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속화 평가도구
3) 구어 샘플 수집
4) 연구 절차
5) 자료 처리 및 신뢰도
3. 연구결과
4. 결론 및 논의
2.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속화 평가도구
3) 구어 샘플 수집
4) 연구 절차
5) 자료 처리 및 신뢰도
3. 연구결과
4. 결론 및 논의
본문내용
말더듬성인 집단은 투쟁, 단어부분반복, 연장, 단어전체반복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어 속도를 비교한 결과 읽기, 대화, 이야기 다시 말하기의 각 구어과업에서 두 집단 간 전체속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속화성인 집단에서 구어산출시 읽기, 대화,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업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어과업별로는 전체구어속도와 마찬가지였으며 모든 구어과업에서 두 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결론 및 논의
두 집단의 구어과업별 비유창성 빈도를 살펴본 결과, 속화성인 집단보다 말더듬성인 집단이 대화 과업에서 3배,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업에서 2.4배 높았으나 연구대상자 수가 적어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속화집단의 경우 단어부분반복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말더듬인은 반복할 때 긴장을 동반하지만 속화인은 긴장이 없는 음절과 단어의 반복이었다. 속화인이 말더듬인 보다 구어과업별 전체 구어속도 및 조음속도가 높게 산출됐고 이런 특성을 통해 임상실제에서 속화인 치료에서 치료프로그램 고안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소수이지만 꾸준한 연구를 통해 구어 유창성 외에도 다양한 접근으로 후속연구로 빠른 시일 내 유창성 습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 결론 및 논의
두 집단의 구어과업별 비유창성 빈도를 살펴본 결과, 속화성인 집단보다 말더듬성인 집단이 대화 과업에서 3배,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업에서 2.4배 높았으나 연구대상자 수가 적어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속화집단의 경우 단어부분반복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말더듬인은 반복할 때 긴장을 동반하지만 속화인은 긴장이 없는 음절과 단어의 반복이었다. 속화인이 말더듬인 보다 구어과업별 전체 구어속도 및 조음속도가 높게 산출됐고 이런 특성을 통해 임상실제에서 속화인 치료에서 치료프로그램 고안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소수이지만 꾸준한 연구를 통해 구어 유창성 외에도 다양한 접근으로 후속연구로 빠른 시일 내 유창성 습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말더듬(유창성장애)의 유형과 행동특성, 말더듬(유창성장애)의 판별, 말더듬(유창성장애)의 ...
말더듬(유창성장애) 특성, 말더듬(유창성장애) 진단, 말더듬(유창성장애) 사례, 말더듬(유창...
읽기 학습장애아의 개요와 읽기 학습장애아의 읽기지도방법
정신분석 상담과 행동주의 상담, 형태치료 상담 비교
[특수교육학개론 2021 기말과제] 1. 발달지체에 대한 개념, 발달지체 영유아 교수방법, 발달...
특수교육학개론 ) 지적장애, 2
단순언어장애(말늦은아이), 유창성장애, 조음.음운장애,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중 하나를 선...
글쓰기) 유창성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