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인도의 전자상거래 (E-Commerce) 산업
(2) 온라인 식료품 배달 플랫폼의 성공 사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인도의 전자상거래 (E-Commerce) 산업
(2) 온라인 식료품 배달 플랫폼의 성공 사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전에는 식당에서 사용자로 이어지는 음식 배달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팬데믹 이후에는 음식뿐만 아니라 각종 생필품과 식료품 배송 서비스도 같이 제공하기 시작했다. Swiggy는 인도 전역의 식료품 상점과 협력을 맺어 고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식료품을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운영함에 따라 Swiggy의 매출은 상당한 증가세를 보였고 온라인 식료품 배달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었다.
- Big Basket: 인도 최대의 온라인 식료품 배달 플랫폼으로 팬데믹 이후 빠른 성장세를 거듭했다.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신선한 식료품을 제공하고 소비자들은 안전하게 집에서 주문부터 배송의 전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체계화된 물류 네트워크를 통해 인도 전역에 신속하고 안정적인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신뢰감을 형성했고 이를 바탕으로 인도 온라인 식료품 마켓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휴대폰 번호와 OTP만으로 가입이 간편하며 원하는 배송일과 배송 시간을 미리 지정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 Grofers: 2013년 12월 설립된 인도의 온라인 식료품 배달 서비스 업체로 2020년 5,000개의 온라인 매장이 추가되고 총 파트너가 약 12,000개에 도달하는 등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팬데믹 기간 동안의 판매량이 기존 대비 약 80%가 증가, 락다운에도 23개의 시설을 증축하는 등 필수품에 대한 고객의 수요 충족을 위한 투자를 활발히 하고 있다.
온라인 식료품 배달 플랫폼 외에도 Amazon Pharmacy의 사례처럼 온라인 약국 플랫폼 등의 성장세도 두드러진다. Amazon Pharmacy는 인도 남부 카루타나카주의 주도 벵갈루루에서 온라인 약국 시작을 시작하여 전통적인 생약과 혈당 측정기, 흡입기 및 다양한 건강 보조 장치도 판매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한국과 달리 항생제와 일부 의약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 구입이 가능하므로 고객이 가정에서 안전을 확보하며 필수 약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코로나 시대에 맞물려 고속 성장하였으며 코로나 이후로도 사람들이 선호하는 언택트 시대에 적합한 운영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3. 결론
코비드 19로 기존에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지 않던 사람들까지도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하게 되면서 온라인 상거래 이용자가 폭증했고 중산층의 생활 수준 증가, 인프라 개선 등에 따라 향후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의 더 빠른 성장이 기대된다. 팬데믹은 인도 이커머스 산업의 전환점 역할을 했으며 소비자 인식 변화, 정부 지원, 인도의 디지털화가 결합되어 다양한 이커머스 플랫폼의 확장세로 크게 성장할 수 있었다. 인도 정부의 Digital India 정책으로 인한 다양한 지원과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지속적인 대인도 투자로 인도의 전자상거래 산업은 향후 더욱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도 지속 성장 중인 인도 소비시장의 맞춤형 진출전략을 통해 무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인도 시장에 접근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출처 : 지표1) Leading Countries, Ranked Retail Ecommerce Sales, 2019-2025 eMarketer. (insiderintelligence.com)
출처 : 지표2)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추이 (2019~2026년)>
euromonitor, kotra 무역투자 24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 채정훈,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2022-09-22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2430&CONTENTS_NO=1&bbsSn=243&pNttSn=196900
외국인 직접투자(FDI), 시사 상식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2668&cid=43667&categoryId=43667
인도 이커머스를 주목하라!, 방윤정 기자, 메가 경제, 2020.09.28.
https://www.megaeconomy.co.kr/news/newsview.php?ncode=1065604567671912
3대 소비시장으로 커질 인도 이커머스 주목을, 전상열, 중기이코노미, 2020.05.28
https://www.junggi.co.kr/article/articleView.html?no=25202&totalSearchField=writer&totalSearchText=%C0%FC%BB%F3%BF%AD&prevPagename=searchMain.html&page=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 채정훈,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2022-09-22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2430&CONTENTS_NO=1&bbsSn=243&pNttSn=196900
대형 온라인 유통망으로도 인도 시장을 공략하라, 김현기,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2020.06.10.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2430&CONTENTS_NO=1&bbsSn=243&pNttSn=182616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만든 인도 푸드테크 시장, 조주연,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2021.05.20.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188660
K-food, 이제 인도다!!, 이동현, 2021.02.05.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00&CONTENTS_NO=1&bbsGbn=322&bbsSn=322&pNttSn=187046
swiggy
https://www.swiggy.com/
- Big Basket: 인도 최대의 온라인 식료품 배달 플랫폼으로 팬데믹 이후 빠른 성장세를 거듭했다.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신선한 식료품을 제공하고 소비자들은 안전하게 집에서 주문부터 배송의 전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체계화된 물류 네트워크를 통해 인도 전역에 신속하고 안정적인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신뢰감을 형성했고 이를 바탕으로 인도 온라인 식료품 마켓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휴대폰 번호와 OTP만으로 가입이 간편하며 원하는 배송일과 배송 시간을 미리 지정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 Grofers: 2013년 12월 설립된 인도의 온라인 식료품 배달 서비스 업체로 2020년 5,000개의 온라인 매장이 추가되고 총 파트너가 약 12,000개에 도달하는 등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팬데믹 기간 동안의 판매량이 기존 대비 약 80%가 증가, 락다운에도 23개의 시설을 증축하는 등 필수품에 대한 고객의 수요 충족을 위한 투자를 활발히 하고 있다.
