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IARC)에서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B)로 분류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그러나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가 1일 섭취허용량을 현행 기준으로 유지하고 현재의 섭취 수준에서 안전하다고 평가했다. 다음에 대해 기술하시오.
1) 국제암연구기관에 의한 발암물질 분류 기준을 조사하여 작성하고, 1일 섭취허용량 정의와 산출방법을 설명하시오 (10점).
2) 아스파탐의 1일 섭취허용량과 식품 종류별 사용기준을 조사하여 작성하시오 (5점).
3) 감미료가 첨가된 가공식품 한 종을 선정하여 사용된 식품첨가물이 표시된 부분을 사진으로 첨부하고, 사용기준 등을 조사하여 기술하시오 (10점).
4) 선정한 가공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될 수 있는 혹은 대용될 수 있는 식품첨가물을 본인 나름대로 제안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5점).
출처 및 참고문헌
1) 국제암연구기관에 의한 발암물질 분류 기준을 조사하여 작성하고, 1일 섭취허용량 정의와 산출방법을 설명하시오 (10점).
2) 아스파탐의 1일 섭취허용량과 식품 종류별 사용기준을 조사하여 작성하시오 (5점).
3) 감미료가 첨가된 가공식품 한 종을 선정하여 사용된 식품첨가물이 표시된 부분을 사진으로 첨부하고, 사용기준 등을 조사하여 기술하시오 (10점).
4) 선정한 가공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될 수 있는 혹은 대용될 수 있는 식품첨가물을 본인 나름대로 제안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5점).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탐 혹은 설탕을 스테비아 감미료로 대체함으로써 인공 감미료와 건강과의 상관관계에 관련된 우려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제품에 원하는 수준의 단맛 또한 유지할 수 있다. 천연 재료와 최소한의 가공을 거친 재료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선호도에 부합하지만 식품 제조업체는 대체 감미료가 가공식품의 원하는 맛 프로파일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맛 테스트를 수행하고 제형을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조정하는 것 또한 중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출처 및 참고문헌
아스파탐, 화학백과, 대한화학회
국제암연구기관(IARC), 간호학대사전, 1996.03.01. 대한간호학회
1일 허용섭취량(ADI), 영양학사전, 채범석, 아카데미서적, 1998.03.15.
국제식량농업기구/세계보건기구 합동식품첨가물 전문가위원회(JECFA),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04.10
’아스파탐‘논란 이후 제로 음료 시장은? 이호영기자, 데일리임팩트, 2023.09.20.
http://www.dailyimpac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049
아스파탐 일일허용량 보니...“막걸리 33명, 제로콜라 55캔”. 국민일보, 김성훈 기자, 2023.07.03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423338&code=61171811&cp=nv
“술이랑 담배나 끊어”... 발암물질 논란 일으킨 아스파탐, 식약처가 내린 결론은, 송경은 기자, 매일경제, 2023.07.14.
https://www.mk.co.kr/news/business/10784339
김희연(Hee-Yun Kim),윤혜정(Hae-Jung Yoon),홍기형(Ki-Hyoung Hong),최장덕(Duck-Jang Choi),박성관(Sung-Kwan Park),최우정(Woo-Jeong Choi),장영미(Young-Mi Jang),이달수(Dal-Soo Lee),하상철(Sang-Chul Ha),송옥자(Ok-Ja Song),문동철(Dong-Chul Moon),and 신일식(Il-Shik Shin). \"식품 중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6 (2006): 690-697.
편집부(편집자). \"인공감미료 아스파탐(aspartame)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 결과.\" 안전보고서 -.- (1997): 1-15.
서희재(Hee-Jae Suh),최진희(Jinhee Choi),안덕준(Duek-Jun An),최성희(Sunghee Choi),김다영(Da Young Kim),and 김애영(Ae Young Kim). \"한국인의 아스파탐과 아세설팜 칼륨의 식이 섭취 수준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4 (2014): 604-611.
최순남 ( Soon Nam Choi ),김현정 ( Hyun Jung Kim ),주미경 ( Mi Kyoung Joo ),and 정남용 ( Nam Yong Chung ). \"스테비아잎 분말로 설탕을 대체한 카스텔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9.2 (2013): 153-160.
출처 및 참고문헌
아스파탐, 화학백과, 대한화학회
국제암연구기관(IARC), 간호학대사전, 1996.03.01. 대한간호학회
1일 허용섭취량(ADI), 영양학사전, 채범석, 아카데미서적, 1998.03.15.
국제식량농업기구/세계보건기구 합동식품첨가물 전문가위원회(JECFA),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04.10
’아스파탐‘논란 이후 제로 음료 시장은? 이호영기자, 데일리임팩트, 2023.09.20.
http://www.dailyimpac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049
아스파탐 일일허용량 보니...“막걸리 33명, 제로콜라 55캔”. 국민일보, 김성훈 기자, 2023.07.03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423338&code=61171811&cp=nv
“술이랑 담배나 끊어”... 발암물질 논란 일으킨 아스파탐, 식약처가 내린 결론은, 송경은 기자, 매일경제, 2023.07.14.
https://www.mk.co.kr/news/business/10784339
김희연(Hee-Yun Kim),윤혜정(Hae-Jung Yoon),홍기형(Ki-Hyoung Hong),최장덕(Duck-Jang Choi),박성관(Sung-Kwan Park),최우정(Woo-Jeong Choi),장영미(Young-Mi Jang),이달수(Dal-Soo Lee),하상철(Sang-Chul Ha),송옥자(Ok-Ja Song),문동철(Dong-Chul Moon),and 신일식(Il-Shik Shin). \"식품 중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의 섭취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6 (2006): 690-697.
편집부(편집자). \"인공감미료 아스파탐(aspartame)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 결과.\" 안전보고서 -.- (1997): 1-15.
서희재(Hee-Jae Suh),최진희(Jinhee Choi),안덕준(Duek-Jun An),최성희(Sunghee Choi),김다영(Da Young Kim),and 김애영(Ae Young Kim). \"한국인의 아스파탐과 아세설팜 칼륨의 식이 섭취 수준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4 (2014): 604-611.
최순남 ( Soon Nam Choi ),김현정 ( Hyun Jung Kim ),주미경 ( Mi Kyoung Joo ),and 정남용 ( Nam Yong Chung ). \"스테비아잎 분말로 설탕을 대체한 카스텔라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9.2 (2013): 153-16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