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휨부재인 보의 최대철근비와 최소철근비 식을 유도하시오.
2. 복근보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와 복근보의 설계휨강도 구하는 개념을 설명하시오.
3. 참고문헌
1. 휨부재인 보의 최대철근비와 최소철근비 식을 유도하시오.
2. 복근보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와 복근보의 설계휨강도 구하는 개념을 설명하시오.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우 부재의 인장철근 변형률()이 휨부재 설계조건인 이상이며, 압축철근이 항복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부재가 최대 내력에 도달했을 때의 인장철근의 응력()과 압축철근 ()의 응력을 철근의 항복강도()로 대체하여 계산할 수 있다. 힘의 평형조건을 이용하여 중립축의 깊이()를 계산한다. 변형의 적합조건을 이용하여 인장철근과 압축철근의 변형률을 계산하여 앞선 가정이 옳은지 판단한다. 가 보다 크며 압축철근이 항복하여 가정이 모두 맞을 경우 휨모멘트()를 계산한다. 인장파괴하지만 압축철근이 항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중립축의 깊이()를 다시 계산한다. 즉 =이지만 <이므로 압축철근이 항복하기 이전인 탄성상태의 응력-변형률 관계식을 대입한다. 변형의 적합조건에서 계산한 식을 정리하면 중립축의 깊이()에 대한 2차식을 유도할 수 있다. 를 대입하여 압축철근의 변형률()과 응력()을 다시 계산하고 항복강도에 도달하지 않은 압축철근의 응력으로 휨모멘트를 계산한다. 최외단 인장철근의 변형률()이 이상인지 재검토하여 설계가능성을 확인하고 강도감소계수()를 계산하여 설계모멘트()를 계산한다. 등가 직사각형 압축응력블록을 이용한 해석의 경우 등가 압축 응력블록의 깊이()와 휨모멘트()을 다르게 계산한다. 힘의 평형조건을 이용하여 등가 압축응력블록의 깊이()를 계산한다. 인장철근과 압축철근의 변형률을 계산하여 가정이 옳은지를 판단하고 을 대입하여 중립축의 깊이()에 대한 2차식을 유도한다. 항복강도에 도달하지 않은 압축철근의 응력()을 대입하고 휨모멘트를 계산한다.
3. 참고문헌
이정윤, 철근콘크리트 구조, 동화기술, 2020.
3. 참고문헌
이정윤, 철근콘크리트 구조, 동화기술, 2020.
추천자료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 설계 1 기본 핵심 이론 (환산 단면, 설계법, 하중계수, 균형보, 균형 ...
철근 콘크리트 보의 휨 설계 2 기본 핵심 이론 (강도 설계법, 단철근보, T형보, 복철근보 휨 ...
설계 휨강도를 구하여라
탄성, 소성, 응력, 강도 등의 용어정리 및 힘의 단위 그리스 문자 발음, 공학에서 쓰이는 기...
복철근 콘크리트보 단면 설계
동명사 철큰콘크리트 저자변영균,5장문제풀이
t 형 플레이트거더 설계
영남대 철근콘크리트 공학 T형교 설계 과제
철골콘크리트 ) 1. 휨부재인 보의 최대철근비와 최소철근비 식을 유도하시오. 2. 복근보를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