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람의 뜻이며 ’홑몸‘은 딸린 사람이 없거나 아이를 배지 않은 몸을 뜻한다. 예) 그는 사고로 아내를 잃고 홀몸이 되었다. / 이제 홑몸도 아닌데 장시간 비행은 역시 무리야,
(9) ’염치 불구하고‘ : ’불구하다‘가 얽매여 거리끼지 아니하다’는 뜻이지만 ‘염치 불고하고’가 바른 표현이다. ‘불고’는 돌아보지 아니하다는 뜻이다. 예) 그럼 염치 불고하고 한 잔 받을게.
(10) ’동점‘과 ’동률‘ : ’동점‘은 같은 점수를 의미하며 ’동률‘은 같은 비율이나 비례를 뜻한다. 예) 이번 스코어는 서로 동점이야. / 이번에 우리 반이 옆반과 승률에서 동률을 이루었다.
(11) ’내성적‘과 ’외성적‘ : ’내성적‘은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잘 표현하지 않는 경향을 뜻하며, ’외성적‘은 ’외향적‘으로 바꿔 써야 하며 속마음을 적극적으로 드러낸다는 의미이다. 예) 나는 내향적이라 집에 있는 게 제일 좋아. / 남편이 엄청 외향적이라 친구가 끊이질 않아요.
(12) ’정안수‘와 ’정한수‘ : 이른 새벽에 길은 우물물이란 뜻으로 가족들의 평안을 빌면서 정성을 들이거나 약을 달이는데 쓴 물을 말한다. 표준어는 ’정화수’라 써야 한다. 예) 노모는 새벽마다 정화수를 떠놓고 아들의 건강을 빌었다.
(13) ’전격적으로‘와 ’전면적으로‘ : ’전격적으로‘는 갑작스럽게 들이친다는 의미이며 ’전면적으로‘는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치는 것을 뜻한다. 예) 뉴스속보로 그 시행안이 전격적으로 발표되었다. / 집이 너무 낡아서 전면적으로 수리를 했다.
(14) ’갑절‘과 ’곱절‘ : ’갑절‘은 수량을 두 번 합친다는 뜻이고 ’곱절‘은 같은 수량을 몇 번이고 합친다는 뜻이다. 예) 나이가 나보다 갑절이나 많아. / 공사 비용이 세 곱절이나 초과했어.
(15) ’탓‘과 ’덕분‘ : ’탓‘은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원인의 의미로 쓰이며 ’덕분‘은 긍정적인 결과의 원인으로 쓰인다. 예) 상황이 이 지경이 된 건 다 네 탓이야. / 치열하게 노력한 덕분에 결국 우승 트로피를 손에 쥘 수 있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좋은 글의 요건, 김문오, 국립국어원, 2005
https://www.korean.go.kr/front/reportData/reportDataView.do?mn_id=209&report_seq=17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main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9) ’염치 불구하고‘ : ’불구하다‘가 얽매여 거리끼지 아니하다’는 뜻이지만 ‘염치 불고하고’가 바른 표현이다. ‘불고’는 돌아보지 아니하다는 뜻이다. 예) 그럼 염치 불고하고 한 잔 받을게.
(10) ’동점‘과 ’동률‘ : ’동점‘은 같은 점수를 의미하며 ’동률‘은 같은 비율이나 비례를 뜻한다. 예) 이번 스코어는 서로 동점이야. / 이번에 우리 반이 옆반과 승률에서 동률을 이루었다.
(11) ’내성적‘과 ’외성적‘ : ’내성적‘은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잘 표현하지 않는 경향을 뜻하며, ’외성적‘은 ’외향적‘으로 바꿔 써야 하며 속마음을 적극적으로 드러낸다는 의미이다. 예) 나는 내향적이라 집에 있는 게 제일 좋아. / 남편이 엄청 외향적이라 친구가 끊이질 않아요.
(12) ’정안수‘와 ’정한수‘ : 이른 새벽에 길은 우물물이란 뜻으로 가족들의 평안을 빌면서 정성을 들이거나 약을 달이는데 쓴 물을 말한다. 표준어는 ’정화수’라 써야 한다. 예) 노모는 새벽마다 정화수를 떠놓고 아들의 건강을 빌었다.
(13) ’전격적으로‘와 ’전면적으로‘ : ’전격적으로‘는 갑작스럽게 들이친다는 의미이며 ’전면적으로‘는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치는 것을 뜻한다. 예) 뉴스속보로 그 시행안이 전격적으로 발표되었다. / 집이 너무 낡아서 전면적으로 수리를 했다.
(14) ’갑절‘과 ’곱절‘ : ’갑절‘은 수량을 두 번 합친다는 뜻이고 ’곱절‘은 같은 수량을 몇 번이고 합친다는 뜻이다. 예) 나이가 나보다 갑절이나 많아. / 공사 비용이 세 곱절이나 초과했어.
(15) ’탓‘과 ’덕분‘ : ’탓‘은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원인의 의미로 쓰이며 ’덕분‘은 긍정적인 결과의 원인으로 쓰인다. 예) 상황이 이 지경이 된 건 다 네 탓이야. / 치열하게 노력한 덕분에 결국 우승 트로피를 손에 쥘 수 있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좋은 글의 요건, 김문오, 국립국어원, 2005
https://www.korean.go.kr/front/reportData/reportDataView.do?mn_id=209&report_seq=17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main
글쓰기. 고성환, 이상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9년
추천자료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
[2023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
2023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2023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글쓰기 2023] 1. 좋은 글의 요건 요약,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
[글쓰기 2023년] 1. 좋은 글의 요건을 요약,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 2. 다음 제시...
글쓰기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글쓰기 교재 제 2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
글쓰기 교재 제II부 제1장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 중 15개를 선...
글쓰기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