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Study objectives
2. Study design (연구 목적에 적합한 설계법인가?)
3. Sampling procedure & Study sample characteristics
4. Is sampling method appropriate for methodology? Is sample adequately described?
5. Are the settings and contexts of research described?
6. Are ethical issues addressed?
7. How were data collected & analyzed?
8. Are the findings appropriately organized according to major themes, processes, or categories?
9. Raw data appropriately included?
10. References
1. Study objectives
2. Study design (연구 목적에 적합한 설계법인가?)
3. Sampling procedure & Study sample characteristics
4. Is sampling method appropriate for methodology? Is sample adequately described?
5. Are the settings and contexts of research described?
6. Are ethical issues addressed?
7. How were data collected & analyzed?
8. Are the findings appropriately organized according to major themes, processes, or categories?
9. Raw data appropriately included?
10. References
본문내용
주제는 5개의 대주제로 적절하게 분류된 것으로 보인다.
9. Raw data appropriately included?
원시 데이터는 연구 결과 기술에서 하위주제에 맞는 연구참여자들의 발언이 일부 제시되는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나머지 자료가 제시되어 있지 않고, 확인할 수 있는 경로도 제시되어 있지 않아 아쉽다. 또한 연구에서 면담 자료만 활용한 것이 아니고 다른 예술 작품들도 활용하였는데, 이는 잘 드러나지 않은 점이 아쉽다.
10. References
김애령.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적용의 문제. Trans-Humanities. 2009; 2(1): 231-257.
양은숙. 말기 암 환자 가족 보호자의 호스피스 돌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Van-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2019;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서명희, 정석희.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감염되지 않은 여성의 삶의 경험: 현상학적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 47(6): 781-793. https://doi.org/10.4040/jkan.2017.47.6.781
이종승.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파주: 교육과학사; 2009.
van Manen M. I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pp. 1-173.
9. Raw data appropriately included?
원시 데이터는 연구 결과 기술에서 하위주제에 맞는 연구참여자들의 발언이 일부 제시되는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나머지 자료가 제시되어 있지 않고, 확인할 수 있는 경로도 제시되어 있지 않아 아쉽다. 또한 연구에서 면담 자료만 활용한 것이 아니고 다른 예술 작품들도 활용하였는데, 이는 잘 드러나지 않은 점이 아쉽다.
10. References
김애령.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적용의 문제. Trans-Humanities. 2009; 2(1): 231-257.
양은숙. 말기 암 환자 가족 보호자의 호스피스 돌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Van-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2019;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서명희, 정석희. HIV 감염인 남편과 살아가는 감염되지 않은 여성의 삶의 경험: 현상학적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 47(6): 781-793. https://doi.org/10.4040/jkan.2017.47.6.781
이종승.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파주: 교육과학사; 2009.
van Manen M. I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pp. 1-17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