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과정의 체계 및 내용분석
2. [세종한국어]의 교수요목 구성의 개요
(1) 교육시간
(2) [세종한국어8(4B)]의 구성
(3) [세종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세종학당 교육과정 예시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과정의 체계 및 내용분석
2. [세종한국어]의 교수요목 구성의 개요
(1) 교육시간
(2) [세종한국어8(4B)]의 구성
(3) [세종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세종학당 교육과정 예시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2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세종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세종학당 교육과정 예시
총 60시간을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잡아보았다. 1차시에는 도입 및 질문으로, 어휘 늘리기이며, 2차시에는 어휘연습으로 대화1/대화2를 진행한다. 3차시에는 어휘, 문법 종합연습으로 문법 및 연습, 듣고 말하기(듣고 읽기)로 진행하며 4차시에는 발음연습, 읽고 쓰기(말하고 쓰기)/한국문화로 구성한다. 주 2회씩 2시간으로, 한 주당 1단원씩 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며, 교재는 14주차까지 마무리하고 15주차에 그동안 학습한 것에 대한 평가를 하게된다.
Ⅲ. 결론
교육과정은 영어로 ‘Curriculum’이라고 하며, 교수요목은 ‘Syllabus’이다. 교육과정은 교육 시스템에서 가르쳐야 하는 전반적인 내용을 말한다. 교수요목은 특정한 과목에서 학생들을 가르쳐야 하거나 커버되어야 하는 주제의 요약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교수요목은 ‘무엇을 어떠한 순서로 가르치는가’라고 할 수 있다. [세종한국어8(4B)]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 4급에 해당된다. 이는 공적인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가능 여부, 직장 생활 등 사회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과제 해결력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양한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대화를 듣고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난이도이다. 또한 사랑, 직업, 결혼 등 평소 가까운 사회적 소재에 대한 글을 읽고 쓸 수 있을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중급 수준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사회에서 이뤄지는 것들을 이해하고 읽고, 쓰고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세종한국어8]의 교재 구성을 보면 우리가 사적인 공간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대화하는 상황 뿐만 아니라 직장 생활이라든지 관공서에서 대화하는 것 등 공적인 상황에서의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내용의 학습 과정이 녹아져 있었다. 또한 한국인들이 사회에서 상투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표현도 함께 학습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이 설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세종한국어8]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언어 뿐만 아니라 사용 빈도수가 높은 관용어, 친숙하지 않은 어휘, 사자성어 등을 학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가 더욱 쉽게 느껴질 수 있게 기대해 본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운영지침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키워드로 보는 정책,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체육관광부
(3) [세종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세종학당 교육과정 예시
총 60시간을 기준으로 교육과정을 잡아보았다. 1차시에는 도입 및 질문으로, 어휘 늘리기이며, 2차시에는 어휘연습으로 대화1/대화2를 진행한다. 3차시에는 어휘, 문법 종합연습으로 문법 및 연습, 듣고 말하기(듣고 읽기)로 진행하며 4차시에는 발음연습, 읽고 쓰기(말하고 쓰기)/한국문화로 구성한다. 주 2회씩 2시간으로, 한 주당 1단원씩 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며, 교재는 14주차까지 마무리하고 15주차에 그동안 학습한 것에 대한 평가를 하게된다.
Ⅲ. 결론
교육과정은 영어로 ‘Curriculum’이라고 하며, 교수요목은 ‘Syllabus’이다. 교육과정은 교육 시스템에서 가르쳐야 하는 전반적인 내용을 말한다. 교수요목은 특정한 과목에서 학생들을 가르쳐야 하거나 커버되어야 하는 주제의 요약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교수요목은 ‘무엇을 어떠한 순서로 가르치는가’라고 할 수 있다. [세종한국어8(4B)]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 4급에 해당된다. 이는 공적인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가능 여부, 직장 생활 등 사회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과제 해결력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양한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대화를 듣고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난이도이다. 또한 사랑, 직업, 결혼 등 평소 가까운 사회적 소재에 대한 글을 읽고 쓸 수 있을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중급 수준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사회에서 이뤄지는 것들을 이해하고 읽고, 쓰고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세종한국어8]의 교재 구성을 보면 우리가 사적인 공간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대화하는 상황 뿐만 아니라 직장 생활이라든지 관공서에서 대화하는 것 등 공적인 상황에서의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내용의 학습 과정이 녹아져 있었다. 또한 한국인들이 사회에서 상투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표현도 함께 학습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이 설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세종한국어8]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언어 뿐만 아니라 사용 빈도수가 높은 관용어, 친숙하지 않은 어휘, 사자성어 등을 학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가 더욱 쉽게 느껴질 수 있게 기대해 본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운영지침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국립국어원
키워드로 보는 정책,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체육관광부
추천자료
[고등학교중국어교육][고등학교][중국어교육]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과목, 고등학교 중국어교...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교육과정변천, 고등학교 중국어교육의 일반선택과목(중국어Ⅰ)과 심화...
교수 학습의 과제와 발전 방향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
(한국어교육론 공통)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요인 개발 절차를 기술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와 특정 목적 한국어 교재를 1종씩 선정하여 각 교재의 구성을 요약ㆍ...
경희 사이버 대학원 한국어 논문
주요 교수요목의 개념과 특징 및 한계점을 간략하게 기술하라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 세종한국어 시리즈 중 하나 선택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과 관련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