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 진단
2. 간호 사정
3. 간호 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참고문헌
2. 간호 사정
3. 간호 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 흉부불편감, 과도한 분비물 등으로 인해 종종 분비물 제거에 어려움을 겪는다.
15.COPD 대상자는 다량의 점액을 생산하기 때문에 하루 중 일정한 시간에 효율적인 기침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대상자에게 밤에 낀 점액을 제거하기 위해 아침에 일어나면서 기침하도록 한다.
16.대상자에게 호흡재활운동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집 또는 병원 내에서 할 수 있는 호흡재활운동을 교육하였다.
※유산소운동(COPD 대상자 호흡재활 핵심)
-5~10분 동안 가벼운 스트레칭 등 준비 운동을 한다
-20~60분 동안 걷기, 실내외 자전거 타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한다
-한 번에 하기 힘들면 5분 운동을 6번 나눠서 총 30분 한다
-주 3일 이상하고, 운동 중 산소포화도는 90% 이상 유지한다
-운동 강도는 최대의 약 60%인 약간 숨이 찬 정도가 좋다
16.호흡재활운동은 호흡 근육을 강화하고 폐활량을 향상시켜 호흡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16.호흡재활운동은 심폐체력을 향상시켜 활동 감량을 방지하고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게 하여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신체적인 능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①대상자는 퇴원 전 호흡곤란 증상 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한다.
②대상자는 퇴원 전 흡기와 호기가 규칙적이며 적절한 깊이로 호흡한다.
③대상자는 퇴원 전 스스로 객담 배출이 가능하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3일 이내 산소포화도가 90% 이상으로 유지된다.
②대상자는 3일 이내 활력 징후가 정상범위에서 측정된다.
③대상자는 5일 이내 호흡곤란이 나아졌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④대상자는 5일 이내 Chest x-ray에서 haziness가 호전된 것이 확인된다.
⑤대상자는 7일 이내 Room Air 적용 시 산소포화도가 95 % 이상 유지된다.
⑥대상자는 교육받은 뒤 3일 이내 활동을 수행한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정맥관 감염 예방 근거중심 가이드라인의 권고 강도 별 간호사의 지식 및 수행정도 류세앙 외 6명
·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간호과정의 실제, 최순희 외, 현문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태생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학교실
김현국, 이상도
15.COPD 대상자는 다량의 점액을 생산하기 때문에 하루 중 일정한 시간에 효율적인 기침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대상자에게 밤에 낀 점액을 제거하기 위해 아침에 일어나면서 기침하도록 한다.
16.대상자에게 호흡재활운동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집 또는 병원 내에서 할 수 있는 호흡재활운동을 교육하였다.
※유산소운동(COPD 대상자 호흡재활 핵심)
-5~10분 동안 가벼운 스트레칭 등 준비 운동을 한다
-20~60분 동안 걷기, 실내외 자전거 타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한다
-한 번에 하기 힘들면 5분 운동을 6번 나눠서 총 30분 한다
-주 3일 이상하고, 운동 중 산소포화도는 90% 이상 유지한다
-운동 강도는 최대의 약 60%인 약간 숨이 찬 정도가 좋다
16.호흡재활운동은 호흡 근육을 강화하고 폐활량을 향상시켜 호흡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16.호흡재활운동은 심폐체력을 향상시켜 활동 감량을 방지하고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게 하여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신체적인 능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①대상자는 퇴원 전 호흡곤란 증상 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한다.
②대상자는 퇴원 전 흡기와 호기가 규칙적이며 적절한 깊이로 호흡한다.
③대상자는 퇴원 전 스스로 객담 배출이 가능하다.
단기목표
①대상자는 3일 이내 산소포화도가 90% 이상으로 유지된다.
②대상자는 3일 이내 활력 징후가 정상범위에서 측정된다.
③대상자는 5일 이내 호흡곤란이 나아졌다는 언어적 표현을 한다.
④대상자는 5일 이내 Chest x-ray에서 haziness가 호전된 것이 확인된다.
⑤대상자는 7일 이내 Room Air 적용 시 산소포화도가 95 % 이상 유지된다.
⑥대상자는 교육받은 뒤 3일 이내 활동을 수행한다.
참고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정맥관 감염 예방 근거중심 가이드라인의 권고 강도 별 간호사의 지식 및 수행정도 류세앙 외 6명
·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간호과정의 실제, 최순희 외, 현문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태생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학교실
김현국, 이상도
추천자료
[간호]울혈성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 케이스 스터디
[케이스스터디]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천식, 당뇨병 케이스...
[케이스스터디][정신분열증][위암][아스페르길루스증][담석증]정신분열증 케이스스터디(CaseS...
폐렴(pneumonia) 간호사례 연구 케이스 스터디
간호 케이스 copd 만성폐쇄성 폐질환
Pneumonia 폐렴케이스 스터디(폐렴케이스, 폐렴간호과정, 폐렴, 폐렴 사례연구, 폐렴실습, 내...
미숙아(Preterm infant) 간호과정, 미숙아(Preterm) case study
폐렴으로 인한 폐포-모세혈관막 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개)
A+받은 Case study,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성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