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홍반, 백혈구에 대한 화학주성, 혈관 투과성 등을 낮춰 항 염증 효과를 발휘한다.
부작용
소화불량, 위장 미란,소화성 궤양, 천공, 출혈, 신장계, 간장 부작용
Setopen Tab.
세토펜정
성분명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325mg
용법/용량
1회 0.3~1.0g 1일 3~4회 경구투여한다.
투여방법
(PO) 충분한 물과 함께 투여한다.
적응증
해열, 진통, 소염
약리작용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Cyclooxygenase(COX)를 억제하여 arachidonic acid로부터 Prostaglandin(PG)의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발열, 부종, 홍반, 백혈구에 대한 화학주성, 혈관 투과성 등을 낮춰 항 염증 효과를 발휘한다.
부작용
소화불량, 위장 미란,소화성 궤양, 천공, 출혈, 신장계 부작용, 간장 부작용
영양제
뉴트리플렉스 페리40주사
성분명
A액
글루탐산아르기닌(Arginine Glutamate), 글리신(Glycine)
L-알라닌(L-Alanine), L-아스파르트산(L-Aspartic Acid)
L-글루탐산(L-Glutamic Acid), L-이소류신(L-Isoleucine)
L-히스티딘염산염(L-Histidine Hydrochloride)
L-류신(L-Leucine), L-리신염산염(L-Lysine Hydrochloride)
L-메티오닌(L-Methionine,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
L-프롤린(L-Proline), L-세린(L-serine)
L-트레오닌(L-Threonine), L-트립토판(L-Tryptophan)
L-발린(L-Valine), 초산마그네슘(Magnesium Acetate)
인산이수소칼륨(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B액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무수포도당(Glucose Anhydrous)
용법/용량
총 아미노산으로서 1일 체중 kg 당 1~1.5g을 최대용량으로 하고 투여속도는 60분간에 총 아미노산으로서 10g 정도의 농도가 바람직하다.
투여방법
(IV drip) 1분간 25~30적으로 점적주사한다. 이 약은 말초정맥 내 투여를 원칙으로 한다.
적응증
다음 상태시의 아미노산, 당의 보급 :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
약리작용
[단백아미노산제제] 비경구적 영양요법은 조직의 성장과 회복을 위해서 필요한 성분들을 공급하는 것이다. 세포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세포가 정확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미노산은 단백합성의 기본물질이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와 전해질을 동시에 보충한다.
부작용
산증, 발진,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혈압상승, 오한, 발열, 말초혈관 확장증, 저인산혈증, 알칼리증, 고혈당, 당뇨병, 삼투성이뇨, 탈수증, 반동성 저혈당 등
Antasol Injection
안타솔주
성분명
글리신(Glycine), L-알라닌(L-Alanine), L-아르기닌(L-Arginine)
L-아스파르트산(L-Aspartic Acid), L-시스테인(L-Cysteine)
L-히스티딘(L-Histidine), L-이소류신(L-Isoleucine)
L-류신(L-Leucine), L-리신아세트산염(L-Lysine Acetate)
L-메티오닌(L-Methionine),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
L-프롤린(L-Proline), L-세린(L-Serine)
L-트레오닌(L-Threonine), L-트립토판(L-Tryptophan)
L-티로신(L-Tyrosine), L-발린(L-Valine)
용법/용량
일반적으로 1회 500mL를 점적정주한다.
투여속도 : 통상 성인 500mL당 180분 이상을 기준으로 한다.
투여방법
(IV drip)
적응증
만성 간기능 장애에 의한 뇌증의 개선
약리작용
[단백아미노산제제] 비경구적 영양요법은 조직의 성장과 회복을 위해서 필요한 성분들을 공급하는 것이다. 세포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세포가 정확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미노산은 단백합성의 기본물질이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와 전해질을 동시에 보충한다.
