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양적 연구의 의의
2, 양적 연구의 필요성
III. 결론
IV. 출처
II. 본론
1. 양적 연구의 의의
2, 양적 연구의 필요성
III. 결론
IV. 출처
본문내용
,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양적 연구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연구 결과를 다른 분야에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나. 가설의 검증과 규칙의 발견
양적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자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하나의 가설을 세우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해당 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소한 변인들의 영향과 효과를 배제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변인들만이 가지고 있는 인과관계를 숫자를 통해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다. 양적 연구에서는 수집되는 자료가 모두 정량적이고 수치화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자료는 연구자가 변수 간의 상대적인 관계를 파악하기 쉽게 만들어주고, 연구자는 연구의 결과를 다른 연구와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구자는 양적 자료를 통해 연구 결과에 있어서의 타당성과 더 넓은 범위로의 일반화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다.
III. 결론
양적 연구방식에서는 인간 역시 자연계의 일부이기 때문에 자연 현상과 사회 현상에는 본질적 차이가 없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두 가지를 비교해보면, 자연현상에는 가치가 개입되지 않지만 사회현상의 경우에는 인간의 가치가 개입된다는 차이가 있다. 사회 현상의 경우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특수한 의미나 문화가 현상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현상의 경우 다양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고 개입하기 때문에, 하나의 법칙이나 규칙을 정립하는 것이 논리적으로나 이상적으로는 가능할지 몰라도, 현실적으로 그것이 정말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비판이 존재하기도 한다. 따라서 양적 연구방식만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해당 방식만을 전적으로 이용하기 보다는 상황에 맞게 질적 연구방식 역시 적용하는 것이 연구의 실용성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사회과학 분야에 있어 통합연구 방식이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더 구체적, 또는 포괄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방법론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가 활성화되고, 각 연구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다양한 형태의 통합연구를 개발함을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V. 출처
김미숙. (2006).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통합에 대하여. 교육사회학연구, 16(3), 43-64.
나. 가설의 검증과 규칙의 발견
양적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자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하나의 가설을 세우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해당 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소한 변인들의 영향과 효과를 배제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변인들만이 가지고 있는 인과관계를 숫자를 통해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다. 양적 연구에서는 수집되는 자료가 모두 정량적이고 수치화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자료는 연구자가 변수 간의 상대적인 관계를 파악하기 쉽게 만들어주고, 연구자는 연구의 결과를 다른 연구와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구자는 양적 자료를 통해 연구 결과에 있어서의 타당성과 더 넓은 범위로의 일반화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다.
III. 결론
양적 연구방식에서는 인간 역시 자연계의 일부이기 때문에 자연 현상과 사회 현상에는 본질적 차이가 없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두 가지를 비교해보면, 자연현상에는 가치가 개입되지 않지만 사회현상의 경우에는 인간의 가치가 개입된다는 차이가 있다. 사회 현상의 경우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특수한 의미나 문화가 현상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현상의 경우 다양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고 개입하기 때문에, 하나의 법칙이나 규칙을 정립하는 것이 논리적으로나 이상적으로는 가능할지 몰라도, 현실적으로 그것이 정말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비판이 존재하기도 한다. 따라서 양적 연구방식만을 전적으로 신뢰하고 해당 방식만을 전적으로 이용하기 보다는 상황에 맞게 질적 연구방식 역시 적용하는 것이 연구의 실용성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사회과학 분야에 있어 통합연구 방식이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더 구체적, 또는 포괄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방법론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가 활성화되고, 각 연구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다양한 형태의 통합연구를 개발함을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V. 출처
김미숙. (2006).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통합에 대하여. 교육사회학연구, 16(3), 43-64.
추천자료
사회조사연구방법(관찰법,면접법,질문지법()
사회과교육 의사결정학습과 가상체험학습(모의놀이학습, 모의상황학습), 사회과교육 주제중심...
[유아교육평가 E형] 질적연구의 개념은 무엇이고 이것을 실시한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유아교육평가 B형] 표집의 개념과 의의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각 입장...
[사회복지조사방법] 사회복지조사의 개념과 필요성, 사회복지조사의 종류, 사회복지조사과정
[조사 방법론] 문헌조사법과 면접법을 이용한 방법론 구성 (연구 문제 형성 연구의 혼용)
[2020 사회복지조사론3공통] 1) 사회복지조사론 1강 강의를 들은 후, 새로운 상상을 위한 사...
조사방법론 ) 양적분석기법의 의의와 필요성을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