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이해 )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을 비교,서술하고,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이해 )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을 비교,서술하고,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⑴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⑵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를 설명하시오.
⑶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을 비교ㆍ서술하고,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을 설명하시오.
⑷ 모스크바 3상회의 내용과 이를 둘러싼 국내 정치 세력의 대응을 서술하시오.
2. 세종대왕
① 선정 이유
② 간략한 인물 소개
③ 나에게 끼친 영향
④ 현재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
3. 한글의 창제와 반포
① 선정 이유
② 사건, 사실에 대한 설명
③ 사건 이후 우리 역사에 끼친 영향
④ 선택한 사건이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고, 현재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본문내용

쓰였다. 훈민정음의 창제 덕분에 말과 글의 불일치에서 해방된 백성들은 혁명적인 변화의 전기를 실생활에서도 맞이하게 되었다.
④ 선택한 사건이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고, 현재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 세종은 문화나 전통보단 백성의 편리함을 먼저 생각했고, 그러기 위해선 우선 도구가 편리해야 문화와 전통의 습득이 쉽다고 생각했다. 백성의 실정이 발이고 신발이 문자라고 한다면, 발을 신발에 맞출 게 아니라 발에 신발을 맞추자는 논리다. 최만리에게 정치의 일차적 준거가 문화라면, 세종에게는 백성이었고, 최만리의 눈높이가 중화라는 문화적 이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세종은 백성이라는 문자사용자의 현실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한글의 간단함에 세종이 공을 들인 이유도 사용자의 실정을 고려했기 때문이었고, 이는 세종이 공공정치를 표방함을 증명하였다. 최만리가 기예(술)의 입장을 표방한다면, 세종은 지음(작)의 태도를 띠었다. 술과 작은 원래 공자가 논어에서 자기 자신을 “술이부작”한 사람으로 규정한 데서 비롯된 말이다. 이 말은 “그저 전통을 서술하기만 했고 새로운 걸 만들지는 않았다”는 뜻이다. 논어에서 공자는 실제로 시경이나 서경처럼 유교적 관점으로 고전을 재해석하는 관점을 통해 전통을 계승한다는 태도를 띤다. 하지만 이때의 전통은 어디까지나 중국이란 특정 지역에서 생성되고 전해진 문화유산일 뿐이다. 따라서 그게 중국을 벗어난 지역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지는 또 다른 문제다. 세종이 말한 “나랏 말이 중국이 다르다.”는 발언은 중국과 조선의 차이에 주목한 점을 말해주고 있다. 우리의 말소리와 중국의 한자음이 이미 다르면 그 다름에 걸맞은 표현수단을 새로이 만들지 않으면 안 되고, 그게 없다면 백성들 중국말과의 차이로 자신의 고유한 생각을 표현하지 못하는 막막함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그로부터 해방을 위해 다사리 이념을 실현했다. 다사리는 다 말하게 한다는 뜻이다. 자신이 가진 생각을 백성이 모두 말하게 하는 게 세종의 꿈이었다. 총, 균, 쇠의 저자 Jared Mason Diamond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한글에 대해 말하길 “내 한국 방문에서 가장 즐거웠던 기억들 가운데 하나는 그간 그리도 많이 들어온 한글을 가는 데마다 보며 유명한 세종대왕의 문자를 읽는 법을 배웠던 일이었습니다. 한글은 이런 특성들로 인해 전 세계의 언어학자들에게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게 고안된 문자체계라는, 어찌 보면 당연한 칭송을 받는 겁니다”라고 극찬하였고, 세종대왕님 덕분에 한국의 문맹률은 세계에서도 낮을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세종대왕의 국가경영법과 리더십 이야기 국가경영은 세종처럼 박영규 지음, 도올 김용옥 서문 통나무 출판사 2021년 9월 1일 1판 1쇄
세종 리더십의 핵심 가치 정윤재, 박병련, 이익주, 박현모, 조성환, 조남욱 지음 한국학 중앙연구원출판부 2014년 6월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이근호, 박찬구 엮음 청아출판사 2011년 5월
한국사의 이해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년 송찬섭 저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1.09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5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