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기본정보
Ⅱ. 서론 (Introduction)
1. 발생 (development) 란?
2. 배아 발생 단계
3. 개구리의 발생과정
3-1. 난자
3-2. 수정
3-3. 난할 (Cleavage)
3-4. 낭배 형성(Gastrulation)
3-5. 기관형성 (organogenesis)
3-6. 개구리의 발달단계
3-7. 형태형성 (Morphogenesis)
Ⅲ. 실험재료 및 방법 (Materials & Methods)
1. 실험재료(Materials)
2. 실험 방법 (Methods)
Ⅳ. 실험결과 및 결론 (Data and Results)
Ⅴ. 고찰 (Discssion)
1. 포배강 blastocoel 의 역할
2. 간충직 세포 (간엽 세포 mesenchymal cell)
Ⅵ. 참고 문헌 (Reforence)
Ⅱ. 서론 (Introduction)
1. 발생 (development) 란?
2. 배아 발생 단계
3. 개구리의 발생과정
3-1. 난자
3-2. 수정
3-3. 난할 (Cleavage)
3-4. 낭배 형성(Gastrulation)
3-5. 기관형성 (organogenesis)
3-6. 개구리의 발달단계
3-7. 형태형성 (Morphogenesis)
Ⅲ. 실험재료 및 방법 (Materials & Methods)
1. 실험재료(Materials)
2. 실험 방법 (Methods)
Ⅳ. 실험결과 및 결론 (Data and Results)
Ⅴ. 고찰 (Discssion)
1. 포배강 blastocoel 의 역할
2. 간충직 세포 (간엽 세포 mesenchymal cell)
Ⅵ. 참고 문헌 (Reforence)
본문내용
된다(예: 자포동물 히드라충류의 일종).
- 무강포배 (stereoblastula)
유강포배에서 포배 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극도로 두꺼워져 포배강이 압축소멸한 포배의 1형식. 따라서 포배강이 있어야 할 위치에 해당되는 점 또는 면이 고려되어 포배 벽에 해당하는 세포는(무척추동물의 포배 벽은 세포 1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두 한쪽 끝은 점이나 면에 접하고 다른 끝은 외부에 면하고 있다.
유강포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포배 벽에 해당하는 것, 즉 포배 엽의 두께가 같은가 아닌가에 의해 등엽 무강포배(예: 십자해파리류의 일종, Lucernaria), 및 부등엽 무강포배(예: 침배고동)로 구분된다. 또한 포배강이 없는 포배의 형에는 주연 포배(이것을 무강포배라고도 한다), 상실포배가 있다.
2. 간충직 세포 (간엽 세포 mesenchymal cell)
다세포동물의 발생 중에 중배엽에서 분화하는 배의 결합조직. 간충조직 또는 간엽이라고도 한다.
다세포동물의 배에 있으며, 별모양 또는 불규칙한 돌기가 있는 세포의 총칭. 이러한 세포가 모여 그물모양이 되는 경우가 많고, 세포간에서 히알로넥틴이라는 당단백질을 분비한다. 기관형성에 있어서는 상피의 증식, 형태형성, 분화에 강력한 영향을 주고, 역으로 상피에서의 영향을 받는다 (상피간충직세포간충직 상호작용).
별모양의 세포가 돌기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하여 그물모양을 이루고 그 사이에 교질상(膠質狀)의 액이 담겨 있다.
척추동물에서는 외배엽과 중배엽에 기원하고, 외배엽유래의 간충직세포는 신경관의 세포로, 특히 외배엽계 간충직이라 한다. 중배엽유래의 간충직세포는 생성 후 집결하여 체절, 신절 등을 형성하지만, 후에 결합조직, 근조직 외에 신장에서 보우만낭, 세뇨관과 같은 상피조직 형성에 관여한다.
