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압하기 위해 최루탄을 무자비하게 던지면서 이한열 대학생이 맞게 되었다. 또 전두환 대통령의 4·13호헌조치의 발표와 함께 여러 사회단체와 학생들은 비판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1987년 6월9일에 연세대 학생 이한열이 최루탄에 맞고 사망하자 또 한번 국민들의 분노가 폭발하게 되었다. 1987년 6월23일 호헌철폐와 군부정권 독재종식을 위해 서울지역의 대학생들이 모여 국민평화대행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대학생들 대부분이 시위에 참여했고 그 밖에 다른 사람들도 너 나 할 것 없이 들고 일어났다. 많은 국민들이 저항하자 전두환 정권에서 노태우대표에게 6·29 선언을 발표했는데 대통령 직선제의 개헌과 선거법 개정, 김대중 사면과 언론의 자유, 국민들의 인권과 신체보장, 사회에 있는 각 부문마다 자치와 자율을 보장, 정당의 자유로운 활동 보장, 사회 정화 조치의 내용을 담은 발표로 국민운동은 일단락 되었다. 6월항쟁 http://www.610.or.kr
③ 사건 이후 우리 역사에 끼친 영향
6월달에 일어난 민주항쟁 이후 이한열 열사의 추모행진을 서울에서 대규모로 진행되었고 대통령 직선제가 시작되었다. 그 결과 12월 16일에 제13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6월항쟁 이후 독재정권이 해재되자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을 해왔던 노동자들의 투쟁도 일어났다. 또 여성들이 사회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6월항쟁 당시 비폭력과 평화투쟁으로 엄마들이 전경들에게 꽃을 달아주는 모습을 보였다. 이 때를 계기로 광우병 사태가 일어났을 때는 유모차, 세월호 사건이 일어 났을 때는 노란색 리본, 박근혜대통령 탄핵 사태에서는 촛불을 들고 집회를 이어나가게 되었다. 윤진석기자, 김현“비폭력 평화투쟁6월항쟁, 승리의 기억은 계속된다” 시사오늘 2019.7.25
④ 선택한 사건이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 현재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등에 대해 서술
6월항쟁에 대한 사건은 현재에서는 <1987> 이라는 영화로도 나왔고 <꼬리에꼬리를 무는 이야기>등 이 날의 진실을 알려주는 내용의 방송들이 나오면서 다시 한번 많은 희생을 치루며 대통령직선제와 민주주의를 열게 한 중요한 사건으로 기억할 것이다. 사건들을 기념할 수 있는 장소와 기록들이 있기 때문에 국민들이 한번 씩 찾아가 보기도 할 것이다. 우리사회에 민주주의로 발전할 수 있는 영향을 주었고 특정 대상이 아닌 모든 사람들이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게 되면서 다양한 국민운동이 사회 각 부문에서 결성이 되고 자유롭게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현재도 대규모 시위, 집회를 볼 수 있고 대학교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운동도 많이 생겨났다. 학생들은 학생들의 권리를 위해, 노동자들은 노동현장의 개선을 위한 투쟁, 의료인들은 의료투쟁, 동물보호연대는 동물보호와 관련된 운동을, 국가적으로 발생한 사건이나 재난(세월호, 이태원압사사고 등)에 대한 진실규명을 요구하는 집회, 장애인인권 투쟁으로 인해 법 개정을 요구하는 등 자신들의 권리와 노동, 생존권을 요구하는 운동들이 많이 일어나게 되는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또한 대통령 직선제가 시행되면서 국민들은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자신의 선택으로 대통령을 뽑을 수 있게 되었다.
4. 참고문헌
윤진석기자, 김현“비폭력 평화투쟁 6월항쟁, 승리의 기억은 계속된다” 시사오늘 2019.7.25
이정은, <유관순>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임술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광무개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진욱, 해방직후 임정세력의 반탁운동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6월항쟁 http://www.610.or.kr
③ 사건 이후 우리 역사에 끼친 영향
6월달에 일어난 민주항쟁 이후 이한열 열사의 추모행진을 서울에서 대규모로 진행되었고 대통령 직선제가 시작되었다. 그 결과 12월 16일에 제13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6월항쟁 이후 독재정권이 해재되자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을 해왔던 노동자들의 투쟁도 일어났다. 또 여성들이 사회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6월항쟁 당시 비폭력과 평화투쟁으로 엄마들이 전경들에게 꽃을 달아주는 모습을 보였다. 이 때를 계기로 광우병 사태가 일어났을 때는 유모차, 세월호 사건이 일어 났을 때는 노란색 리본, 박근혜대통령 탄핵 사태에서는 촛불을 들고 집회를 이어나가게 되었다. 윤진석기자, 김현“비폭력 평화투쟁6월항쟁, 승리의 기억은 계속된다” 시사오늘 2019.7.25
④ 선택한 사건이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 현재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등에 대해 서술
6월항쟁에 대한 사건은 현재에서는 <1987> 이라는 영화로도 나왔고 <꼬리에꼬리를 무는 이야기>등 이 날의 진실을 알려주는 내용의 방송들이 나오면서 다시 한번 많은 희생을 치루며 대통령직선제와 민주주의를 열게 한 중요한 사건으로 기억할 것이다. 사건들을 기념할 수 있는 장소와 기록들이 있기 때문에 국민들이 한번 씩 찾아가 보기도 할 것이다. 우리사회에 민주주의로 발전할 수 있는 영향을 주었고 특정 대상이 아닌 모든 사람들이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게 되면서 다양한 국민운동이 사회 각 부문에서 결성이 되고 자유롭게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현재도 대규모 시위, 집회를 볼 수 있고 대학교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운동도 많이 생겨났다. 학생들은 학생들의 권리를 위해, 노동자들은 노동현장의 개선을 위한 투쟁, 의료인들은 의료투쟁, 동물보호연대는 동물보호와 관련된 운동을, 국가적으로 발생한 사건이나 재난(세월호, 이태원압사사고 등)에 대한 진실규명을 요구하는 집회, 장애인인권 투쟁으로 인해 법 개정을 요구하는 등 자신들의 권리와 노동, 생존권을 요구하는 운동들이 많이 일어나게 되는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또한 대통령 직선제가 시행되면서 국민들은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자신의 선택으로 대통령을 뽑을 수 있게 되었다.
4. 참고문헌
윤진석기자, 김현“비폭력 평화투쟁 6월항쟁, 승리의 기억은 계속된다” 시사오늘 2019.7.25
이정은, <유관순>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임술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광무개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진욱, 해방직후 임정세력의 반탁운동에 관한 고찰,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6월항쟁 http://www.610.or.kr
추천자료
방송대_22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한국사의이해(공통) -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
방송대_22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한국사의이해(공통) -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
방송대_22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한국사의이해(공통) -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한...
2023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시험과제물, 1. (1) 1862년 농민봉기 (2) 광무개혁 (3) 1910년대...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시험과제물, 1. (1) 1862년 농민봉기 (2) 광무개혁 (3) 1910년대...
2023년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
한국사의이해 기말 2023)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1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