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Ⅰ. 서론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P.
Ⅳ. 간호과정.......................................................P.
- 간호사정.......................................................P.
- 간호진단.......................................................P.
Ⅴ. 결론.......................................................................P.
Ⅵ. 참고문헌..............................................................P.
Ⅱ. 연구기간 및 방법
Ⅲ. 문헌고찰.......................................................P.
Ⅳ. 간호과정.......................................................P.
- 간호사정.......................................................P.
- 간호진단.......................................................P.
Ⅴ. 결론.......................................................................P.
Ⅵ. 참고문헌..............................................................P.
본문내용
2시간마다 RN선생님과 함께 체위변경을 해주어 한 곳이 오랜 시간동안 압 박받는 것을 예방하였다. (6/20-6/22까지 수행.)
▶욕창방지를 위한 침상자세 요령
2. 체위변경 시 욕창이 생기기 쉬운 등, 엉덩이, 꼬리뼈, 날개 뼈, 발 뒤꿈치 등을 손을 타진하듯이 모아서 부드럽게 자극이 가지 않도록 마시지하여 혈 액순환을 촉진시켜주었다.
3. 체위변경 시 & Bed making을 할 때마다 옷과 침구의 주름을 펴서 편평하 게 만들어 주었다.
4. Air 매트리스를
적용하였다.
5. 욕창상처부위 피부는 소독한 후 건조하게 유지시켰고, 대변을 보았을 경우 즉시 기저귀를 교환하였다.
6. 쾌적하고 시원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실내 온도 26도, 실내습도 40%유지하였음.
7. 처방받은 데노간을 투약하여 발열으로 인한 발한을 통한 피부의 습도가 올라가는 것을 예방하였다.
<교육적 수행>
1. 압력과 수분은 피부통합성에 손상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교육하였다.
11. 엉덩이나 꼬리뼈 등, 뼈의 돌출부위에 욕창이 자주 발생함을 교육하였 다.
12.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c가 풍부한 식이를 제공하도록 교육하였고 병원 내 치료식이를 잘 이행하라고 교육하였다.
평가
1. 대상자의 피부는 건조하고 위생적으로 잘 유지되었다.
2.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욕창 위험도 사정 결과 11점 그대로 유지하였고 향후 더 지켜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 보호자는 욕창예방의 중요성에 대하여 말하였다.
날짜 : 20XX.OO.OO 요일 / 진단명 : Intracerebral Hemorrhage
간호진단 4) 신경학적 손상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1. 진단명 : Intracerebral Hemorrhage
2. 수술명 : craniectomy(Lt)
G2
G2
G2
G2
3. LOC : STUPOR(full sedation 상태임.)
4. 근력의 단계 다음과 같으므로 스스로 체위변 경, 운동 등 신체활동이 불가능한 상태.
5. 대상자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모습 관찰되고, 가끔씩 강직이 있어 튕기듯이 몸이 심하게 튕기는 것 관찰됨.
6. 현재 양 손 사지 억제대 적용중임.
7. 침상 가에 걸쳐서 누워계시는 모습 관찰됨.
Hb
14-17.5 g/dl
▼11.1
▼10.3
8. 혈액 검사 상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게 나옴.
9. 낙상 위험성 사정 도구 결과 18점/34점
(bobath memorial hospital fall risk assessment scales 사용.)
10. GCS 상 운동기능 점수 1점.
간호목표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Mental이 Stupor에서 Drowsy로 바뀔 것이다.
2. 대상자는 근력의 단계 2/2/2/2점에서 3/3/3/3 점으로 증가할 것이다.
<장기목표>
1.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매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Hb수치를 F/U한다.
3.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한 다.
<진단적 계획>
활력징후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불안정한 수치를 미리 알고 어지러움 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빈혈로 인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3. 낙상요인과 낙상유발요인을 파악하여 미 리 조치를 취하여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 이다.
<치료적 계획>
1. 라운딩을 자주 하면서 SIDE RAIL이 올려 져 있는지 확인한다.
2.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3. close observation을 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를 자주 관찰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특히 수면 시 몸부림으 로 인해 떨어지지 않도록 SIDE RAIL을 올려준다. 낙상, 부딪힘, 넘어짐 등의 사 고로 인한 신체적 손상을 방지하고, 환자 가 앉고 일어설 때 안전바 역할을 해주 기 때문이다.
