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문학의이해 ) The Scarlet Letter Ch 11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문학의이해 ) The Scarlet Letter Ch 1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작가 소개
II. 들어가며
III. 자유와 독립적인 여성
IV. 결론
V. 참고문헌

본문내용

던 시기 속 디민스데일의 사회적 위치가 자신과 달랐음을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그녀는 디민스데일을 향한 원망과 분노보다는 현재 자신의 삶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어떻게 해야하는지 고민하기 시작한다. 특히, 자신의 아이가 7살이 되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달으며 디민스데일을 향한 진심 어린 위로와 사랑을 전달한다. 그리고는 자신이 현재 살아왔던 삶에 대해 집중하고 여성인 자신과 또 다른 여성으로 성장할 아이에 대한 가르침에 대한 고민도 담긴다. 그리고는 자신의 역할을 곰곰이 살펴보며 자신의 삶이 이전보다는 나아질 희망을 기대하며 강인한 어머니, 여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IV. 결론
지금까지 본인은 『주홍글자』(The Scarlet Letter, 1850)의 13장 ‘Another View of Hester’를 정리하여 주인공 헤스터의 감정과 내면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해당 문학은 17세기 뉴잉글랜드에서 일어난 사랑과 배신, 죄와 벌 등의 주제를 다루며 기존의 전통적인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인간을 조명하고 여성의 사회적 인식을 바꾸는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엄격한 도덕과 종교의 규범, 개인의 자유와 삶의 의미가 충돌하고 있으며 이를 헤스터라는 인물을 통해 작가는 언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13장에서의 내용을 통해 그녀가 얼마나 강인한 존재로 뉴잉글랜드의 사회 속에서 살고 있었는지, 어떻게 버텼으며 노력했는지 알 수 있었다. 특히 사회적인 혐오와 차별 그리고 비판 속에서 자신의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의 지혜와 규범이 언제나 옳지 않다는 것을 언급하며 자신이 선택한 삶에 대한 책임감에 대한 강조, 죄의 산물로 여겨질 수 있었던 딸 아이에 대한 마음과 감정들에 대해 언급하기 시작한다. 이 모습은 청렴하고 깨끗해야만 하는 여성의 모습이 아닌 죄에 대한 직면하기와 여성으로서 당연히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풀어내면서 자신의 인간성, 더 나아가 여성의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잇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작가는 13장에서 죄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A’라는 낙인을 빛과 긍정적인 이미지로 변화시키며 헤스터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음을, 여성 스스로 자신의 위치를 회복하고 경멸에서 영광으로 변화시켰음을 발견할 수 잇다. 이러한 작가의 문체는 종교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인식하고 또 사유해야하는지 고민해 볼 부분이라고 판단한다.
V. 참고문헌
호손 (저), 이영준 (역). 『주홍글자』. 열린책들, 2010.
강은경. 〈The Scarlet Letter〉의 미국 예술적 전통성과 호손의 상징주의. 예술사와 비평, 2004.
김진아. 호손의 〈주홍글자〉와 〈검은 장미〉에 나타난 여성성상 연구. 인문과학연구, 2015.
박종수. 〈주홍글자〉에 나타난 주요 인물들의 사회적 결부성. 미국소설연구, 2011.
이병래. 성경적 인물들로부터 본 호손의 〈주홍글자〉의 심리 분석. 기독교문학연구, 2013.
전선하. 환영의 땅에서 : 호손과 〈주홍글자〉. 인문과학, 2015.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9.11
  • 저작시기202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231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