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세상으로 흡수하게 된다. 어떤 경험이든 방어하지 않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상태를 온전히 기능하는 사람인데, 대부분의 상황에서 나는 온전한 기능을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하는 경험의 90% 이상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가끔 내가 받아들이기 힘든 경험을 하면 그 상황을 회피하거나 깊이 생각하지 않으려고 하면서 내 마음이 편하도록 상황을 해석하려고 할 때가 있다. 그 경험이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10%의 경우가 될 것이다.
예를 들면, 타인과의 갈등이 일어났을 때 두려운 마음과 불편한 마음, 미안함, 분노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되면 나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가 힘들고, 어떻게 수용한다고 해도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물론 원만하게 풀 수 있다는 생각이 들거나 서로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 있다면 이를 시간을 들여서라도 잘 설명하고 풀어나갈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회피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이 힘들기는 하지만 되도록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노력한다. ‘잘 풀 수 있을거야’, ‘화해할 수 있을거야’, ‘저 사람에게 설명하면 나의 생각을 이해해줄거야’, 이런 식으로 말이다. 그런데 이렇게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것 역시 일종의 긍정적 왜곡의 일부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나는 현재 이 사람과 싸워서 갈등이 있는 상태이다’를 수용한 것은 아니라 볼 수 있다. 내가 경험하는 모든 경험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사람이 되려면 어떤 감정을 느껴도 흔들리지 않는 뿌리깊은 나무와도 같은 튼튼한 자아를 가진 사람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타인과의 갈등이 일어났을 때 두려운 마음과 불편한 마음, 미안함, 분노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되면 나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가 힘들고, 어떻게 수용한다고 해도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물론 원만하게 풀 수 있다는 생각이 들거나 서로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 있다면 이를 시간을 들여서라도 잘 설명하고 풀어나갈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회피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이 힘들기는 하지만 되도록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노력한다. ‘잘 풀 수 있을거야’, ‘화해할 수 있을거야’, ‘저 사람에게 설명하면 나의 생각을 이해해줄거야’, 이런 식으로 말이다. 그런데 이렇게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것 역시 일종의 긍정적 왜곡의 일부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나는 현재 이 사람과 싸워서 갈등이 있는 상태이다’를 수용한 것은 아니라 볼 수 있다. 내가 경험하는 모든 경험을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사람이 되려면 어떤 감정을 느껴도 흔들리지 않는 뿌리깊은 나무와도 같은 튼튼한 자아를 가진 사람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그 결...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설명 핵심적 ...
방통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서행동치료...
로저스의 현상학 이론의 핵심내용을 설명하고, 로저스의 현상학이론과 사회복지실천을 기술하...
인간중심상담, 합리정서, 행동상담(REBT), 현실치료 중 본인이 선호하는 상담접근 방법을 한...
[상담심리학 202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
(상담심리학 공통)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
2023 상담심리학 중간과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상담심리학 202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