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많이 미안해 하셨지만, 스스로 이미 자아 정체성이 공부보다는 일찍 사회에 나가서 일하는 게 맞다고 판단하게 되어서 내린 결정이라 지금 현재에도 전혀 후회는 없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마음이 맞는 회사 동료들도 많이 생겨서 퇴근하고 많이 놀기도 하였고, 또 여러 사랑과 이별을 통해서 친밀감을 쌓았다가도 고립감을 크게 느끼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소개팅을 주선해 준 회사 동료 언니 덕분에 지금의 남편을 만나서 2년 연애 끝에 결혼을 이루어낸 시기이기도 하다.
7단계인 생산성 대 침체감 단계이다. 이제는 결혼한지도 어느새 21주년이다. 그 사이에 딸고 아들을 낳아서 기르고 있었으며, 이제는 아이들을 위해서 어떻게 배려를 하고 또 이제는 아이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의 나는 어떠한 일들을 할 수 있는지 찾아보는 시기가 되었다. 아이들을 낳고 기르면서 워킹맘으로도 성공하고 싶었던 욕심이 있었지만, 지금만큼의 사회적 분위기가 확립되지 않아서 아이를 낳았다는 이유만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만큼 가정을 일구고 또 아이들을 낳고 키우고, 남편 역시 그만큼 더 열심히 일하고 아이들을 같이 키웠기 때문에 풍부하게는 하지 못했어도 남들만큼 부족함 없이 살아왔다고 생각한다. 지금 시기에는 특히나 이제는 아이들도 다들 갓 성인이 되거나 고등학생이여서 그들의 출발을 열렬하게 응원하고 있으며, 생활에 여유가 생겨서 유기견 봉사와 같은 사회적인 활동에도 눈길을 주고 있다.
3.결론
전생애적 관점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 고전 발달 이론보다는 좀 더 주목을 하고 있는 편이기는 하지만 아직 완벽하게 정립 되지 않은 이론이라고도 보는 경우도 대다수이다. 이렇게 주목받고 있는 전생애적 관점을 어떻게 사용하여서 어떻게 실제 사례에 접근시킬 것인가도 중요하며, 다른 학문들보다도 하나의 연구 사례가 너무 방대한 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의 시작은 할 수 있어도 끝을 보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순하게 신체적으로 성장하는 아동기, 청소년기에만 인간의 정신적인 부분도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던 기존의 발달 이론보다는 전 생애적 관점이 분명하게 발달 심리학의 발전을 이끄는데도 충분히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전 생애적 발달 관점을 통해서 모든 사람들은 노화의 관점, 그리고 노년층의 관점들을 단순하게 그들의 끝은 죽음이라고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현명하게 노년층을 보낼 수 있을지, 그리고 그들의 발전이 있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인생에서는 쇠퇴를 겪는 나이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현명하게 노화를 맞이할 수 있을지 등 또 다른 발달의 발전을 위해서 노력할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또 우리가 말하는 노년학, 그리고 죽음 등과 같은 학문에 대해서도 연구, 그리고 발전을 이루어 내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고도 생각하게 되었다.
4.참고문헌
- 국립특수교육원,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2009
-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2014
- 하지현, 해냄출판사, 정신의학의 탄생, 2016
7단계인 생산성 대 침체감 단계이다. 이제는 결혼한지도 어느새 21주년이다. 그 사이에 딸고 아들을 낳아서 기르고 있었으며, 이제는 아이들을 위해서 어떻게 배려를 하고 또 이제는 아이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의 나는 어떠한 일들을 할 수 있는지 찾아보는 시기가 되었다. 아이들을 낳고 기르면서 워킹맘으로도 성공하고 싶었던 욕심이 있었지만, 지금만큼의 사회적 분위기가 확립되지 않아서 아이를 낳았다는 이유만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만큼 가정을 일구고 또 아이들을 낳고 키우고, 남편 역시 그만큼 더 열심히 일하고 아이들을 같이 키웠기 때문에 풍부하게는 하지 못했어도 남들만큼 부족함 없이 살아왔다고 생각한다. 지금 시기에는 특히나 이제는 아이들도 다들 갓 성인이 되거나 고등학생이여서 그들의 출발을 열렬하게 응원하고 있으며, 생활에 여유가 생겨서 유기견 봉사와 같은 사회적인 활동에도 눈길을 주고 있다.
3.결론
전생애적 관점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 고전 발달 이론보다는 좀 더 주목을 하고 있는 편이기는 하지만 아직 완벽하게 정립 되지 않은 이론이라고도 보는 경우도 대다수이다. 이렇게 주목받고 있는 전생애적 관점을 어떻게 사용하여서 어떻게 실제 사례에 접근시킬 것인가도 중요하며, 다른 학문들보다도 하나의 연구 사례가 너무 방대한 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의 시작은 할 수 있어도 끝을 보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순하게 신체적으로 성장하는 아동기, 청소년기에만 인간의 정신적인 부분도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던 기존의 발달 이론보다는 전 생애적 관점이 분명하게 발달 심리학의 발전을 이끄는데도 충분히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전 생애적 발달 관점을 통해서 모든 사람들은 노화의 관점, 그리고 노년층의 관점들을 단순하게 그들의 끝은 죽음이라고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더 현명하게 노년층을 보낼 수 있을지, 그리고 그들의 발전이 있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인생에서는 쇠퇴를 겪는 나이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현명하게 노화를 맞이할 수 있을지 등 또 다른 발달의 발전을 위해서 노력할 수 있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또 우리가 말하는 노년학, 그리고 죽음 등과 같은 학문에 대해서도 연구, 그리고 발전을 이루어 내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고도 생각하게 되었다.
4.참고문헌
- 국립특수교육원,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2009
-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2014
- 하지현, 해냄출판사, 정신의학의 탄생, 2016
추천자료
교육과 심리학의 관계
(아동발달A형)영아의 애착과 발달에 대하여 고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가족상담및치료4공통) 정신분석이론의 전제와 주요 개념을 설명한 뒤, 이 이론이 가족상담 및...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주요개념 심리성적 발달단계 프로이드의 성격발달단계이론 프로이드...
자신의 전 생애적 발달 특성 분석
교육심리학 )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교육심리학 4학년) 1. 매슬로(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