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아래 문제에 대한 답안을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
⑴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⑵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를 설명하시오.
⑶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을 비교ㆍ서술하고,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을 설명하시오.
⑷ 모스크바 3상회의 내용과 이를 둘러싼 국내 정치 세력의 대응을 서술하시오.
2. 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을 서술해주세요.
※ 한국 역사와 관련된 인물을 선택할 것. 가족(아버지, 어머니 등) 제외.
※ 다음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
①선정 이유 ②간략한 인물 소개 ③나에게 끼친 영향 ④현재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 등
3.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사건을 꼽고 그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 한국 역사와 관련된 사건을 선택하고, 다음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
①선정 이유 ②사건, 사실에 대한 설명 ③사건 이후 우리 역사에 끼친 영향
④선택한 사건이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 현재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등에 대해 서술
4. 참고문헌 및 출처
1. 아래 문제에 대한 답안을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
⑴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⑵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를 설명하시오.
⑶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을 비교ㆍ서술하고,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을 설명하시오.
⑷ 모스크바 3상회의 내용과 이를 둘러싼 국내 정치 세력의 대응을 서술하시오.
2. 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을 서술해주세요.
※ 한국 역사와 관련된 인물을 선택할 것. 가족(아버지, 어머니 등) 제외.
※ 다음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
①선정 이유 ②간략한 인물 소개 ③나에게 끼친 영향 ④현재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 등
3. 나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 사건을 꼽고 그 이유를 설명해주세요.
※ 한국 역사와 관련된 사건을 선택하고, 다음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
①선정 이유 ②사건, 사실에 대한 설명 ③사건 이후 우리 역사에 끼친 영향
④선택한 사건이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 현재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등에 대해 서술
4.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으로 그 주변사람과 생존자의 인생이 얼마나 힘들어질 수 있는지를 알게 되었고, 이를 치료할 방법은 정신과 치료와 심리 상담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신과 및 심리 상담이 인간의 상처 치유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정부 및 해경, 언론에 크나큰 실망감을 감출 수 없었지만, 동시에 인간의 연대에 희망을 느끼는 시기이기도 했다. 몸을 사리지 않고 피해자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맨몸으로 잠수하던 잠수사와 참사 직후 진도 팽목항에 머물던 사망자 및 실종자 가족과 해경들의 정신 건강을 위해 심리상담학회의 전문가 집단이 봉사활동을 자원했으며, 인근 주민과 수많은 시민이 밥을 하고 생필품을 챙겨 무상으로 제공하는 봉사활동을 했다. 무엇보다 유가족이 직접 정부에게 진실 규명을 요구하고, 안전 사회를 위한 연대 활동과 민주시민교육 등을 주도해 ‘유가족’이라는 편견을 깨뜨렸으며, 사회적으로 더욱 깊은 애도와 기억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동력을 제공했다. 대표적으로 이들은 600만 장이 넘는 서명을 받고 국회 앞에서 밤샘 농성을 진행하며 왜곡된 언론 보도를 고발하는 활동을 했다. 이는 이후 2016년 박근혜 퇴진운동에 하나의 동력으로 작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민 연대의 힘을 보여주며 연대의 힘이 얼마나 강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형태가 발전한 계기이다.
