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 : 울산광역시 북구, 문화원형 소재 : 박상진 의사 생가, 요구분석 : 공간형 콘텐츠를 활용한 역사적 인물의 이해와 관심 제고, 형식 : 스토리 텔링
(1) 기획 의도
(2) 선정 배경과 활용 방법
1) 선정 배경
2) 활용 방법
3) 최종 기획안
2. 참고 문헌
(1) 기획 의도
(2) 선정 배경과 활용 방법
1) 선정 배경
2) 활용 방법
3) 최종 기획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가능한 점에서 다른 의미가 있는 경험의 공간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 공간에서 비콘이나 증강현실 기술을 아예 안 쓰는 건 아니다. 다른 전시관보다 원본의 전시 비율이 높아서 이 공간만의 차별화된 특성이 있다는 거다. 따라서 유물은 자체의 그 모습 그대로 전시를 하되 ‘비콘’과 ‘증강현실’을 활용해 원본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도록 한다. 이런 관점에서 유품이나 초상화는 증강현실을 활용해 ‘박상진 의사’와 대화 또는 서찰을 작성하거나 유품을 사용하는 모습 등을 관람객들이 스마트폰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이 공간은 특히 ‘비콘’의 활용도가 아주 높다. 박상진 의사의 행적을 전시한 공간콘텐츠들은 유물보다 사건 위주로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실제 사건을 스토리 텔링을 활용해 영상 패널 또는 키오스크 등으로 제공한다. 관람객은 그러므로 이런 매체를 사용해 해당 전시 콘텐츠의 이해가 가능하다. 반면에 주로 유물이 전시된 전시관은 사전 지식이 없다면 해당 유물의 이해에 방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 전시관에서는 비콘을 활용해 유물과 관련 있는 다양한 역사적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람객들이 효과적으로 유물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게 한다. ‘비콘 기술’의 활용은 이처럼 각 전시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박상진 의사의 행적과 연관된 전시 공간의 경우에는 상덕상태상회 전시 콘텐츠가 제공 곤란한 여러 정보를 비콘을 통해서 관람객들에게 전달할 수가 있다. 왜냐하면, 전시기법과 전시 공간의 물리적 제약으로 인해서 유물과 연관된 다양한 정보를 모두 줄 순 없지만, ‘비콘’은 영상부터 텍스트까지 다양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주로 마케팅에서 활용하는 상품 쿠폰과 형태가 같은 전시 콘텐츠 메시지를 ‘비콘’에 탑재하고 관람객들에게 ‘박상진 의자’ 관련 서적, 기념품 증정 등의 이벤트들을 시행할 수 있다. 이런 ‘비콘’을 이용한 이벤트는 관람객들이 보물찾기와 비슷한 유희적 경험을 줌으로써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관람을 유도할 수 있다.
끝으로 ‘박상진 의사’의 영상체험 공간은 생가가 비좁아서 실내보다 실외에 조성하는 게 적절하지만, 실외는 날씨의 제약이 있을 수 있어서 생가의 날개채를 활용하였다. 이 방안은 수용 인원의 측면에서 제약이 있으나 상시 활용이 가능해서 높은 활용도를 자랑한다. 이 영상체험 공간에서는 대한광복회 활동, 우편 마차 세금 탈취사건, 박상진 의사의 생애 등을 상영하고 주기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해서 전시관 외에도 여타 교육기관에서 교육 자료로써 활용하게 한다. 이와 함께 영상체험공간과 미디어 파사드를 연계해서 오후 타임에 영상 콘텐츠를 미디어 파사드에서 상영하게 한다. 이런 이유는 실내의 영상 스크린보다 미디어 파사드가 관람객의 경험을 더 강렬히 자극하므로 ‘박상진 의사’의 역사적 의의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기에 효과가 매우 좋기 때문이다.
2. 참고 문헌
DBPia 지역 역사 인물의 문화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고헌 박상진 의사를 중심으로 2016, 태지호·권지혁
끝으로 ‘박상진 의사’의 영상체험 공간은 생가가 비좁아서 실내보다 실외에 조성하는 게 적절하지만, 실외는 날씨의 제약이 있을 수 있어서 생가의 날개채를 활용하였다. 이 방안은 수용 인원의 측면에서 제약이 있으나 상시 활용이 가능해서 높은 활용도를 자랑한다. 이 영상체험 공간에서는 대한광복회 활동, 우편 마차 세금 탈취사건, 박상진 의사의 생애 등을 상영하고 주기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해서 전시관 외에도 여타 교육기관에서 교육 자료로써 활용하게 한다. 이와 함께 영상체험공간과 미디어 파사드를 연계해서 오후 타임에 영상 콘텐츠를 미디어 파사드에서 상영하게 한다. 이런 이유는 실내의 영상 스크린보다 미디어 파사드가 관람객의 경험을 더 강렬히 자극하므로 ‘박상진 의사’의 역사적 의의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기에 효과가 매우 좋기 때문이다.
2. 참고 문헌
DBPia 지역 역사 인물의 문화콘텐츠 기획에 관한 연구-고헌 박상진 의사를 중심으로 2016, 태지호·권지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