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당뇨병 관리
1. 당뇨병 관리의 목표
2. 당뇨병 관리의 방법
3. 단계적 당뇨병 관리(Staged Diabetes Management, SDM)
II. 당뇨병의 식사요법
1. 식사요법의 목표
2. 식사요법의 일반적 지침
3. 당뇨병 임상형에 따른 식사요법의 차이
4. 식품교환표
5. 식사요법의 실제
6.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요법
1. 당뇨병 관리의 목표
2. 당뇨병 관리의 방법
3. 단계적 당뇨병 관리(Staged Diabetes Management, SDM)
II. 당뇨병의 식사요법
1. 식사요법의 목표
2. 식사요법의 일반적 지침
3. 당뇨병 임상형에 따른 식사요법의 차이
4. 식품교환표
5. 식사요법의 실제
6.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요법
본문내용
1.5
간식
1
6) 규칙적인 식사
이상에서 선택된 대로 매일 일정한 시간에 알맞은 양의 음식을 규칙적으로 먹는다.
6.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요법
1) 고지혈증의 식사요법
고지혈증은 혈액내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 상태이다. 당뇨인은 비당뇨인에 비해 고지혈증의 발병율이 높다. 고지혈증은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발 합병증을 초래할수 있으므로 혈중 지방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한 식사요법은 다음과 같다.
① 포화지방산을 제한한다.
포화지방산은 주로 동물성 지방에 포함되어 있고, 식물성 지방중에는 야자유,
코코넛유에 포함되어 있다.
② 콜레스테롤을 1일 300 mg 이내로 제한한다.
. 계란 노른자는 1주일에 2개 이하로 제한한다.
. 소고기, 돼지고기는 살코기만 섭취하고 1일 섭취량을 200 g 이하로 줄인다.
. 고기보다는 생선을 더 섭취한다.
. 닭이나 칠면조 등은 껍질과 지방을 제거한 후 먹는다.
. 우유나 유제품은 저지방 우유, 저지방 야쿠르트 등을 마신다.
.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을 피한다 : 소간, 돼지간, 장어, 오징어, 문어, 전복,
명란젓, 새우, 소라, 메추리알, 계란노른자 등
③ 섬유소가 많은 식품을 선택한다.
④ 적절한 체중을 유지한다.
⑤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2) 고혈압의 식사요법
고혈압은 당뇨인에서 2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고, 동맥경화증, 당뇨병성 신증 등을 악화시키므로 고혈압의 예방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① 염분섭취를 줄인다.
. 우리나라 사람의 1일 평균 염분 섭취량은 약 15-20 g 인데 이를 5-10 g 으로 줄이도록 한다.
. 염분이 많은 식품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 김치, 젓갈, 장아찌, 절인 생선, 건어물(오징어채, 쥐포), 해조류, 소세지, 햄, 피자, 치즈, 빵, 국수, 스낵류, 화학 조미료(미원, 다시다 등), 케찹, 마요네즈, 버터, 마아가린
② 체중을 조절한다.
과체중인 경우는 체중을 줄이면 혈압이 저하되므로 섭취열량을 제한하고, 운동을 하므로서 체중을 줄이도록 한다.
3) 당뇨병성 신증의 식사요법
당뇨병성 신증을 예방하고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저단백 식사가 도움이 된다. 신장합병증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1일 단백질 섭취량을 체중 1 kg 당 0.8g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저단백 식사는 소변검사상 단백뇨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바로 시작하여야 한다.
간식
1
6) 규칙적인 식사
이상에서 선택된 대로 매일 일정한 시간에 알맞은 양의 음식을 규칙적으로 먹는다.
6.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요법
1) 고지혈증의 식사요법
고지혈증은 혈액내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 상태이다. 당뇨인은 비당뇨인에 비해 고지혈증의 발병율이 높다. 고지혈증은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발 합병증을 초래할수 있으므로 혈중 지방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한 식사요법은 다음과 같다.
① 포화지방산을 제한한다.
포화지방산은 주로 동물성 지방에 포함되어 있고, 식물성 지방중에는 야자유,
코코넛유에 포함되어 있다.
② 콜레스테롤을 1일 300 mg 이내로 제한한다.
. 계란 노른자는 1주일에 2개 이하로 제한한다.
. 소고기, 돼지고기는 살코기만 섭취하고 1일 섭취량을 200 g 이하로 줄인다.
. 고기보다는 생선을 더 섭취한다.
. 닭이나 칠면조 등은 껍질과 지방을 제거한 후 먹는다.
. 우유나 유제품은 저지방 우유, 저지방 야쿠르트 등을 마신다.
.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을 피한다 : 소간, 돼지간, 장어, 오징어, 문어, 전복,
명란젓, 새우, 소라, 메추리알, 계란노른자 등
③ 섬유소가 많은 식품을 선택한다.
④ 적절한 체중을 유지한다.
⑤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2) 고혈압의 식사요법
고혈압은 당뇨인에서 2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고, 동맥경화증, 당뇨병성 신증 등을 악화시키므로 고혈압의 예방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① 염분섭취를 줄인다.
. 우리나라 사람의 1일 평균 염분 섭취량은 약 15-20 g 인데 이를 5-10 g 으로 줄이도록 한다.
. 염분이 많은 식품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 김치, 젓갈, 장아찌, 절인 생선, 건어물(오징어채, 쥐포), 해조류, 소세지, 햄, 피자, 치즈, 빵, 국수, 스낵류, 화학 조미료(미원, 다시다 등), 케찹, 마요네즈, 버터, 마아가린
② 체중을 조절한다.
과체중인 경우는 체중을 줄이면 혈압이 저하되므로 섭취열량을 제한하고, 운동을 하므로서 체중을 줄이도록 한다.
3) 당뇨병성 신증의 식사요법
당뇨병성 신증을 예방하고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저단백 식사가 도움이 된다. 신장합병증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1일 단백질 섭취량을 체중 1 kg 당 0.8g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저단백 식사는 소변검사상 단백뇨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바로 시작하여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당뇨병 분석
당뇨병 발생현황과 원인 및 당뇨병 치료와 영양관리 방법에 관한 논의(보건통계와 병원 처방 ...
당뇨병의 식사요법
식사요법 및 실습 - 당뇨 뷔폐식
[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원인과 증상 및 합병증, 지단백질의 종류와 역할(LDL, VLDL, HDL), 가...
[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정의와 원인, 고지혈증의 증상 및 합병증, 지단백질의 종류 및 대사, ...
[당뇨병 치료] 당뇨병의 식이요법(식사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 당뇨병관리
임상영양학 a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만 30세 이상에서의 성별 연령별 당...
성인간호학] 영양지원 방법 유형별 적응증 장단점 영양지원 방법별 간호관리 방법 성인간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