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눈 값으로 계산되어 있다.)
결과값에 따라 비만과 과체중을 측정하는 기준은 기관마다 다른데,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결과값이 25가 넘을 경우 과체중, 30이 넘을 경우 비만에 해당한다.아시아 태평양지역과 대한비만학회는 23이 넘을 경우 과체중, 25가 넘을 경우 비만이라고 표기한다. 우리나라는 조금 더 세분화하여 표기하는데, 23~24.9 사이는 과체중 혹은 비만 전 단계, 25~29.9는 1단계비만, 30~34.9는 2단계 비만, 35이상은 3단계비만(고도비만)으로 표기한다.
<실측계산>
83÷(164÷100)²
= 83÷(1.64)²
= 30.85
따라서 2단계 비만에 해당한다.
6. 줄자를 이용해서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제시하고, 대한 비만학회의 허리둘레를 이용한 복부비만 기준을 근거로 복부비만 여부를 판정하시오.(허리둘레 29인치)
허리둘레: 101.5cm., 약 39인치이다.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허리둘레에 따른 복부비만 진단법은 허리둘레를 잰 후에 일정한 기준이 넘을 경우 ‘복부’비만이라고 진단한다. 그 기준은 남성의 경우 90cm, 여성의 경우 85cm이며 기준 이상일 때 복부비만이라고 진단한다. 2006년부터 사용되어왔던 기준의 값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복부비만 기준치인데, 그 당시 기준값은 남자 90cm, 여자 80cm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성인 남성의 평균 허리둘레는 82.9, 여성은 78.6으로 복부비만 기준치와 평균치가 근사하기 때문에 재평가가 필요해졌고 그에 따라 현재와 같이 바뀌었다.
따라서 필자가 실습을 위해 선정한 대상은 허리둘레가 약 101cm로, 복부비만에 해당한다.
결과값에 따라 비만과 과체중을 측정하는 기준은 기관마다 다른데,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결과값이 25가 넘을 경우 과체중, 30이 넘을 경우 비만에 해당한다.아시아 태평양지역과 대한비만학회는 23이 넘을 경우 과체중, 25가 넘을 경우 비만이라고 표기한다. 우리나라는 조금 더 세분화하여 표기하는데, 23~24.9 사이는 과체중 혹은 비만 전 단계, 25~29.9는 1단계비만, 30~34.9는 2단계 비만, 35이상은 3단계비만(고도비만)으로 표기한다.
<실측계산>
83÷(164÷100)²
= 83÷(1.64)²
= 30.85
따라서 2단계 비만에 해당한다.
6. 줄자를 이용해서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제시하고, 대한 비만학회의 허리둘레를 이용한 복부비만 기준을 근거로 복부비만 여부를 판정하시오.(허리둘레 29인치)
허리둘레: 101.5cm., 약 39인치이다.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허리둘레에 따른 복부비만 진단법은 허리둘레를 잰 후에 일정한 기준이 넘을 경우 ‘복부’비만이라고 진단한다. 그 기준은 남성의 경우 90cm, 여성의 경우 85cm이며 기준 이상일 때 복부비만이라고 진단한다. 2006년부터 사용되어왔던 기준의 값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복부비만 기준치인데, 그 당시 기준값은 남자 90cm, 여자 80cm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성인 남성의 평균 허리둘레는 82.9, 여성은 78.6으로 복부비만 기준치와 평균치가 근사하기 때문에 재평가가 필요해졌고 그에 따라 현재와 같이 바뀌었다.
따라서 필자가 실습을 위해 선정한 대상은 허리둘레가 약 101cm로, 복부비만에 해당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