세월호 이전에도 안전 불감증으로 후진국형 참사가 되풀이되고 있다는 비판은 끊임없이 되풀이 되어왔다. 명확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보다는 책임자의 처벌에 몰두하다가 화제성이 낮아지면 또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세태를 비판하며 직접 행동할 것을 소리높이고, 특히 노동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 및 예방을 위해 목소리를 높여왔다. 그렇다고 우리 사회가 한 번에 좋아질 리는 없다. 우리는 여전히 어이없는 안전사고로 언제 위험에 노출될까 불안에 떨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도 이태원 참사가 일어나며 젊은 청년들이 160여 명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일어난 어이없는 압사 사고로, 사건이 일어난 직후의 대처와 참사 원인 규명에 소극적인 행태와 책임 회피에서 우리는 세월호 때와 같은 사태를 또다시 목도하고 있다. 이런 모습을 보며 시민들의 기억과 연대가 더욱 절실한 때라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
4. 참고문헌 및 출처
[사설] 기억·연대가 더욱 절실해진 세월호 참사 9주기, 한겨레신문, 2023.04.16.,
https://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1088090.html
<세월호 참사 100일> 고질적인 \'안전불감증\' 여전하다, 연합뉴스, 2014.07.23.,
https://www.yna.co.kr/view/AKR20140721153400065
우리역사네,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http://contents.history.go.kr/front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홈페이지, https://encykorea.aks.ac.kr/
세여자 1, 2, 조선희, 한겨레출판, 2017
코레예바의 눈물, 손석춘, 동하, 2016
정부 및 해경, 언론에 크나큰 실망감을 감출 수 없었지만, 동시에 인간의 연대에 희망을 느끼는 시기이기도 했다. 몸을 사리지 않고 피해자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맨몸으로 잠수하던 잠수사와 참사 직후 진도 팽목항에 머물던 사망자 및 실종자 가족과 해경들의 정신 건강을 위해 심리상담학회의 전문가 집단이 봉사활동을 자원했으며, 인근 주민과 수많은 시민이 밥을 하고 생필품을 챙겨 무상으로 제공하는 봉사활동을 했다. 무엇보다 유가족이 직접 정부에게 진실 규명을 요구하고, 안전 사회를 위한 연대 활동과 민주시민교육 등을 주도해 ‘유가족’이라는 편견을 깨뜨렸으며, 사회적으로 더욱 깊은 애도와 기억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동력을 제공했다. 대표적으로 이들은 600만 장이 넘는 서명을 받고 국회 앞에서 밤샘 농성을 진행하며 왜곡된 언론 보도를 고발하는 활동을 했다. 이는 이후 2016년 박근혜 퇴진운동에 하나의 동력으로 작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민 연대의 힘을 보여주며 연대의 힘이 얼마나 강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형태가 발전한 계기이다.
세월호 이전에도 안전 불감증으로 후진국형 참사가 되풀이되고 있다는 비판은 끊임없이 되풀이 되어왔다. 명확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보다는 책임자의 처벌에 몰두하다가 화제성이 낮아지면 또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는 세태를 비판하며 직접 행동할 것을 소리높이고, 특히 노동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 및 예방을 위해 목소리를 높여왔다. 그렇다고 우리 사회가 한 번에 좋아질 리는 없다. 우리는 여전히 어이없는 안전사고로 언제 위험에 노출될까 불안에 떨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도 이태원 참사가 일어나며 젊은 청년들이 160여 명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일어난 어이없는 압사 사고로, 사건이 일어난 직후의 대처와 참사 원인 규명에 소극적인 행태와 책임 회피에서 우리는 세월호 때와 같은 사태를 또다시 목도하고 있다. 이런 모습을 보며 시민들의 기억과 연대가 더욱 절실한 때라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
4. 참고문헌 및 출처
[사설] 기억·연대가 더욱 절실해진 세월호 참사 9주기, 한겨레신문, 2023.04.16.,
https://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1088090.html
<세월호 참사 100일> 고질적인 \'안전불감증\' 여전하다, 연합뉴스, 2014.07.23.,
https://www.yna.co.kr/view/AKR20140721153400065
우리역사네,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http://contents.history.go.kr/front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홈페이지, https://encykorea.aks.ac.kr/
세여자 1, 2, 조선희, 한겨레출판, 2017
코레예바의 눈물, 손석춘, 동하, 2016
추천자료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한...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시험과제물, 1. (1) 1862년 농민봉기 (2) 광무개혁 (3) 1910년대...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시험과제물, 1. (1) 1862년 농민봉기 (2) 광무개혁 (3) 1910년대...
2023년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
방송통신대_한국사의이해_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을 서...
방송통신대_한국사의이해_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을 서...
방송통신대_한국사의이해_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을 서...
방송통신대_한국사의이해_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을 서...
방송통신대_한국사의이해_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을 서...
방송통신대_한국사의이해_우리 역사에서 내가 존경하는 인물을 들고, 나에게 끼친 영향을 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