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2) 다중지능이론의 9가지 지능
3) 다중지능이론의 적용 사례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2) 다중지능이론의 9가지 지능
3) 다중지능이론의 적용 사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 효율적인 경로를 찾으려고 노력해 보기도 한다.
강점지능과 다르게 약점지능은 어렸을 때부터 인지하고 있었다. 나의 약점지능은 신체/근육 운동적 지능이다. 이 지능이 높은 주변 친구들은 학교 장기자랑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유명 가수의 춤을 곧잘 따라 할 수 있었다. 동영상에 나오는 춤을 보고 바로 따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나는 동영상을 아무리 느리게 반복해서 봐도 그 동작들을 인지하기도 힘들었으며, 친구들이 집중적으로 가르쳐 줘도 안무를 따라하는 속도가 느렸다. 이러한 약점지능을 보완하기 위해서 꾸준히 운동을 배웠다. 특히 요가 수업을 오래 다녔는데, 선생님이 보여주는 동작을 완벽하게 따라 하는 데까지는 정말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선생님의 피드백에 의하면 1년 전에 비해 눈에 띄게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하고, 스스로 느끼기에도 몸의 유연성과 근력뿐만 아니라 타인의 동작을 보고 따라 할 수 있는 능력이 이전보다는 발전되었다고 느낀다.
3, 결론
인간의 본질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시작된 지능에 관한 인식론적인 연구는 철학 분야에서 시작되었지만, 오늘날 교육심리학에 있어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지능을 정의하는 많은 방법 중에서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은 인간은 각자의 고유한 능력과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존중하고 잘 가꾸어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는 현대 사회에서 따라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이론이며, 그가 제시하는 9가지(혹은 8가지) 지능은 모든 사람에게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9가지 지능 중에서 본인의 강점지능은 공간적 지능, 약점지능은 신체/근육 운동적 지능이며, 이를 더 강화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꾸준한 반복학습을 실천하고 있다.
4. 참고문헌
문용린, 유경재, 전종희 and 엄채윤. (2007). 개인의 역량 측정을 위한 다중지능 하위요소의 재분석. 교육심리연구, 21(2), 283-309.
안영진 and 고연경. (2007).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스펙트럼(Project Spectrum)에 따른 유아의 강점 구체화와 부모인식 변화 과정 고찰.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1(4), 133-155.
윤현숙. (2007).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4), 389-405.
전종희. (2018).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유아 및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349-373.
표준국어대사전
Gardner, H., (1993) 마음의 틀, 문음사
Nathan, B. (1999) What is intelligence?,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11:1, 19-25
Spearman, C. (1904). General Intelligence, Objectively Determined and Measured.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5, 201-292.
강점지능과 다르게 약점지능은 어렸을 때부터 인지하고 있었다. 나의 약점지능은 신체/근육 운동적 지능이다. 이 지능이 높은 주변 친구들은 학교 장기자랑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유명 가수의 춤을 곧잘 따라 할 수 있었다. 동영상에 나오는 춤을 보고 바로 따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나는 동영상을 아무리 느리게 반복해서 봐도 그 동작들을 인지하기도 힘들었으며, 친구들이 집중적으로 가르쳐 줘도 안무를 따라하는 속도가 느렸다. 이러한 약점지능을 보완하기 위해서 꾸준히 운동을 배웠다. 특히 요가 수업을 오래 다녔는데, 선생님이 보여주는 동작을 완벽하게 따라 하는 데까지는 정말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선생님의 피드백에 의하면 1년 전에 비해 눈에 띄게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하고, 스스로 느끼기에도 몸의 유연성과 근력뿐만 아니라 타인의 동작을 보고 따라 할 수 있는 능력이 이전보다는 발전되었다고 느낀다.
3, 결론
인간의 본질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시작된 지능에 관한 인식론적인 연구는 철학 분야에서 시작되었지만, 오늘날 교육심리학에 있어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지능을 정의하는 많은 방법 중에서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은 인간은 각자의 고유한 능력과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존중하고 잘 가꾸어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는 현대 사회에서 따라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이론이며, 그가 제시하는 9가지(혹은 8가지) 지능은 모든 사람에게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9가지 지능 중에서 본인의 강점지능은 공간적 지능, 약점지능은 신체/근육 운동적 지능이며, 이를 더 강화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꾸준한 반복학습을 실천하고 있다.
4. 참고문헌
문용린, 유경재, 전종희 and 엄채윤. (2007). 개인의 역량 측정을 위한 다중지능 하위요소의 재분석. 교육심리연구, 21(2), 283-309.
안영진 and 고연경. (2007).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스펙트럼(Project Spectrum)에 따른 유아의 강점 구체화와 부모인식 변화 과정 고찰.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1(4), 133-155.
윤현숙. (2007).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그리고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1(4), 389-405.
전종희. (2018).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유아 및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349-373.
표준국어대사전
Gardner, H., (1993) 마음의 틀, 문음사
Nathan, B. (1999) What is intelligence?,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11:1, 19-25
Spearman, C. (1904). General Intelligence, Objectively Determined and Measured.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5, 201-292.
추천자료
임상심리학 ) 지능의 새로운 개념인 다중지능이론에 관련된 영상자료를 찾아서 감상 한 후 느...
교육심리학 ) 다중지능이론에 대하여 조사하고 본인이 예측하는 자신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
다중지능 이론의 8가지 지능이 무엇인지 서술하고, 자신의 강점 지능과 약점 지능이 무엇인지...
다중지능이론에 대하여 조사하고 본인이 예측하는 자신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하여 그 ...
다중지능이론에 대하여 조사하고 본인이 예측하는 자신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하여 그 ...
교육심리학 다중지능이론에 대하여 조사하고 본인이 예측하는 자신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
다중지능이론에 대하여 조사하고 본인이 예측하는 자신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에 대하여 그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