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압밀시험 예비레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압밀시험 예비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6.1 data sheet (예시)
6.1.1 시험체의 초기 상태와 결과표
초기 함수비, (%)
초기 간극비,
초기 포화도, (%)
압밀 전의 시험체와 압밀링의 질량 (g)
압밀링의 질량 (g)
시험체의 건조 질량 (g)
시험체의 초기 높이 (cm)
시험체의 실질 높이 (cm)
Pressure,
p
()
Final dial reading ()
Change in specimen height, ()
Final specimen height,
()
Height of void,
()
Final void ratio, e
Average height during consolidation, ()
Fitrting time (sec)
from
()

a ()
b a =
A
(A+B)/2

b ()
A-
위의 표는 다양한 자연점토에 대한 관찰에 근거하여 압축지수에 대한 상관관계식을 위의 형태로 제시된 것이며 압축지수의 상관관계식은 Skempton(1944)이 제안한 실내압밀시험 결과가 없는 경우 대략적으로 1차 압밀침하량을 산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Calculate the compression index,
6.2 각 재하 단계의 압밀량과 시간과의 관계
6.2.1 d - 곡선
1) 세로축은 Dial reading (mm)으로 가로축에는 경과 시간 (min) 하여 아래의 표 를 사용하여 d - 곡선을 그린다.
2) 곡선의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선 AB를 긋는다.
3) 선 CB에서 1.15배 정도 떨어진 점이 D점이며 AD 선과 압밀곡선의 교점의 점
좌표가 90% 압밀에 대한 시간의 제곱근을 나타낸다.
4) 방법의 압밀계수 을 구한다.
Date
Pressure on specimen ( )
Time after load application, t (min)
(min)
Vertical dial reading
0
0.25
1.0
2.25
4.0
6.25
9.0
12.25
16.0
20.25
25
36
60
120
240
480
1440
6.2.2 d log t 곡선
1) d log t 곡선의 중간 부분과 마지막 부분은 대략 직선이 되는데, 이 직선의 연장선 의 교점을 으로 정한다.
2) log t에 대한 변형 관계에서 초기 곡선구간은 포물선으로 이 곡선 구간에서 이 되도록 과 를 취한다. 시간 동안 시료 변형의 차가 밑의 그래프의 이다.
3) 연직거리 BD가 x가 되도록 수평선 DE를 긋는다. 선 DE에 상응하는 변형이 이다.
*0% 압밀 시의 변형을 의미한다.
4) 압밀곡선에서 점 F의 세로축 좌표는 1차 압밀 50%에 상응하는 변형을 나타내고 가로축 좌표는 이에 상응하는 시간 을 나타낸다.
5) 제공 받은 액셀시트를 사용하여 세로축에 압축 변위 d, 가로축에 log t를 취하여 d log t 곡선을 그린다.
6) log t 방법의 압밀계수, 을 구한다.
6. 결과 처리
6.1 data sheet
6.1.1 시험체의 초기 상태와 결과표
초기 함수비, (%)
초기 간극비,
초기 포화도, (%)
43.96
1.269
92.18
192.9 (g)
97.6 (g)
66.2 (g)
2 (cm)
1.576(cm)
Pressure,
p
()
Final dial reading ()
Change in specimen height, ()
Final specimen height,
()
Height of void,
()
Final void ratio, e
Fitrting time (sec)
from
()
<0.1>
0.807()
0.807
0.807
19.193
1.218
<0.2>
1.491 ()
0.684
1.41
18.509
1.175
<0.4>
1.894 ()
0.403
1.894
18.106
1.149
<0.8>
2.661 ()
0.767
2.661
17.39
1.10
<1.6>
3.622 ()
0.961
3.622
16.378
1.039
<3.2>
4.590 ()
0.968
4.590
15.410
0.978
제하
4.241 ()
-0.349
4.241
15.759
1
위의 표는 다양한 자연점토에 대한 관찰에 근거하여 압축지수에 대한 상관관계식을 위의 형태로 제시된 것이며 압축지수의 상관관계식은 Skempton(1944)이 제안한 실내압밀시험 결과가 없는 경우 대략적으로 1차 압밀침하량을 산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Calculate the compression index,
6.2 각 재하 단계의 압밀량과 시간과의 관계
6.2.1 d - 곡선
1) 세로축은 Dial reading (mm)으로 가로축에는 경과 시간 (min) 하여 아래의 표 를 사용하여 d - 곡선을 그린다.
2) 곡선의 초기 구간을 통과하는 선 AB를 긋는다.
3) 선 CB에서 1.15배 정도 떨어진 점이 D점이며 AD 선과 압밀곡선의 교점의 점
좌표가 90% 압밀에 대한 시간의 제곱근을 나타낸다.
4) 방법의 압밀계수 을 구한다.
Date
Pressure on specimen ( )
Time after load application, t (min)
(min)
Vertical dial reading
0
0.25
1.0
2.25
4.0
6.25
9.0
12.25
16.0
20.25
25
36
60
120
240
480
1440
6.2.2 d log t 곡선
1) d log t 곡선의 중간 부분과 마지막 부분은 대략 직선이 되는데, 이 직선의 연장선 의 교점을 으로 정한다.
2) log t에 대한 변형 관계에서 초기 곡선구간은 포물선으로 이 곡선 구간에서 이 되도록 과 를 취한다. 시간 동안 시료 변형의 차가 밑의 그래프의 이다.
3) 연직거리 BD가 x가 되도록 수평선 DE를 긋는다. 선 DE에 상응하는 변형이 이다.
*0% 압밀 시의 변형을 의미한다.
4) 압밀곡선에서 점 F의 세로축 좌표는 1차 압밀 50%에 상응하는 변형을 나타내고 가로축 좌표는 이에 상응하는 시간 을 나타낸다.
5) 제공 받은 액셀시트를 사용하여 세로축에 압축 변위 d, 가로축에 log t를 취하여 d log t 곡선을 그린다.
6) log t 방법의 압밀계수, 을 구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4.01.14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6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