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 많이 나눈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부모가 아이의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질문을 연관성을 가지고 물어보고 아이는 이에 대해 즉각적으로 본인이 알고 있는 정보와 지식을 답함으로써 축적된 지식을 점차 늘려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아 방지의 차원에서 평소에 엄마의 휴대폰 번호를 정확히 외우고 있는 점이나 설탕이 많이 함유된 식품은 치아 건강에 안 좋다는 건강 정보까지 꿰고 있다는 점은 26개월의 연령에 비해 굉장히 뛰어난 발달 상황으로, 두뇌 발달과 언어발달이 균형적으로 잘 어우러지고 있다 판단된다. 또한 무의식중에 엄마를 어머니라고 표현한다던가 단 음식은 건강에 안 좋다는 상황에서 정보를 추가 확장하여 아이는 커피를 못 마시고 콜라도 역시 달아서 안된다고 말하는 상황은 일반적인 26개월 또래 남아에서는 흔하게 관찰되지 않는 상황으로, 다양한 책 읽기와 상식에 관한 폭넓은 주제의 대화 등의 자극이 평소에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아이가 울자 아빠가 남자는 우는 게 아니라는 식의 비교적 옛 방식의 가벼운 훈육을 하자, 아이가 남자인 자기도 지금 울고 있다는 식의 대응은 매우 재치 있으면서도 현재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조리 있는 말로 자신을 항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또래에 비해 매우 성숙한 대응이라고 볼 수 있다. 본인의 의사를 논리적인 문장구조로 정확히 표현하며 실수로 넘어졌을 때에도 무조건 울거나 떼를 쓰지 않고 상황을 판단하여 울지 않아도 된다는 상황을 본인 스스로에게 주입시키며 괜찮아, 안 울어 되뇌는 것은 또래에서 보기 힘든 모습이라 이 역시 굉장히 성숙하고 뛰어난 상황 대처 능력을 갖추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한마디로 영상에 출연한 26개월 아동의 언어 발달은 연령에 비해 적절한 것을 뛰어넘어 최상위 그룹에 해당되는 어휘와 문장구조, 논리적 표현을 갖춘 고급 언어를 구사한다고 분석할 수 있다.
출처 및 참고 문헌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 및 성별에 따른 언어 발달 차이, 이민주 외 2인,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174923399
어휘력 풍부! 언어 자극법, 우리아이 나쁜 버릇 바로잡기, 이정은, 김영사, 2009.01.2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76713&cid=42830&categoryId=42830
출처 및 참고 문헌
유아의 미디어 이용 시간 및 성별에 따른 언어 발달 차이, 이민주 외 2인,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174923399
어휘력 풍부! 언어 자극법, 우리아이 나쁜 버릇 바로잡기, 이정은, 김영사, 2009.01.2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76713&cid=42830&categoryId=42830
추천자료
유아기의 기본생활습관
유치원 부모교육 프로그램
몬테소리 교육
정신지체아 언어발달의 특징과 과정, 정신지체아 언어발달의 영향요인, 정신지체아 언어발달...
정신지체아동 언어발달 특성, 정신지체아동 언어발달 단계, 정신지체아동 언어발달과 인지발...
교육공학3)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를 참고, 본인의 교육공학의 정의를 내리고, ...
{교육공학3} 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를 참고하여 자기 자신 나름대로의 교육공...
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를 참고하여 자기 자신 나름대로의 교육공학에 대한 정...
교육공학2019) 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를 참고하여 자기 자신 나름대로의 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