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조직론(분류론)) 정의란 무엇인가 라는 책을 읽고 분류과정에 따라 분류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조직론(분류론)) 정의란 무엇인가 라는 책을 읽고 분류과정에 따라 분류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들어가며
2. 분류과정 실전 연습
1) 책 소개
2) 자료분류의 과정
(1) 주제분석
① 서명
② 내용 목차
3) 분류기호 선정과 최종 분류기호
3. 맺으며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사한 주제의 새로운 자료가 추가된다면 새로운 분류기호를 할당해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관리 유지가 가능하다. 정리해보면 이미 행해진 주제에 대한 분류로 “정의란 무엇인가”에 적합한 분류기호를 선택한 후 결정된 분류기호를 부여한다. 그 후 이 정보를 관리하는 전체 시스템에도 분류기호를 등록한다.
일반적으로 최종 분류기호는 해당 자료가 포함된 분류체계 혹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코드나 식별자를 말한다. 일반적인 예로는 도서의 경우 도서의 내용이나 주제를 분류하는 체계 속에서 분류기호가 최종 분류기호가 된다. 도서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DDC는 수학 십진법을 자료 분류에 도입한 분류법으로 주요 학문을 10개의 자료로 나누고, 각 주제류 아래에 다시 10개의 강목을 놓는다. 각 강목 하위에는 다시 10개의 요목을 두고 각 요목 아래 10개의 세부목을 배정해 계층 구조를 설정하고 있다. 성남도서관 기준으로 “진리란 무엇인가”의 한국 십진분류법은 340.1이다. 최종분류기호는 340.1-ㅅ194ㅈ=2이다.
3. 맺으며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우리 사회 곳곳에서 존재하는 문제들을 들여다보면서 과연 정의가 무엇인지를 문답 형식으로 알아보고 있다. 간혹 어떤 주제에서는 정의가 쉽게 받아들여지지만, 다른 주제에서는 도저히 정의라고 말하기 어렵기도 하다. 바로 도덕적 딜레마나 개인적 차원의 정의에 치중한 상태에서 공공의 정의를 생각해야 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에게 정의는 선택의 몫이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분류가 어떤 대상의 유사점에 따른 구별이며, 혹시 차이가 있을 때도 공통성을 중심으로 세분화하고 개체의 종개념까지도 나누는 체계적이고 조직적 행위를 말한다.
정보 자료를 분류하는 측면과 방법론도 이와 유사하다. 자료를 분류하는 기관과 조직이 어떤 정책을 요구하는지에 따라 설정이 달리 될 수 있어 분류기준이 매우 중요한 원칙이 된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 조직이 상이해도 분류기준을 어느 정도 용인할 수 있는 것처럼, 정의도 소수의 의견에 치우치기보다는 다수의 이해가 우선된다. 따라서 자료의 특성과 목적을 십분 고려한 분류체계와 기호는 일반적인 기준이 있으며, 여기에서 결정된 분류체계와 기호를 결정해 자료분류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다시 한번 강조하면 분류체계와 분류기호를 표준화 기준을 따라야 하는데, 표준화는 이 자료를 사용하거나 분류하는 사람들과의 협업과 종합적 정보를 교환할 때 원활한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 즉 표준적 분류체계와 분류기호 속에서 분류 주체의 목적을 반영해 서로 해당 자료분류를 이해할 수 있는 분류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좋은 자유 분류체계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마이클 샌델(2014). “정의란 무엇인가”, 와이즈베리 발행.
이미주(2008). “과제해결을 위한 학교도서관 자료이용에 관한 분석적 연구 : 광주지역 중ㆍ고등학교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박태분(2005). “사실표준 분석에 기초한 교육자료 분류체계 표준화”,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1.12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60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