부작용
발진,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혀압강하, 오한, 발열, 두통, 호흡곤란, 호흡정지, 간부전 환자에서 BUN 상승
Saeronamin Injection
새로나민주
성분명
-알라닌(L-Alanine), L-아르기닌(L-Arginine)
L-히스티딘(L-Histidine), L-프롤린(L-Proline)
L-트레오닌(L-Threonine), L-트레오닌(L-Threonine)
글리신(Glycine), L-이소류신(L-Isoleucine)
L-류신(L-Leucine), L-리신아세트산염(L-Lysine Acetate)
L-메티오닌(L-Methionine),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
L-세린(L-Serine), L-트립토판(L-Tryptophan)
L-발린(L-Valine), N-아세틸-L-시스테인(N-Acetyl-L-Cysteine)
용법/용량
일반적으로 총 아미노산으로서 체중 kg 당 1일 1.5 g (체중 70 kg인 경우 1일 1300 mL에 해당)을 최대용량으로 정맥 내 점적주사한다.
투여속도 : 60분간에 체중 kg당 최대 1.25 mL 로 한다.
투여방법
(IV drip)
적응증
다음 경우의 비경구 아미노산 보급 : 뇌기능 손상(뇌질환)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중증의 간기능 장애(간부전)시, 간성혼수 치료 시
약리작용
[단백아미노산제제] 비경구적 영양요법은 조직의 성장과 회복을 위해서 필요한 성분들을 공급하는 것이다. 세포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세포가 정확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미노산은 단백합성의 기본물질이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와 전해질을 동시에 보충한다.
부작용
발진,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혀압강하, 오한, 발열, 두통, 호흡곤란, 호흡정지, 간부전 환자에서 BUN 상승
이상입니다.
부작용
소화불량, 위장 미란,소화성 궤양, 천공, 출혈, 신장계, 간장 부작용
Setopen Tab.
세토펜정
성분명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325mg
용법/용량
1회 0.3~1.0g 1일 3~4회 경구투여한다.
투여방법
(PO) 충분한 물과 함께 투여한다.
적응증
해열, 진통, 소염
약리작용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Cyclooxygenase(COX)를 억제하여 arachidonic acid로부터 Prostaglandin(PG)의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발열, 부종, 홍반, 백혈구에 대한 화학주성, 혈관 투과성 등을 낮춰 항 염증 효과를 발휘한다.
부작용
소화불량, 위장 미란,소화성 궤양, 천공, 출혈, 신장계 부작용, 간장 부작용
영양제
뉴트리플렉스 페리40주사
성분명
A액
글루탐산아르기닌(Arginine Glutamate), 글리신(Glycine)
L-알라닌(L-Alanine), L-아스파르트산(L-Aspartic Acid)
L-글루탐산(L-Glutamic Acid), L-이소류신(L-Isoleucine)
L-히스티딘염산염(L-Histidine Hydrochloride)
L-류신(L-Leucine), L-리신염산염(L-Lysine Hydrochloride)
L-메티오닌(L-Methionine,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
L-프롤린(L-Proline), L-세린(L-serine)
L-트레오닌(L-Threonine), L-트립토판(L-Tryptophan)
L-발린(L-Valine), 초산마그네슘(Magnesium Acetate)
인산이수소칼륨(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B액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무수포도당(Glucose Anhydrous)
용법/용량
총 아미노산으로서 1일 체중 kg 당 1~1.5g을 최대용량으로 하고 투여속도는 60분간에 총 아미노산으로서 10g 정도의 농도가 바람직하다.
투여방법
(IV drip) 1분간 25~30적으로 점적주사한다. 이 약은 말초정맥 내 투여를 원칙으로 한다.
적응증
다음 상태시의 아미노산, 당의 보급 :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전후
약리작용
[단백아미노산제제] 비경구적 영양요법은 조직의 성장과 회복을 위해서 필요한 성분들을 공급하는 것이다. 세포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세포가 정확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미노산은 단백합성의 기본물질이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와 전해질을 동시에 보충한다.
