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_ER_Laboratory abnormality, leukocytosis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_ER_Laboratory abnormality, leukocytosi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문헌고찰04
1) 백혈구증가증(Leukocytosis)04
(1) 백혈구증가증의 접근04
(2) 백혈구증가증: 림프구증가증(Lymphocytosis)04
(3) 백혈구증가증: 과립구증가증(Granulocyyosis)05
① 호중구증가증(Neutrophilia)05
② 호산구증가증(Eosinophilia)06
③ 호염기구증가증(Basophilia)07
(4) 백혈구증가증의 합병증07

2)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CML)08
(1) 정의08
(2) 원인08
(3) 증상08
(4) 진단09
(5) 치료09
(6) 경과10
(7) 주의사항10

2. 환자정보11

3. 대상자 사정11
1) 응급실 도착 당시 주 증상11
2) 1차 사정11
3) 2차 사정11
(1) 현재/과거병력11
(2) 활력징후12
(3) ROS12
(4) P/E12

4. 응급검사12
1) 응급 혈액검사12
2) 상복부 초음파 검사17
5. 간호진단18
#1. 진단검사, 절차, 치료와 관련된 불안 (Anxiety)
#2. 비정상적인 백혈구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Risk for infection)
#3. 백혈구 수치 증가와 관련된 손상 위험성(Risk for injury)
#4.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Risk for falls)

