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초정제하고 대량생산하여 온라인으로 환자의 혈액내로 주입하는 것으로 안정성을 위해 추가적 장치(filter)필요
* 장점: 생체적합, 고효율 투석막 & 초순수 투석액을 사용하여 hemodynamically stable, 분자량이 큰 전해질(인), beta 2-microglobulin 등 일반투석으로 제거되지 않는 독성물질, 요독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 추가 필터로 초순수 투석액을 사용하여 염증반응위험이 낮아 심혈관계 질환 발생적음.
* 단점: 많은 대류량을 위해 다량의 보충액 필요, 미생물학적 및 화학적 순도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함. 고유량 투석막과 높은 경유압력으로 알부민, 영양소들의 손실
위험, 고가
(5) 지속적 신대체 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① 중증의 AKI 환자: severe condition, severe electrolyte imbalance, hemodynamically unstable
② 긴 시간에 걸쳐 서서히 노폐물과 잉여수분 제거
③ 투석기가 아닌 hemofilter라는 장치 이용
2) 항응고요법(heparinization) 확인
(1) Tight heparinization: 투석 치료 전 초기부하용량 주입 후 더 이상 헤파린 투여하지 않고 투석 중 응고정도를 사정하여 식염수를 주입하여 monitoring 하는 방법
(2) Systemic heparinization: 초기 부하용량 주입 후 일정한 용량의 헤파린을 투석치료 동안 계속 주입
(3) Regional anticoagulant: 짧은 반감기로 출혈 위험이 있는 환자의 혈액투석 및 CRRT 요법에 합성 세린프로티아제 억제제(synthetic serine protease inhibitor)인 nafamostat mesylate(futhan)사용, 전신출혈 없이 체외 회로의 혈액응고를 효과적으로 예방
(4) No heparin-saline flush techniques: 헤파린을 사용할수 없는 환자, 투석동안 1시간 간격으로 식염수 flushing
* 주의사항: 출혈위험(요독증은 쉽게 출혈되는 경향있음), 24~48시간 내에 수술받았거나 예정인 환자는 사용금지, pericarditis, GI bleeding환자는 사용제한
3) 초여과량, IDPN(intradialytic parenteral nutrition:투석중 비경구 영양법)확인
- 건체중과 비교하여 계산, 측정불가시 I/O, x-ray 근거로 결정
4) BFR, DF, 투석액 방향, 투석액 종류, 투석시간, 투석액 소듐농도, 투석액 온도 등 확인
6. 투석시행
1) 환자 사정: 정기적 혈압측정 및 심전도,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2) 혈액 투석로 점검: 혈관통로 상태, AVF 시진, 촉진, 청진, thrill, bruit 확인, 감염징후 확인, patency 확인, 혈관통로상태, 투석바늘, 라인의 안전성 확인
3) 투석기계 모니터링
(1) 동맥압: 환자의 바늘 위치와 혈액펌프의 근위부 사이에 체외 혈액순환 압력 측정
(2) 정맥압: 투석기 후부터 혈액이 환자의 몸으로 다시 들어오기 전까지의 부분에서 체외혈액순환 압력
(3) 초여과 진행상태 확인: 잘못 입력하거나 기계적 오류로 인해 잘못 진행될수 있음.
- 투석 중 합병증확인(저혈압, 고혈압, 부정맥, 흉통, 근육경련, 불균형증후군)
7. 투석 종료 및 투석 후 사정
① 환자사정: 활력징후, 주관적 신체사정, 문제가 되었던 투석 전 변수의 해결 및 개선
② 지혈 및 혈관상태 확인: thrill, bruit 유무
③ 체중측정: 초여과된 수분계산을 위해 체중측정(필요시)
④ 환자교육: 수분제한, 약물복용, 식이조절 등 교육
* 장점: 생체적합, 고효율 투석막 & 초순수 투석액을 사용하여 hemodynamically stable, 분자량이 큰 전해질(인), beta 2-microglobulin 등 일반투석으로 제거되지 않는 독성물질, 요독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 추가 필터로 초순수 투석액을 사용하여 염증반응위험이 낮아 심혈관계 질환 발생적음.
* 단점: 많은 대류량을 위해 다량의 보충액 필요, 미생물학적 및 화학적 순도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함. 고유량 투석막과 높은 경유압력으로 알부민, 영양소들의 손실
위험, 고가
(5) 지속적 신대체 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① 중증의 AKI 환자: severe condition, severe electrolyte imbalance, hemodynamically unstable
② 긴 시간에 걸쳐 서서히 노폐물과 잉여수분 제거
③ 투석기가 아닌 hemofilter라는 장치 이용
2) 항응고요법(heparinization) 확인
(1) Tight heparinization: 투석 치료 전 초기부하용량 주입 후 더 이상 헤파린 투여하지 않고 투석 중 응고정도를 사정하여 식염수를 주입하여 monitoring 하는 방법
(2) Systemic heparinization: 초기 부하용량 주입 후 일정한 용량의 헤파린을 투석치료 동안 계속 주입
(3) Regional anticoagulant: 짧은 반감기로 출혈 위험이 있는 환자의 혈액투석 및 CRRT 요법에 합성 세린프로티아제 억제제(synthetic serine protease inhibitor)인 nafamostat mesylate(futhan)사용, 전신출혈 없이 체외 회로의 혈액응고를 효과적으로 예방
(4) No heparin-saline flush techniques: 헤파린을 사용할수 없는 환자, 투석동안 1시간 간격으로 식염수 flushing
* 주의사항: 출혈위험(요독증은 쉽게 출혈되는 경향있음), 24~48시간 내에 수술받았거나 예정인 환자는 사용금지, pericarditis, GI bleeding환자는 사용제한
3) 초여과량, IDPN(intradialytic parenteral nutrition:투석중 비경구 영양법)확인
- 건체중과 비교하여 계산, 측정불가시 I/O, x-ray 근거로 결정
4) BFR, DF, 투석액 방향, 투석액 종류, 투석시간, 투석액 소듐농도, 투석액 온도 등 확인
6. 투석시행
1) 환자 사정: 정기적 혈압측정 및 심전도,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2) 혈액 투석로 점검: 혈관통로 상태, AVF 시진, 촉진, 청진, thrill, bruit 확인, 감염징후 확인, patency 확인, 혈관통로상태, 투석바늘, 라인의 안전성 확인
3) 투석기계 모니터링
(1) 동맥압: 환자의 바늘 위치와 혈액펌프의 근위부 사이에 체외 혈액순환 압력 측정
(2) 정맥압: 투석기 후부터 혈액이 환자의 몸으로 다시 들어오기 전까지의 부분에서 체외혈액순환 압력
(3) 초여과 진행상태 확인: 잘못 입력하거나 기계적 오류로 인해 잘못 진행될수 있음.
- 투석 중 합병증확인(저혈압, 고혈압, 부정맥, 흉통, 근육경련, 불균형증후군)
7. 투석 종료 및 투석 후 사정
① 환자사정: 활력징후, 주관적 신체사정, 문제가 되었던 투석 전 변수의 해결 및 개선
② 지혈 및 혈관상태 확인: thrill, bruit 유무
③ 체중측정: 초여과된 수분계산을 위해 체중측정(필요시)
④ 환자교육: 수분제한, 약물복용, 식이조절 등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