부작용
산증, 발진,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혈압상승, 오한, 발열, 말초혈관 확장증, 저인산혈증, 알칼리증, 고혈당, 당뇨병, 삼투성이뇨, 탈수증, 반동성 저혈당 등
Antasol Injection
안타솔주
성분명
글리신(Glycine), L-알라닌(L-Alanine), L-아르기닌(L-Arginine)
L-아스파르트산(L-Aspartic Acid), L-시스테인(L-Cysteine)
L-히스티딘(L-Histidine), L-이소류신(L-Isoleucine)
L-류신(L-Leucine), L-리신아세트산염(L-Lysine Acetate)
L-메티오닌(L-Methionine),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
L-프롤린(L-Proline), L-세린(L-Serine)
L-트레오닌(L-Threonine), L-트립토판(L-Tryptophan)
L-티로신(L-Tyrosine), L-발린(L-Valine)
용법/용량
일반적으로 1회 500mL를 점적정주한다.
투여속도 : 통상 성인 500mL당 180분 이상을 기준으로 한다.
투여방법
(IV drip)
적응증
만성 간기능 장애에 의한 뇌증의 개선
약리작용
[단백아미노산제제] 비경구적 영양요법은 조직의 성장과 회복을 위해서 필요한 성분들을 공급하는 것이다. 세포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세포가 정확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미노산은 단백합성의 기본물질이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와 전해질을 동시에 보충한다.
부작용
발진,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혀압강하, 오한, 발열, 두통, 호흡곤란, 호흡정지, 간부전 환자에서 BUN 상승
Saeronamin Injection
새로나민주
성분명
-알라닌(L-Alanine), L-아르기닌(L-Arginine)
L-히스티딘(L-Histidine), L-프롤린(L-Proline)
L-트레오닌(L-Threonine), L-트레오닌(L-Threonine)
글리신(Glycine), L-이소류신(L-Isoleucine)
L-류신(L-Leucine), L-리신아세트산염(L-Lysine Acetate)
L-메티오닌(L-Methionine),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
L-세린(L-Serine), L-트립토판(L-Tryptophan)
L-발린(L-Valine), N-아세틸-L-시스테인(N-Acetyl-L-Cysteine)
용법/용량
일반적으로 총 아미노산으로서 체중 kg 당 1일 1.5 g (체중 70 kg인 경우 1일 1300 mL에 해당)을 최대용량으로 정맥 내 점적주사한다.
투여속도 : 60분간에 체중 kg당 최대 1.25 mL 로 한다.
투여방법
(IV drip)
적응증
다음 경우의 비경구 아미노산 보급 : 뇌기능 손상(뇌질환)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중증의 간기능 장애(간부전)시, 간성혼수 치료 시
약리작용
[단백아미노산제제] 비경구적 영양요법은 조직의 성장과 회복을 위해서 필요한 성분들을 공급하는 것이다. 세포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서 세포가 정확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아미노산은 단백합성의 기본물질이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와 전해질을 동시에 보충한다.
부작용
발진, 구역, 구토, 흉부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혀압강하, 오한, 발열, 두통, 호흡곤란, 호흡정지, 간부전 환자에서 BUN 상승
이상입니다.
추천자료
청소년 약물남용
청소년의 보건 문제와 대책
[청소년약물중독][오남용]청소년약물중독(청소년약물오남용)의 단계, 청소년약물중독(청소년...
경제활동습관 학습자료(수업자료), 약물오남용예방 학습자료(수업자료), 특별활동 학습자료(...
[권리][권리 개념][권리 분류][권리 주체][권리 행사][권리 남용][권리 민주화][권리 정치이...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Leiomyoma of uterus(자궁근종)
사회복지 프로그램) 다문화 취약계층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통합지원 프로그램
호흡기내과 실습지침서 (인플루엔자 및 폐렴 ) 간호사정, 진단, 문헌고찰,약물,검사실 등 포함
정신간호학 조현병케이스
소위 성충동약물치료법의 정당성과 실효성 검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