6. 간호 우선순위19

7.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 19

8. 응급 치료20
1) 치료적 백혈구 성분채집술(Therapeutic Leukapheresis)20
(1) 목적20
(2) 결과20

9. 약물 조사21
(1) Hydroxyurea
(2) Allopurinol
(3) Sodium bicarbonate inj 8.4%

10. 대상자 경과 22

[참고문헌]22

본문내용

수 있다.
치료적 백혈구성분채집술은 말초혈액의 백혈구 수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시술 중 특별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아 백혈구증가증 치료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술식으로 판단된다. (김반석, 이경애, 김신영, 김현옥, 2016)
결과
항목
정상범위
결과
5/2 (치료전)
5/3 (치료후)
WBC
4~10 x 10^3/uL
▲243.4
▲158.5
RBC
4.2~6.1 10^6/uL
▼3.92
▼3.58
Hb
남)13~17.5 g/dL
▼12.3
▼10.5
Hct
남)40~54%
▼35.3
▼33.2
MCV
80~100fL
90.1
92.8
MCH
28.2~33.3
pg
31.4
29.2
MCHC
32.0~36.0
g/dL
34.8
▼31.5
RDW
11~15 %
-
▲17.6
Platelet
150~450 x 10^3/uL
214
▼120
PCT
0.15 ~ 0.32 %
0.27
0.120
MPV
9~13 fL
12.7
10.0
PDW
9~17 fL
▲19.7
▲18.6
LDH
218~472 U/L
▲3414
▲2348
항목
정상범위
결과
5/2 (치료전)
5/3 (치료후)
Neutrophils. Seg.
48~75 %
74.8
▲84.8
1.8~7.8 x
10^3/uL
▲182.06
▲134.41
Lymphocytes
20~40 %
▼5.5
▼2.0
1~4.8 x 10^3/uL
▲13.39
3.17
Monocytes
2~11 %
3.8
▼1.2
0~0.8 x 10^3/uL
▲9.25
▲1.90
Eosinophils
≤ 5 %
3.8
▲6.9
0 ~ 0.45 x 10^3/uL
▲9.25
▲10.94
Basophils
≤ 2 %
▲12.1
▲5.1
0 ~ 0.2 x 10^3/uL
▲ 9.25
▲8.08
치료적 백혈구 성분 채집술 후 WBC의 수가 243,400→158,500으로 감소되었으며, 호중구(182,060→134,410), 림프구(13,390→3,170), 단핵구(9,250→1,900), 호염기구(9,250→8,080)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LDH는 3,414 → 2,348으로 감소되었다.
약물 조사
항악성종양제
Hydroxyurea (Hydrine 500mg)
약효군
항악성종양제
용법/용량
(PO) 2cap.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복용
약리작용
S-phase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RNA나 단백질의 합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DNA 합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세포 괴사
부작용
알레르기(가려움증, 두드러기, 얼굴/손 부종, 입/목 부종 혹은 자극감, 흉부압박감, 호흡곤란)
발열, 오한, 기침, 인후통, 몸살
피부의 궤양/염증
비정상적인 출혈/멍/허약
호흡곤란, 피로감, 불규칙한 심장박동, 눈/피부의 황변
하이드록시유리아는 백혈구 수치를 낮추는데 사용한다. 백혈구 수치가 높아 진단이 확실해질 때까지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이다.
통풍치료제
Allopurinol
(Zyroric Tab. 100mg)
약효군
Xanthine Oxidase 억제제
용법/용량
(PO) 1tab.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30분에 복용
약리작용
Hypoxanthine을 xanthine으로, xanthine을 요산으로 전환하는 xanthine oxidase를 저해하여 요산 생성을 저해함
대사체인 oxypurinol도 xanthine oxidase 저해함
생체에 필수적인 purine의 생합성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요산생성을 줄임
부작용
알레르기 반응 : 가려움, 두드러기, 얼굴/손의 부종, 입/목의 부종 및 따끔거림, 흉부압박감, 호흡곤란 등
피부 발진, 벗겨짐
어두운 색의 소변, 흐린색의 대변, 식욕부진, 복통, 오심/구토, 눈/피부의 황변
배뇨시 통증, 혈뇨/혼탁뇨, 배뇨횟수/배뇨량의 변화
해독제
Sodium bicarbonate inj 8.4% [20mL]
약효군
Xanthine Oxidase 억제제
용법/용량
(IV) 1amp
약리작용
해리되어 중탄산(bicarbonate)이 되어 혈장의 수소이온을 중화시키며 혈장, 뇨 pH를 증가시킨다. 각종 원인에 의한 체액 산성화를 방지한다.
부작용
저혈당, 칼슘 대사 이상
두통, 오심, 구토, 경련, 의식혼탁 등
하이드록시유리아 등의 치료제를 사용하게 되면 세포가 급격히 깨지게 되고, 그 부산물이 소변으로 배출되면서 콩팥 기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고요산혈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알로퓨리놀(allopurinol) 약제를 복용한다. 또한 소변의 pH를 7.35~7.45로 유지하기 위하여 수액에 sodium bicarbonate을 첨가한다.
대상자 경과
대상자 2023/05/02 16:15 추가 검사 및 치료 위해 혈액내과로 입원하였다.
2023/05/04 BM aspiration 결과 Blast < 5%, 골수 계열의 left shifting, 호산구 증가(12%), 호염기구 증가(4.3%). 백혈구의 left shifting가 나타났다. 이는 미성숙한 백혈구의 비중이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만성골수세포백혈병을 의심할 수 있다.
leukapheresis와 Hydrine BID로 투약하여 WBC 조절할 계획이고, 100,000 아래로 감소하면 BM biopsy할 예정이다. 외래에서 추적관찰 필요할 것으로 보여 퇴원 처리되었다.
[ 참고문헌 ]
김반석, 이경애, 김신영 and 김현옥. (2016). 백혈구증가증치료에서의 백혈구성분채집술 - 단일 상급 종합병원의 10년간 경험. Laboratory Medicine Online, 6(3), 159-164.
김진호, 심재선, 고신옥, 오흥근 and 강신범. (1990). Leukocytosis 가 동맥혈 산소 분압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3(4), 616-620.
이상봉. (2019).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혈액(CBC 검사의 해석) > 백혈구 수치의 해석 > 백혈구증가증(Leukocytosis). 바른의학연구소
이상봉, 이정훈, 임성윤, 김종수 and 장은호. (2020). 『QBook : Case Based Review』, 혈액 > 혈액암 > 만성백혈병. 바른의학연구소
  • 가격4,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3.11.28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1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