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
2. 이론적 배경
3. 내용중심 교수법이 근거를 두고 있는 원리
4. 내용중심 교수법의 유형
1). Immersion Education (몰입 수업)
2). Content Enriched Foreig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 (내용 강화 초등 외국어 모형)
3). Sheltered Model (언어보호 모형)
4). Theme Based Model (주제중심 모형)
5). Adjunct Model (부가 모형/병존 모형)
6).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범교육과정 쓰기 프로그램)
7).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특수 목적용 영어 )
8). 능력중심 모형(competency-based instruction)
5. 내용 중심 교수에서의 전략과 기법들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Content Instruction)
1). 입력의 수정(Modifying Input)
2). 상황적 단서들의 사용(Use of Contextual Cues)
3). 마무리, 지시 등.
4). 이해 체크하기(Checking Understanding)
5). 적절한 수업 기획하기(Designing Appropriate Lessons)
6. 수업절차
7. 교사 및 학습자 측면
1). 교사의 측면
2). 학습자의 측면
8. 내용중심교수법의 특징
9. 장점
10. 단점
11. 수업 적용의 유의점
참고문헌
2. 이론적 배경
3. 내용중심 교수법이 근거를 두고 있는 원리
4. 내용중심 교수법의 유형
1). Immersion Education (몰입 수업)
2). Content Enriched Foreig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 (내용 강화 초등 외국어 모형)
3). Sheltered Model (언어보호 모형)
4). Theme Based Model (주제중심 모형)
5). Adjunct Model (부가 모형/병존 모형)
6).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범교육과정 쓰기 프로그램)
7).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특수 목적용 영어 )
8). 능력중심 모형(competency-based instruction)
5. 내용 중심 교수에서의 전략과 기법들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Content Instruction)
1). 입력의 수정(Modifying Input)
2). 상황적 단서들의 사용(Use of Contextual Cues)
3). 마무리, 지시 등.
4). 이해 체크하기(Checking Understanding)
5). 적절한 수업 기획하기(Designing Appropriate Lessons)
6. 수업절차
7. 교사 및 학습자 측면
1). 교사의 측면
2). 학습자의 측면
8. 내용중심교수법의 특징
9. 장점
10. 단점
11. 수업 적용의 유의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 경험에 기초하여 교수가 이루어진다.
③ 언어는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학습하는 매체로 사용되어 질 때 학습되어 진다.
④ 교수자료는 의미 있는 내용을 전달하는데 사용되어 진다.
⑤ 교과내용에 따라 가르칠 언어 항목들이 선택되고, 그 제시 순서가 결정된다.
⑥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외에 학습 기술이 내용학습과 통합된다. (Five Skill - reading, writing, speaking, listening, study skill)
9. 장점
① 학습자 중심의 언어 학습법으로, 학습자의 수준, 흥미, 요구에 대한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의미 있는 학습을 의도한다.
② 수업 시간에 다루어지는 전공 내용은 학습자의 장기적 목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매우 유용하고 실제적인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언어를 학습하므로,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높여주게 된다.
③ 언어의 4가지 기능을 통합해서 가르칠 수 있으며, 학습 기능까지 가르칠 수 있다.
10. 단점
① 영어의 선택이나 제시 순서가 그 과목의 내용을 따르게 되어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괴리됨으로써 영어는 물론이고 그 과목의 학습도 전혀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② 교사가 영어뿐만 아니라 그 과목의 내용에 통달한 전문가여야 한다.
③ Team teaching의 경우, 언어교사와 교과목교사의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학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④ 학생들에게 내용학습과 언어학습의 이중 부담이 될 수 있다.
11. 수업 적용의 유의점
① 내용중심 교수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수업 내용의 수준이다. 실제 수업은 언어의 형식이나 기능보다도 수업내용에 초점이 맞춰지기 때문에 수업내용이 학습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하며 수준도 학습자의 지적 수준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어느 정도의 어휘와 수업내용에 대한 사전 지식을 학습한 대학교 이상의 수준이나, 어휘 수준과 내용의 수준이 그리 다를 것 같지 않은 유아기 아동의 수준에서 내용중심 교수법을 적용하는 것은 문제시 되지 않으나, 자신이 가진 어휘수준보다 높은 사고수준을 가진 중고등학교 학생에게 내용중심교수법을 적용하기란 쉽지 않다. 어휘수준을 따라가면 내용 수준이 낮아져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할 수 있고, 사고수준을 따라가면 어휘수준이 높아져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이해마저 불가능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②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내용을 중심으로 영어를 학습하므로 교사 또한 수업 내용에 대한 내용을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하고 사전에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통합교과 지향의 교사가 되어야 하겠다.
③ 문화적인 정보와 경험들도 통합할 수 있는지 고려한다. 이는 외국어 교육이 단순히 언어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도구로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보는 제 7차 교육과정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④ 내용과 과제가 의미 있고 흥미 있는 가치를 지녔는지 고려한다. 아무리 통합이 잘 되었더라도 학습자가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성취 효과는 떨어질 것이다. 따라서, 평소에 학생들의 관심 주제가 무엇인지 유심히 관찰하고 그 주제를 학생들의 영어수준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또한 필요하겠다.