2. 주변에 상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한 물 등을 제거하여 물리적 위험을 감소시키기 함이다.
3. 중환자실은 24시간 보호자가 상주할 수 없으므로 담당간호사가 대상자를 close observation하여 강직 시 또는 back care& positiion change를 시행할 때 혹 시 모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보호자에게 면회 시 대상자의 억제대를 풀지 않도록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면회 시 침상 side rail을 건들지 않도록 교육한다.
<교육적 계획>
1-2. 대상자를 컨트롤하고 보호하고 있는 장치를 해제할 경우 생길 수 있는 미연 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수행
<진단적 수행>
1.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활력징후를 매 1시간마다 측정하였고, 대 상자가 강직을 보일 때 맥박 수가 100회 이상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b
14-17.5 g/dl
▼11.1
▼10.3
2. Hb수치를 사정하였고 f/u결과 대상자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았으므로 좀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였다.
3.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하였다. (O/OO-6/22일까지 시행.)
낙상유발요인 ▶ 대상자의 운동능력이 저하되어 있고 강직이 자주 일어남
▶ 혈압하강제, 진정제 등 투약중임.
G2
G2
G2
G2
▶ 대상자 현재 mental : stupor
▶ 대상자 현재 근력의 단계
<치료적 수행>
1. 라운딩을 자주 하면서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였고 항상 올려 져있었다.
2. 주변에 대상자에게 상해를 줄 수 있는 위험한 물건을 정리하고 낙상예방 스티커를 붙이고 억제대를 제공하였으며 침상난간을 올려놓고 대상자를 진 정시켰다.
3. 각 듀티마다 close observation을 하였고 면회시간에도 한 눈 팔지 않고 관찰하였다.
<교육적 수행>
1. 보호자에게 면회 시 대상자의 억제대를 풀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2. 보호자에게 면회 시 침상 side rail을 건들지 않도록 교육하였고 잘 지켰다.
평가
1. 대상자는 아직 mental Stupor로 근력의 단계도 여전히 사지 모두 2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2.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Ⅴ. 결론
Ⅵ. 참고문헌
▶욕창방지를 위한 침상자세 요령
2. 체위변경 시 욕창이 생기기 쉬운 등, 엉덩이, 꼬리뼈, 날개 뼈, 발 뒤꿈치 등을 손을 타진하듯이 모아서 부드럽게 자극이 가지 않도록 마시지하여 혈 액순환을 촉진시켜주었다.
3. 체위변경 시 & Bed making을 할 때마다 옷과 침구의 주름을 펴서 편평하 게 만들어 주었다.
4. Air 매트리스를
적용하였다.
5. 욕창상처부위 피부는 소독한 후 건조하게 유지시켰고, 대변을 보았을 경우 즉시 기저귀를 교환하였다.
6. 쾌적하고 시원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실내 온도 26도, 실내습도 40%유지하였음.
7. 처방받은 데노간을 투약하여 발열으로 인한 발한을 통한 피부의 습도가 올라가는 것을 예방하였다.
<교육적 수행>
1. 압력과 수분은 피부통합성에 손상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교육하였다.
11. 엉덩이나 꼬리뼈 등, 뼈의 돌출부위에 욕창이 자주 발생함을 교육하였 다.
12.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c가 풍부한 식이를 제공하도록 교육하였고 병원 내 치료식이를 잘 이행하라고 교육하였다.
평가
1. 대상자의 피부는 건조하고 위생적으로 잘 유지되었다.
2.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욕창 위험도 사정 결과 11점 그대로 유지하였고 향후 더 지켜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 보호자는 욕창예방의 중요성에 대하여 말하였다.
날짜 : 20XX.OO.OO 요일 / 진단명 : Intracerebral Hemorrhage
간호진단 4) 신경학적 손상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1. 진단명 : Intracerebral Hemorrhage
2. 수술명 : craniectomy(Lt)
G2
G2
G2
G2
3. LOC : STUPOR(full sedation 상태임.)
4. 근력의 단계 다음과 같으므로 스스로 체위변 경, 운동 등 신체활동이 불가능한 상태.