간충직은 배의 형태 형성에서 어떤 종류의 상피(上皮)는 간충직과 접촉하며 간충직에서 나오는 고분자 물질에 의해 비로소 분화하는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쥐의 내배엽(內胚葉)에서 생긴 전장(前腸)의 일부가 부풀어 간충직과 접촉함으로써 비로소 췌장(膵臟)으로 분화한다.
신장 · 타선(睡腺) · 갑상선 · 흉선(胸腺) · 뇌하수체 · 유선(乳腺) · 폐 · 깃털 등도 같다.
성게의 배의 간충직에는 1차와 2차가 있어 1차에는 골편(骨片), 2차에는 결합조직(結合組織)이 분화한다.
Ⅵ. 참고 문헌 (Reforence)
네이버 지식백과, 발생 [development, 發生]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9075&cid=40942&categoryId=32317
네이버 지식백과, 발생 [development]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72&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난할[cleavage]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73&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낭배형성 [gastrulation, 囊胚形成]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5513&cid=40942&categoryId=32317
네이버 지식백과, 낭배형성 [gastrulation]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74&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신경관형성 [neurulation]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87&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블로그, 형태형성 [形態形成, morphogenesis] 요정조각, 2007.08.24 14:40
https://blog.naver.com/gunlovegun/90021514724
네이버 지식백과, 간충직세포 [mesenchymal cell, 間充織細胞]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9717&cid=42411&categoryId=42411
네이버 지식백과, 포배 [blastula, blastocyst]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70&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유강포배 [coeloblastula, 有腔胞胚]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8474&cid=60261&categoryId=60261
[네이버 지식백과]상실포배 [morula, 桑實胞胚]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8468&cid=60261&categoryId=60261
[네이버 지식백과] 무강포배 [stereoblastula[e], 無腔胞胚]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6286&cid=60261&categoryId=60261
발생생물학 2판, 조완규 외, 아카데미서적, 2001, pp160, 186
사이언스올, 형태 형성 (morphogenesis) [과학백과사전] 2015.09.09
https://www.scienceall.com/%ED%98%95%ED%83%9C-%ED%98%95%EC%84%B1morphogenesis/
일반생물학실험, 한국생물과학협회, 아카데미서적, 1993, pp275-289
캠벨 생명과학 포커스 2판, Lisa A. Urry 외 4명, ㈜바이오사이언스출판, 2019
현대동물학, 강만식 외, 교학연구사, 1992, pp148-155
핵심 일반생물학 실험서, 오병운 외 5명, ㈜바이오사이언스출판, 2018
- 무강포배 (stereoblastula)
유강포배에서 포배 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극도로 두꺼워져 포배강이 압축소멸한 포배의 1형식. 따라서 포배강이 있어야 할 위치에 해당되는 점 또는 면이 고려되어 포배 벽에 해당하는 세포는(무척추동물의 포배 벽은 세포 1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두 한쪽 끝은 점이나 면에 접하고 다른 끝은 외부에 면하고 있다.
유강포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포배 벽에 해당하는 것, 즉 포배 엽의 두께가 같은가 아닌가에 의해 등엽 무강포배(예: 십자해파리류의 일종, Lucernaria), 및 부등엽 무강포배(예: 침배고동)로 구분된다. 또한 포배강이 없는 포배의 형에는 주연 포배(이것을 무강포배라고도 한다), 상실포배가 있다.
2. 간충직 세포 (간엽 세포 mesenchymal cell)
다세포동물의 발생 중에 중배엽에서 분화하는 배의 결합조직. 간충조직 또는 간엽이라고도 한다.
다세포동물의 배에 있으며, 별모양 또는 불규칙한 돌기가 있는 세포의 총칭. 이러한 세포가 모여 그물모양이 되는 경우가 많고, 세포간에서 히알로넥틴이라는 당단백질을 분비한다. 기관형성에 있어서는 상피의 증식, 형태형성, 분화에 강력한 영향을 주고, 역으로 상피에서의 영향을 받는다 (상피간충직세포간충직 상호작용).
