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저혈당의 원인
3. 저혈당의 단계와 증상
4. 저혈당 증상의 생리적 기전
5. 저혈당의 치료
6. 저혈당의 예방
7. 소모기 현상
2. 저혈당의 원인
3. 저혈당의 단계와 증상
4. 저혈당 증상의 생리적 기전
5. 저혈당의 치료
6. 저혈당의 예방
7. 소모기 현상
본문내용
이 상대적으로 많이 투여될 경우 발생한다.
②이런 현상은 인슐린을 하루 1~2회 투여하면서 상대적으로 인슐린 용량이 많을 경우
볼 수 있으며 혈당의 기복이 심하다.
③특히 저녁에 NPH 인슐린을 많이 투여하면 최고 작용시간인 새벽 2-3시경에 저혈당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생리적 보상현상으로 스트레스 호르몬 및 글루카곤 등의 혈당을 높이는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어 간에서 당생산은 증가된 결과로 혈당이 매우 높아지는 현상이다.
④따라서 아침 공복혈당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므로 이때는 일단 인슐린 양을 줄이고,
하루에 한번 맞던 인슐린을 2회로 나누어 맞으며 자기 전에 간식을 먹도록 한다.
⑤이런 현상이 계속되면 인슐린 작용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조절 불가능한 당뇨병으로 진행된다.
※ 새벽현상
공복 고혈당이란 점에서 소모기 현상과 혼동될 수 있는 현상이다.
①저녁에 맞은 인슐린의 효과가 새벽이 되면서 점점 사라지고, 자는 동안 분비되는 성장
호르몬으로 혈당이 새벽에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②이런 경우 새벽 2-3시경에 혈당을 측정하면 저혈당이 관찰되지 않는다.
③이 현상이 나타나면 일단 저녁에 맞는 인슐린의 용량을 약간 올리거나 저녁에 맞는
NPH의 일부를 자기 전에 맞도록 한다.
④특별히 이유 없이 아침 공복혈당이 높은 경우는 새벽 2-3시경에 혈당을 측정하여 원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 소모기 현상과 새벽현상의 전형적인 혈당 변화
혈당치
밤 10시
새벽3시
아침 7시
소모기 현상
90
40
300
새벽현상
110
110
150
소모기와 새벽현상이 같이
존재하는 경우
110
40
350
②이런 현상은 인슐린을 하루 1~2회 투여하면서 상대적으로 인슐린 용량이 많을 경우
볼 수 있으며 혈당의 기복이 심하다.
③특히 저녁에 NPH 인슐린을 많이 투여하면 최고 작용시간인 새벽 2-3시경에 저혈당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생리적 보상현상으로 스트레스 호르몬 및 글루카곤 등의 혈당을 높이는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어 간에서 당생산은 증가된 결과로 혈당이 매우 높아지는 현상이다.
④따라서 아침 공복혈당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므로 이때는 일단 인슐린 양을 줄이고,
하루에 한번 맞던 인슐린을 2회로 나누어 맞으며 자기 전에 간식을 먹도록 한다.
⑤이런 현상이 계속되면 인슐린 작용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조절 불가능한 당뇨병으로 진행된다.
※ 새벽현상
공복 고혈당이란 점에서 소모기 현상과 혼동될 수 있는 현상이다.
①저녁에 맞은 인슐린의 효과가 새벽이 되면서 점점 사라지고, 자는 동안 분비되는 성장
호르몬으로 혈당이 새벽에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②이런 경우 새벽 2-3시경에 혈당을 측정하면 저혈당이 관찰되지 않는다.
③이 현상이 나타나면 일단 저녁에 맞는 인슐린의 용량을 약간 올리거나 저녁에 맞는
NPH의 일부를 자기 전에 맞도록 한다.
④특별히 이유 없이 아침 공복혈당이 높은 경우는 새벽 2-3시경에 혈당을 측정하여 원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 소모기 현상과 새벽현상의 전형적인 혈당 변화
혈당치
밤 10시
새벽3시
아침 7시
소모기 현상
90
40
300
새벽현상
110
110
150
소모기와 새벽현상이 같이
존재하는 경우
110
40
35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