5. 대상자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모습 관찰되고, 가끔씩 강직이 있어 튕기듯이 몸이 심하게 튕기는 것 관찰됨.
6. 현재 양 손 사지 억제대 적용중임.
7. 침상 가에 걸쳐서 누워계시는 모습 관찰됨.
Hb
14-17.5 g/dl
▼11.1
▼10.3
8. 혈액 검사 상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게 나옴.
9. 낙상 위험성 사정 도구 결과 18점/34점
(bobath memorial hospital fall risk assessment scales 사용.)
10. GCS 상 운동기능 점수 1점.
간호목표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Mental이 Stupor에서 Drowsy로 바뀔 것이다.
2. 대상자는 근력의 단계 2/2/2/2점에서 3/3/3/3 점으로 증가할 것이다.
<장기목표>
1.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매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Hb수치를 F/U한다.
3.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한 다.
<진단적 계획>
활력징후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불안정한 수치를 미리 알고 어지러움 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빈혈로 인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3. 낙상요인과 낙상유발요인을 파악하여 미 리 조치를 취하여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 이다.
<치료적 계획>
1. 라운딩을 자주 하면서 SIDE RAIL이 올려 져 있는지 확인한다.
2.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3. close observation을 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를 자주 관찰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특히 수면 시 몸부림으 로 인해 떨어지지 않도록 SIDE RAIL을 올려준다. 낙상, 부딪힘, 넘어짐 등의 사 고로 인한 신체적 손상을 방지하고, 환자 가 앉고 일어설 때 안전바 역할을 해주 기 때문이다.
2. 주변에 상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한 물 등을 제거하여 물리적 위험을 감소시키기 함이다.
3. 중환자실은 24시간 보호자가 상주할 수 없으므로 담당간호사가 대상자를 close observation하여 강직 시 또는 back care& positiion change를 시행할 때 혹 시 모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교육적 계획>
보호자에게 면회 시 대상자의 억제대를 풀지 않도록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면회 시 침상 side rail을 건들지 않도록 교육한다.
<교육적 계획>
1-2. 대상자를 컨트롤하고 보호하고 있는 장치를 해제할 경우 생길 수 있는 미연 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수행
<진단적 수행>
1.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활력징후를 매 1시간마다 측정하였고, 대 상자가 강직을 보일 때 맥박 수가 100회 이상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b
14-17.5 g/dl
▼11.1
▼10.3
2. Hb수치를 사정하였고 f/u결과 대상자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낮았으므로 좀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였다.
3.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요인을 파악하였다. (O/OO-6/22일까지 시행.)
낙상유발요인 ▶ 대상자의 운동능력이 저하되어 있고 강직이 자주 일어남
▶ 혈압하강제, 진정제 등 투약중임.
G2
G2
G2
G2
▶ 대상자 현재 mental : stupor
▶ 대상자 현재 근력의 단계
<치료적 수행>
1. 라운딩을 자주 하면서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였고 항상 올려 져있었다.
2. 주변에 대상자에게 상해를 줄 수 있는 위험한 물건을 정리하고 낙상예방 스티커를 붙이고 억제대를 제공하였으며 침상난간을 올려놓고 대상자를 진 정시켰다.
3. 각 듀티마다 close observation을 하였고 면회시간에도 한 눈 팔지 않고 관찰하였다.
<교육적 수행>
1. 보호자에게 면회 시 대상자의 억제대를 풀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2. 보호자에게 면회 시 침상 side rail을 건들지 않도록 교육하였고 잘 지켰다.
평가
1. 대상자는 아직 mental Stupor로 근력의 단계도 여전히 사지 모두 2점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2.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Ⅴ. 결론
Ⅵ.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IntraCerebral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T-ICH (Traumatic-Intracerebral Hemorrhage) 외상성 뇌내출혈
뇌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intracerebral hemorrhage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 케이스 스터디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 케이스, ICH 케이스 스터디, ICH 간호과정, 뇌내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ICH 간호과정, ICH 케이스, ICH 케이스 스터...
ICH - Intracerebral Hemorrhage,뇌내 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케이스 스터디 A+
ICH 케이스 스터디 (Intracerebral hemorrage 케이스 스터디 ICH CASE STUDY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