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산책) 교재에 등장하는 중국과 한국의 철학자 12인 중 가장 선호하는 철학자 한 명을 선택하여 그 철학자의 중심사상을 정리(A4 1쪽 분량)한 후에, 나머지 철학자 11인 중에서 자신이 선택한 철학자의 중심사상과 유사하거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철학산책) 교재에 등장하는 중국과 한국의 철학자 12인 중 가장 선호하는 철학자 한 명을 선택하여 그 철학자의 중심사상을 정리(A4 1쪽 분량)한 후에, 나머지 철학자 11인 중에서 자신이 선택한 철학자의 중심사상과 유사하거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교재에 등장하는 철학자 12인 중 선호하는 철학자의 중심사상 정리 및 나머지 철학자 중 앞서 언급한 철학자의 중심사상과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철학자의 사상 비교
Ⅰ. 퇴계의 중심사상
1. 이기론
2. 심성론
3. 수양론
Ⅱ. 퇴계와 율곡의 철학과 사상의 비교
1. 율곡 이이의 철학과 사상
2. 퇴계와 율곡의 유사점과 차이점
1) 유사점
2) 차이점

2. ‘각자도생’의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동양철학에 대한 관점과 견해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교육열이 둘째 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교육열이 상당하다. 교육의 참된 의미인 ‘앎’과 그 ‘앎’을 토대로 실행하는 것이 빠진 주입식 교육은 현 사회에서 삭막하고 이기적인 행태를 만들어 내었다. 율곡은 교육에 있어 ‘지행병진’을 강조하였다. 즉, 이치를 궁금해하고 알아가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동시에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앎과 행함이 동시에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중요시하는 교육방법은 조선시대 뿐만 아니라 현재의 우리 사회에서도 가장 필요한 방법이다. 주입식 교육의 폐해가 이미 수면위로 올라왔고, 이러한 교육방법으로 인해 ‘지식’을 알기만 하고 ‘실천’할 줄 모르는 것이다. 진정한 의미의 교육을 받았으면 이기적이고 능력만 강조되는 사회는 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율곡 이이와 퇴계 이황이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는 것을 사상의 근본으로 보았듯이 우리도 교육기관에서 무조건 지식을 습득하기 보다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는 것을 가르쳤다면 수많은 사회적인 문제는 지금보다 덜 발생했을 것이다. 모든 경쟁이 나쁜 것은 아니다. 선의의 경쟁이 있지만 지금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것들은 능력 위주, 이기적인 마음을 근본으로 하는 경쟁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율곡의 교육 방식처럼 교육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단순한 지식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지식을 탐구하면서 그 지식을 몸소 실천해 나가 덕을 쌓은 자가 진정한 교사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황과 이이가 살던 시대와 현재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지만 그의 교육 사상에는 객관적으로 의미를 갖기에 충분하다. ‘도’로 표현된 교육 목표와 지행병진, 평생교육 이념, 전인 교육의 강조 등 다양한 교육방법은 현대에 있어 많은 깨달음을 준다. 결국 시대를 초월하여 교육에서부터 올바른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현대의 수많은 사회적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3. 참고문헌
이기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 심성론, 김영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이이『율곡전서』(해제), 정원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퇴계의 일생과 철학세계, 유명종, 현대미학사, 2014
한국의 사상가 10인-퇴계이황, 한국사상연구원, 예문서원, 2002
한국의 사상가 10인-율곡 이이, 예문동양사상연구원 및 황의동 편저, 예문서원, 2002
퇴계 이황의 자성록에서 본 ‘마음 공부법’, 권동철, 오피니언, 2011년 6월 1일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17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6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