참고문헌
외국어 교육 접근 방법과 교수법, 리차드, 잭 C., 서울 : Cambridge, 2003
김정렬(2003). 초등영어 통합 교육론. 한국문화사: 서울.
외국어교육의 교수 기법과 원리, Larsen-Freeman, Diane, 동인, 2003
방영주역(2003). 외국어 교육의 교수기법과 원리. 서울: 동인.
김진철 외.(2005). 초등영어교육. 경문사.
③ 언어는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학습하는 매체로 사용되어 질 때 학습되어 진다.
④ 교수자료는 의미 있는 내용을 전달하는데 사용되어 진다.
⑤ 교과내용에 따라 가르칠 언어 항목들이 선택되고, 그 제시 순서가 결정된다.
⑥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외에 학습 기술이 내용학습과 통합된다. (Five Skill - reading, writing, speaking, listening, study skill)
9. 장점
① 학습자 중심의 언어 학습법으로, 학습자의 수준, 흥미, 요구에 대한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의미 있는 학습을 의도한다.
② 수업 시간에 다루어지는 전공 내용은 학습자의 장기적 목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매우 유용하고 실제적인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언어를 학습하므로,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높여주게 된다.
③ 언어의 4가지 기능을 통합해서 가르칠 수 있으며, 학습 기능까지 가르칠 수 있다.
10. 단점
① 영어의 선택이나 제시 순서가 그 과목의 내용을 따르게 되어 학습자의 언어 능력과 괴리됨으로써 영어는 물론이고 그 과목의 학습도 전혀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② 교사가 영어뿐만 아니라 그 과목의 내용에 통달한 전문가여야 한다.
③ Team teaching의 경우, 언어교사와 교과목교사의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학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④ 학생들에게 내용학습과 언어학습의 이중 부담이 될 수 있다.
11. 수업 적용의 유의점
① 내용중심 교수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수업 내용의 수준이다. 실제 수업은 언어의 형식이나 기능보다도 수업내용에 초점이 맞춰지기 때문에 수업내용이 학습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하며 수준도 학습자의 지적 수준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어느 정도의 어휘와 수업내용에 대한 사전 지식을 학습한 대학교 이상의 수준이나, 어휘 수준과 내용의 수준이 그리 다를 것 같지 않은 유아기 아동의 수준에서 내용중심 교수법을 적용하는 것은 문제시 되지 않으나, 자신이 가진 어휘수준보다 높은 사고수준을 가진 중고등학교 학생에게 내용중심교수법을 적용하기란 쉽지 않다. 어휘수준을 따라가면 내용 수준이 낮아져 학습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할 수 있고, 사고수준을 따라가면 어휘수준이 높아져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이해마저 불가능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②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내용을 중심으로 영어를 학습하므로 교사 또한 수업 내용에 대한 내용을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하고 사전에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통합교과 지향의 교사가 되어야 하겠다.
③ 문화적인 정보와 경험들도 통합할 수 있는지 고려한다. 이는 외국어 교육이 단순히 언어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도구로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라고 보는 제 7차 교육과정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④ 내용과 과제가 의미 있고 흥미 있는 가치를 지녔는지 고려한다. 아무리 통합이 잘 되었더라도 학습자가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면 성취 효과는 떨어질 것이다. 따라서, 평소에 학생들의 관심 주제가 무엇인지 유심히 관찰하고 그 주제를 학생들의 영어수준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또한 필요하겠다.
참고문헌
외국어 교육 접근 방법과 교수법, 리차드, 잭 C., 서울 : Cambridge, 2003
김정렬(2003). 초등영어 통합 교육론. 한국문화사: 서울.
외국어교육의 교수 기법과 원리, Larsen-Freeman, Diane, 동인, 2003
방영주역(2003). 외국어 교육의 교수기법과 원리. 서울: 동인.
김진철 외.(2005). 초등영어교육. 경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영어 학습 이론 및 교수법
초등영어 교수법 요약
초등 영어 읽기 교육
[평생교육방법론]평생교육프로그램 평가 - Brainy 영어수업의 교수-학습기법 분석
독일어와 영어의 문형론에 관한 교수법적 연구
[영어교육][중학교영어]중학교(중등) 영어과(영어교육) 특징과 목표, 중학교(중등) 영어과(영...
국어과교육(국어교육) 협력학습과 소집단토의학습, 국어과교육(국어교육) 창의적교수학습과 ...
외국어교수법; 일본어교수법; 문법번역식, 구두언어식,전신 반응식,침묵식, 암시적, 의사소통...
[듣기][듣기교육][듣기지도]듣기의 정의, 듣기의 중요성, 듣기교육(듣기지도)의 원리, 듣기교...
영어과, 국어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지도, 수학과, 사회과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
4학년) <영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62-63쪽 (1/5 )차시)자연교수법(Natural Approach)...
한국어 교수 학습법 적용 사례 -전신반응 교수법을 활용하여
영어 학습에 있어, 청화식 교수법과 청취의 종류, 청취 교수법의 흐름에 관하여 일아 보자.
[방통대 3학년 1학기 영어 교수법 공통형] - 중간과제물 (과제명 : 학습자 변인 중에서 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