온라인 식료품 배달 플랫폼 외에도 Amazon Pharmacy의 사례처럼 온라인 약국 플랫폼 등의 성장세도 두드러진다. Amazon Pharmacy는 인도 남부 카루타나카주의 주도 벵갈루루에서 온라인 약국 시작을 시작하여 전통적인 생약과 혈당 측정기, 흡입기 및 다양한 건강 보조 장치도 판매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한국과 달리 항생제와 일부 의약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 구입이 가능하므로 고객이 가정에서 안전을 확보하며 필수 약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코로나 시대에 맞물려 고속 성장하였으며 코로나 이후로도 사람들이 선호하는 언택트 시대에 적합한 운영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3. 결론
코비드 19로 기존에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지 않던 사람들까지도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하게 되면서 온라인 상거래 이용자가 폭증했고 중산층의 생활 수준 증가, 인프라 개선 등에 따라 향후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의 더 빠른 성장이 기대된다. 팬데믹은 인도 이커머스 산업의 전환점 역할을 했으며 소비자 인식 변화, 정부 지원, 인도의 디지털화가 결합되어 다양한 이커머스 플랫폼의 확장세로 크게 성장할 수 있었다. 인도 정부의 Digital India 정책으로 인한 다양한 지원과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지속적인 대인도 투자로 인도의 전자상거래 산업은 향후 더욱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한국 기업들도 지속 성장 중인 인도 소비시장의 맞춤형 진출전략을 통해 무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인도 시장에 접근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출처 : 지표1) Leading Countries, Ranked Retail Ecommerce Sales, 2019-2025 eMarketer. (insiderintelligence.com)
출처 : 지표2)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추이 (2019~2026년)>
euromonitor, kotra 무역투자 24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 채정훈,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2022-09-22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2430&CONTENTS_NO=1&bbsSn=243&pNttSn=196900
외국인 직접투자(FDI), 시사 상식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2668&cid=43667&categoryId=43667
인도 이커머스를 주목하라!, 방윤정 기자, 메가 경제, 2020.09.28.
https://www.megaeconomy.co.kr/news/newsview.php?ncode=1065604567671912
3대 소비시장으로 커질 인도 이커머스 주목을, 전상열, 중기이코노미, 2020.05.28
https://www.junggi.co.kr/article/articleView.html?no=25202&totalSearchField=writer&totalSearchText=%C0%FC%BB%F3%BF%AD&prevPagename=searchMain.html&page=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 채정훈,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2022-09-22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2430&CONTENTS_NO=1&bbsSn=243&pNttSn=196900
대형 온라인 유통망으로도 인도 시장을 공략하라, 김현기,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2020.06.10.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MENU_ID=2430&CONTENTS_NO=1&bbsSn=243&pNttSn=182616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만든 인도 푸드테크 시장, 조주연,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2021.05.20.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188660
K-food, 이제 인도다!!, 이동현, 2021.02.05.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00&CONTENTS_NO=1&bbsGbn=322&bbsSn=322&pNttSn=187046
swiggy
https://www.swiggy.com/
추천자료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국제경영학 기말시험과제물)한국 이외의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해...
(국제경영학 3학년) 한국 이외의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해당 국가에서 코비드19 시기에 성장...
국제경영학
한국 외 국가를 하나 선정, 해당 국가에서 코비드19 시기에 성장한 산업에 대해 데이터 바탕 ...
한국 이외의 국가를 하나 선정, 경영학 해당 국가에서 코비드19 시기에 성장한 산업에 대해 ...
한국 이외의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해당 국가 코비드19 시기 성장한 산업 - 국제경영학
경영 - 한국 이외의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해당 국가 코비드19 시기 성장한 산업에 대해 데...
한국 이외의 국가를 하나 선정하여, 해당 국가에서 코비드19 시기에 성장한 산업에 대해 데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