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c 관찰법의 개념, 관찰기록방법, 진행절차를 간단히 기술하고 관찰기록방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한 뒤 그것의 선택 이유를 간단히 밝히고 그 관찰기록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c 관찰법의 개념, 관찰기록방법, 진행절차를 간단히 기술하고 관찰기록방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한 뒤 그것의 선택 이유를 간단히 밝히고 그 관찰기록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관찰법의 개념, 관찰기록방법, 진행절차를 간단히 기술하고 관찰기록방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한 뒤 그것의 선택 이유를 간단히 밝히고 그 관찰기록방법을 교육현장이나 생활현장에서 직접 실시한 기록과 그에 따른 결과를 기술하시오.

2. 수행평가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시오.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e=view&code=appraisal&idx=593&category=53
수행평가 과제의 채점은 공정성, 신뢰성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채점기준이 되는 채점기준표의 작성은 필수로 평가 유형에 따라 모범답안 이외의 유사답안도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채점기준표에 평가의 의도와 목표를 제시하고 문항에 대한 설명도 작성하여 객관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채점자는 2명 이상의 교사나 전문가가 채점하도록 하여 일치도와 신뢰도를 산출한다. 채점방식은 평가의 목적이나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분석적 채점과 총체적 채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석적 채점은 답안을 평가요소별로 나누어 각각에 점수를 부여, 이를 합산하는 방식이다. 객관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채점 분량이 많고 채점기준을 선정하는 데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총체적 채점은 평가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모든 요소를 한 번에 고려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채점이 쉽다. 그러나 하위영역으로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각각의 장단점을 가진 두 가지 채점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면 수행평가의 효율성과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으나 그럴 수 없을 경우, 교수-학습 개선과 학습자의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행평가의 본질을 살리기 위해 분석적 채점 방식의 사용이 권장된다. 권용병, “수행평가과제에 대한 분석적 채점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p.32~58
3. 출처 및 참고문헌
강경민 외 19명, 『보육교사 승급교육 1급』, 양성원, 2021, p.180~186
문혁준 외 8명, 『유아발달』, 창지사, 2014, p.112~113
신지연, 신혜원, 서원경, 박원순, 『영유아교수학습방법』, 파워북, 2016, p.243~247
지은림, 「수행평가의 교육적 의미와 동향」, 『행복한 교육』,(2016.04), p.56~57
Edu연구소2, “수행평가 과제의 제작 절차”, 교육문화연구소,
https://www.edulabkorea.com/reference/appraisal.php?ptype=view&code=appraisal&idx=593&category=53, 2023.03.31
권용병, “수행평가과제에 대한 분석적 채점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p.32~58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12.27
  • 저작시기202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34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