3일까지는 지켜볼 수가 없음. 그러므로, 관찰 가능한 5월 30일 오전까지 수면 장애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하시지 않았기에 부분 달성되었다고 판단함
Ⅴ.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대한 정형외과학회 https://www.koa.or.kr/info/index_1_8.php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13명(2013). 현문사
쉽게 내리는 간호진단. 김정애 박영선 공저(2015). 수문사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성인간호/여성간호. 김성태(2019). 우리의학서적
교육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환자 및 간병인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시행한다.
야간에 어두운 환경에서 화장실을 가려고 하는 것은 낙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인이므로, 야간에 간병인이 환자를 도울 수 없는 상태라면, 간호사를 부를 수 있는 호출벨의 위치와 사용법에 대해 안내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간호수행
1. 6시간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날짜
시간
BP
PR
RR
BT
SpO2
5/25
06:00
12070
75
17
36.8°
97%
12:00
130/80
81
20
37.1°
98%
18:00
130/70
83
18
37.1°
98%
2.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 명료함
3. 낙상평가도구, 근력 사정 등의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대상자의 근력 평가, 낙상 위험을 사정하였다. -> 5/22 Morse fall scale 65점 / 5/25 Morse fall scale 80점 / Lt. leg : Splint 적용 상태
4. 하루에 한번씩 대상자의 침상 주변을 살펴, 낙상 점검을 실시하였다.
-> 필요한 물건은 가까이 위치시키고, 장애물이 될 물건들은 멀리 위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
치료적 간호수행
1. 낙상 예방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 대상자 침대에 낙상주의 팻말과 입원 날짜에 낙상 스티커가 부착되어있음
-> 바닥이 건조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함
-> 호출벨은 대상자의 손이 닿는 범위 내에 위치되어 있음
교육적 간호수행
1. 환자 및 간병인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시행하였다.
-> 침대 고정 및 side rail을 고정할 것
-> 취짐 전 소변을 보도록 안내함
-> 환자에게 간병인이 없는 야간에 도움이 필요하면 호출벨을 눌러달라고 안내함
-> 사이즈가 알 맞고, 미끄러지지 않는 편안한 신발을 신고 활동하도록 함
간호평가
단기
대상자는 하루 안에 낙상예방을 위한 방법에 대해 최소 2가지 이야기하였다. (달성)
-> side rail 고정 방법을 알고 있다.
-> 간병인이 없으면 호출벨을 눌러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해야함을 안다.
장기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낙상을 하지 않았다. (부분 달성)
-> 5월 30일 오전까지만 관찰할 수 있었고, 퇴원 날인 6월 3일까지는 지켜볼 수가 없음. 그러므로, 관찰 가능한 5월 30일 오전까지는 낙상이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부분 달성됨
#3. 통증으로 인한 수면 양상 장애 (2023.05.24.)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욱씬거려서 잠을 못자겠네”
객관적 자료
진단명 Septic arthritis 화농성 관절염
NRS 4점 (지속적으로 뻐근하고 욱신거림)
5/22 Arthroscopy knee 무릎 관절경술
5/24 QUETAPIN TAB 25mg가 경구투여됨
간호진단
통증으로 인한 수면 양상 장애
간호목표
단기
대상자는 2일 이내 8시간 이상 잠을 잘 수 있다.
장기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수면장애로 인한 불편함이 사라질 것이다.
진단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계획
통증의 정도와 양상에 대해 사정한다.
1.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알맞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확인한다.
2. 환자가 낮잠은 얼마나 자는지, 저녁에는 숙면을 몇시간 동안 하는지에 대해 사정하여 수면양상에 대해 파악하고, 필요한 중재를 취할 수 있다.
치료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취침 전 읽을 거리를 제공하거나, 목욕, 간단한 음식 및 음료, 클래식 음악 틀어주기 등 일상적인 수면 보조방법을 제공한다.
수면 보조방법을 제공해주어, 신경을 통증에만 두지 않도록하며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2. 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면제를 투여한다.
2. 비약물 요법인 수면 보조방법으로도 대상자가 저녁에 수면을 이루지 못하며 깨어있을 때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면제를 투여할 수 있다.
교육적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대상자에게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식이에 대해 교육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권장한다.
자기 전, 따뜻한 우유 한잔이나 바나나, 호두, 콩류 등을 권장하여 수면을 유도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간호수행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와 양상에 대해 확인하였다.
-> NRS 통증 점수 4점 / 지속적으로 뻐근하며 욱신거림
대상자가 낮잠을 얼마나 잤는지, 하루의 총 수면시간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수면양상을 파악하였다. -> 낮잠 x / 총 수면시간 4~5시간
치료적 간호수행
1. 취침 전 읽을 거리를 제공하거나, 목욕, 간단한 음식 및 음료, 클래식 음악 틀어주기 등 일상적인 수면 보조방법을 제공하였다. -> 수면시간에 클래식 음악을 들려주며 마음을 안정시켜, 신경이 통증으로만 집중되지 않도록 케어하였다.
2. 비약물요법으로도 대상자가 저녁에 수면을 이루지 못하며 괴로워하고 있어, 약물요법인 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면제를 제공하였다. -> QUETAPIN TAB 25mg 투여함
교육적 간호수행
자기 전 따뜻한 우유 한잔이나 바나나, 호두, 콩류 등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식이에 대해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교육하였고, 섭취할 수 있도록 권장하였다. -> 바나나 먹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평가
단기
대상자는 2일 이내 8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였다 (달성) -> 5/26 수면시간 8시간
장기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수면장애로 인한 불편함이 사라졌다. (부분 달성)
-> 5월 30일 오전까지만 관찰할 수 있었고, 퇴원 날인 6월 3일까지는 지켜볼 수가 없음. 그러므로, 관찰 가능한 5월 30일 오전까지 수면 장애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하시지 않았기에 부분 달성되었다고 판단함
Ⅴ.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대한 정형외과학회 https://www.koa.or.kr/info/index_1_8.php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13명(2013). 현문사
쉽게 내리는 간호진단. 김정애 박영선 공저(2015). 수문사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성인간호/여성간호. 김성태(2019). 우리의학서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