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 인간관계론_동기부여의 개념과 이론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디어를 생각하고 실현하며,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욕구다. 마지막으로는 \"자기 발전 요구\"다. 이는 개인이 자기 자신을 더욱 발전시키고 향상시키기 위한 욕구다.
앨더퍼는 이러한 성장욕구가 만족되지 않으면, 개인의 자아 개발과 인간성 발휘가 어렵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조직이 개인의 성장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능력 발휘와 자기 개발에 대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 이론에서는 이러한 욕구들이 위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동기 부여를 결정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만족되지 않은 욕구가 다른 욕구로 대체될 수 있다고 제시하며, 욕구의 만족이 동기 부여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만족되지 않은 욕구가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머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과 달리, ERG 이론에서는 같은 욕구가 여러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고, 욕구가 대체될 수 있으므로 조직에서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3)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은 일의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시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일의 만족과 불만족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① 동기요인(motivator) 또는 만족요인(satisfier)
일의 성취감, 자신감, 자기 계발 등 개인의 성장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인으로서, 일의 성취에 대한 보상, 인정,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부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만족 요인들은 개인이 일을 할 때 그 일 자체에서 얻는 쾌감과 연관되어 있다.
② 위생요인(hygiene factor) 또는 불만요인(dissatisfier)
일의 조건, 보상, 대우, 규정 등과 같은 일 자체가 아닌 일에 대한 환경적인 요인들로서, 급여, 근무시간, 근무조건, 조직문화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불만족 요인들은 개인이 일을 할 때 만족하지 못할 때 느끼는 불만족과 연관되어 있다.
허즈버그는 이러한 두 개의 요인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주장했으며, 만족 요인들이 충족되어도 불만족 요인들이 해소되지 않으면 일의 불만족이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조직은 일의 만족을 증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불만족 요인들을 해소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3. 결론
현대 사회에서 우리에게 가장 부합하는 동기부여 이론은 무엇일까? 본인은 머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인간의 욕구가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부터 출발하여 자아 실현의 욕구까지 점차 발전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가 만족되지 않을 경우 동기부여가 감소하게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의 사회에서는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었더라도 사회적 관계, 존경, 자아 실현 등 보다 높은 수준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직장이나 학교 등에서의 동기부여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머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은 여전히 현재에 부합하는 유용한 이론 중 하나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박신자(Shin Ja Park). \"인간행동과 동기부여.\"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6.- (1989): 29-43.
-김홍옥. \"성과관리제도가 경찰공무원 사기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2. 서울
-김남진. \"허즈버그의 二要因 理論이 職務 滿足에 미치는 影響 硏究.\" 국내석사학위논문 延世大學校, 1992. 서울
-김석회. \"현대인력관리에 있어서의 성취동기이론.\" 産業經營硏究 -.1 (1994): 7-29.
-이종수, 대영문화사, 행정학사전, 2009.01.15
앨더퍼는 이러한 성장욕구가 만족되지 않으면, 개인의 자아 개발과 인간성 발휘가 어렵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조직이 개인의 성장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능력 발휘와 자기 개발에 대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 이론에서는 이러한 욕구들이 위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동기 부여를 결정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만족되지 않은 욕구가 다른 욕구로 대체될 수 있다고 제시하며, 욕구의 만족이 동기 부여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만족되지 않은 욕구가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머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과 달리, ERG 이론에서는 같은 욕구가 여러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고, 욕구가 대체될 수 있으므로 조직에서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3)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은 일의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제시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일의 만족과 불만족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① 동기요인(motivator) 또는 만족요인(satisfier)
일의 성취감, 자신감, 자기 계발 등 개인의 성장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인으로서, 일의 성취에 대한 보상, 인정,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부심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만족 요인들은 개인이 일을 할 때 그 일 자체에서 얻는 쾌감과 연관되어 있다.
② 위생요인(hygiene factor) 또는 불만요인(dissatisfier)
일의 조건, 보상, 대우, 규정 등과 같은 일 자체가 아닌 일에 대한 환경적인 요인들로서, 급여, 근무시간, 근무조건, 조직문화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불만족 요인들은 개인이 일을 할 때 만족하지 못할 때 느끼는 불만족과 연관되어 있다.
허즈버그는 이러한 두 개의 요인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주장했으며, 만족 요인들이 충족되어도 불만족 요인들이 해소되지 않으면 일의 불만족이 지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조직은 일의 만족을 증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불만족 요인들을 해소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3. 결론
현대 사회에서 우리에게 가장 부합하는 동기부여 이론은 무엇일까? 본인은 머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인간의 욕구가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부터 출발하여 자아 실현의 욕구까지 점차 발전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가 만족되지 않을 경우 동기부여가 감소하게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의 사회에서는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었더라도 사회적 관계, 존경, 자아 실현 등 보다 높은 수준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직장이나 학교 등에서의 동기부여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머슬로의 욕구 단계 이론은 여전히 현재에 부합하는 유용한 이론 중 하나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박신자(Shin Ja Park). \"인간행동과 동기부여.\"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6.- (1989): 29-43.
-김홍옥. \"성과관리제도가 경찰공무원 사기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2. 서울
-김남진. \"허즈버그의 二要因 理論이 職務 滿足에 미치는 影響 硏究.\" 국내석사학위논문 延世大學校, 1992. 서울
-김석회. \"현대인력관리에 있어서의 성취동기이론.\" 産業經營硏究 -.1 (1994): 7-29.
-이종수, 대영문화사, 행정학사전, 2009.01.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