별모양의 세포가 돌기에 의해 느슨하게 결합하여 그물모양을 이루고 그 사이에 교질상(膠質狀)의 액이 담겨 있다.
척추동물에서는 외배엽과 중배엽에 기원하고, 외배엽유래의 간충직세포는 신경관의 세포로, 특히 외배엽계 간충직이라 한다. 중배엽유래의 간충직세포는 생성 후 집결하여 체절, 신절 등을 형성하지만, 후에 결합조직, 근조직 외에 신장에서 보우만낭, 세뇨관과 같은 상피조직 형성에 관여한다.
간충직은 배의 형태 형성에서 어떤 종류의 상피(上皮)는 간충직과 접촉하며 간충직에서 나오는 고분자 물질에 의해 비로소 분화하는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쥐의 내배엽(內胚葉)에서 생긴 전장(前腸)의 일부가 부풀어 간충직과 접촉함으로써 비로소 췌장(膵臟)으로 분화한다.
신장 · 타선(睡腺) · 갑상선 · 흉선(胸腺) · 뇌하수체 · 유선(乳腺) · 폐 · 깃털 등도 같다.
성게의 배의 간충직에는 1차와 2차가 있어 1차에는 골편(骨片), 2차에는 결합조직(結合組織)이 분화한다.
Ⅵ. 참고 문헌 (Reforence)
네이버 지식백과, 발생 [development, 發生]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9075&cid=40942&categoryId=32317
네이버 지식백과, 발생 [development]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72&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난할[cleavage]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73&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낭배형성 [gastrulation, 囊胚形成]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5513&cid=40942&categoryId=32317
네이버 지식백과, 낭배형성 [gastrulation]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74&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신경관형성 [neurulation]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87&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블로그, 형태형성 [形態形成, morphogenesis] 요정조각, 2007.08.24 14:40
https://blog.naver.com/gunlovegun/90021514724
네이버 지식백과, 간충직세포 [mesenchymal cell, 間充織細胞]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9717&cid=42411&categoryId=42411
네이버 지식백과, 포배 [blastula, blastocyst]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9570&cid=63057&categoryId=63057
네이버 지식백과, 유강포배 [coeloblastula, 有腔胞胚]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8474&cid=60261&categoryId=60261
[네이버 지식백과]상실포배 [morula, 桑實胞胚]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8468&cid=60261&categoryId=60261
[네이버 지식백과] 무강포배 [stereoblastula[e], 無腔胞胚]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26286&cid=60261&categoryId=60261
발생생물학 2판, 조완규 외, 아카데미서적, 2001, pp160, 186
사이언스올, 형태 형성 (morphogenesis) [과학백과사전] 2015.09.09
https://www.scienceall.com/%ED%98%95%ED%83%9C-%ED%98%95%EC%84%B1morphogenesis/
일반생물학실험, 한국생물과학협회, 아카데미서적, 1993, pp275-289
캠벨 생명과학 포커스 2판, Lisa A. Urry 외 4명, ㈜바이오사이언스출판, 2019
현대동물학, 강만식 외, 교학연구사, 1992, pp148-155
핵심 일반생물학 실험서, 오병운 외 5명, ㈜바이오사이언스출판, 2018
추천자료
환경호르몬의 특징과 전세계현황 그리고 그 대책
초등과학-화학분야 실험 재구성(2가지 실험)
Xenopus의 발생과 전-후 축(Anterior-Posterior axis) 형성
결과보고서-Elvis사용법
고령화시대 금융부문 정책방안
달걀 부화 실험으로 보는 발생과정 연구 Report
[MBC시사매거진2580, MBC시사매거진2580 제작과정, MBC시사매거진2580 영상기법]MBC시사매거...
생물실험 쥐 해부 결과레포트 (쥐 해부비교 실험, 내부관찰, 외부관찰, 쥐의 각 기관들의 위...
닭 발생 관찰 실험
화학반응의 양론 예비 레포트+ 결과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