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2.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3.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과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
4. 모스크바 3상회의를 둘러싼 국내 정치 세력의 대응
5.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업적이 나에게 미친 영향
6.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사건: 전태일 분신 사건
7. 출처 및 참고문헌
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2.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3.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과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
4. 모스크바 3상회의를 둘러싼 국내 정치 세력의 대응
5.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업적이 나에게 미친 영향
6.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사건: 전태일 분신 사건
7.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을 요구하였으며 학생들은 추도식, 단식농성과 시위를 벌이며 노동문제 해결을 요구하였다. 전태일의 어머니는 아들의 죽음 이후 근로기준법의 준수, 노조 활동의 허용 등과 관련하여 약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장례를 치르지 않겠다 하였다. 이에 노동청장이 공개적 사과와 함께 요구사항을 이행할 것이라 약속하자 장례를 치르게 되었다. 그해 11월 17일 전태일의 친구들은 최초의 민주노조인 ‘전국연합노조 청계피복노동조합’을 결성하였으며 전태일의 죽음은 한국사회 민주화의 정신적 원동력이 되어 그 의의가 크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오픈아카이브, “전태일 분신”
https://archives.kdemo.or.kr/collections/view/10000015 2023.05.11
전태일 분신 사건은 기록이나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회자되며 우리 역사에서 잊을 수 없는 사건이 되었으며 그의 정신은 아직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의 기억 속에서 전태일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일했던 이름 없는 청년 노동자, 자신보다 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일했던 여공들을 위해 현실의 장벽을 부수고자 끊임없이 호소하고 알리고자 한 자, 변하지 않는 현실에 자신을 희생하여 세상을 바꾸고자 했던 그 불굴의 의지. 평범한 노동자에서 불굴의 의지를 지닌 노동 운동가가 되어 노동환경의 참혹함을 고발하고 노동자가 주체가 되어 세상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알려준 이 청년의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오래도록 기억될 것이다. 강한님, “‘다채로운 전태일’을 기억하라”, 참여와 혁신, 2020.12.10.
http://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062
이 시기 지식인들과 대학생들은 정치적 의미의 민주화에만 초점을 두다 노동자와 빈민 등의 삶에 주목하기 시작하였고 야학을 세워 노동자들을 교육하고 그들의 권리의식을 고취시키거나 공단에 직접적 취업하여 노동조합을 조직하고자 시도하기도 했다. 또한 노동자들 스스로도 자신들이 처한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벗어나고자 노동조합을 세우려는 노력을 하였고 전태일의 친구들이 세운 청계피복노조 이외에도 YH무역, 동일방직, 콘트롤데이타, 반도상사 등 많은 사업장에서 노동조합이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흐름은 1987년 6월 항쟁과 7· 8· 9월에 일어난 노동자 대투쟁으로 이어졌으며 대우그룹, 현대그룹 등의 대기업 노동자 중심의 사업장에서 노동조합이 대거 조직되기 전까지 우리나라 노동운동의 주도적인 흐름을 형성하게 되었다. 임송자, “전태일 분신과 1970년대 노동 · 학생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65집, 2010, p.356~p.357
7. 출처 및 참고문헌
서중석,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웅진 지식하우스, 2015, p.55~p.63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8, p.334~p.368
임송자, “전태일 분신과 1970년대 노동 · 학생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65집,
2010, p.356~p.357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임술민란 (壬戌民亂)”, “광무개혁 (光武
改革)”, “정약용 (丁若鏞)”,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507, 2023.05.11.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오픈아카이브, “전태일 분신”
https://archives.kdemo.or.kr/collections/view/10000015 2023.05.11
강한님, “‘다채로운 전태일’을 기억하라”, 참여와 혁신, 2020.12.10.
http://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062
https://archives.kdemo.or.kr/collections/view/10000015 2023.05.11
전태일 분신 사건은 기록이나 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회자되며 우리 역사에서 잊을 수 없는 사건이 되었으며 그의 정신은 아직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의 기억 속에서 전태일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일했던 이름 없는 청년 노동자, 자신보다 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일했던 여공들을 위해 현실의 장벽을 부수고자 끊임없이 호소하고 알리고자 한 자, 변하지 않는 현실에 자신을 희생하여 세상을 바꾸고자 했던 그 불굴의 의지. 평범한 노동자에서 불굴의 의지를 지닌 노동 운동가가 되어 노동환경의 참혹함을 고발하고 노동자가 주체가 되어 세상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알려준 이 청년의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오래도록 기억될 것이다. 강한님, “‘다채로운 전태일’을 기억하라”, 참여와 혁신, 2020.12.10.
http://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062
이 시기 지식인들과 대학생들은 정치적 의미의 민주화에만 초점을 두다 노동자와 빈민 등의 삶에 주목하기 시작하였고 야학을 세워 노동자들을 교육하고 그들의 권리의식을 고취시키거나 공단에 직접적 취업하여 노동조합을 조직하고자 시도하기도 했다. 또한 노동자들 스스로도 자신들이 처한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벗어나고자 노동조합을 세우려는 노력을 하였고 전태일의 친구들이 세운 청계피복노조 이외에도 YH무역, 동일방직, 콘트롤데이타, 반도상사 등 많은 사업장에서 노동조합이 세워지게 된다. 이러한 흐름은 1987년 6월 항쟁과 7· 8· 9월에 일어난 노동자 대투쟁으로 이어졌으며 대우그룹, 현대그룹 등의 대기업 노동자 중심의 사업장에서 노동조합이 대거 조직되기 전까지 우리나라 노동운동의 주도적인 흐름을 형성하게 되었다. 임송자, “전태일 분신과 1970년대 노동 · 학생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65집, 2010, p.356~p.357
7. 출처 및 참고문헌
서중석,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웅진 지식하우스, 2015, p.55~p.63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8, p.334~p.368
임송자, “전태일 분신과 1970년대 노동 · 학생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65집,
2010, p.356~p.357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임술민란 (壬戌民亂)”, “광무개혁 (光武
改革)”, “정약용 (丁若鏞)”,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507, 2023.05.11.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오픈아카이브, “전태일 분신”
https://archives.kdemo.or.kr/collections/view/10000015 2023.05.11
강한님, “‘다채로운 전태일’을 기억하라”, 참여와 혁신, 2020.12.10.
http://www.laborpl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062
추천자료
방송대_22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한국사의이해(공통) -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
방송대_22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한국사의이해(공통) -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
방송대_22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한국사의이해(공통) -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한...
2023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시험과제물, 1. (1) 1862년 농민봉기 (2) 광무개혁 (3) 1910년대...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시험과제물, 1. (1) 1862년 농민봉기 (2) 광무개혁 (3) 1910년대...
2023년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
한국사의이해 기말 2023)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1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