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에게묻다) 1) 자신의 현재 혹은 이전의 사랑에 대해(꼭 이성적 사랑이 아니어도 됨) 스턴버그(R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에게묻다) 1) 자신의 현재 혹은 이전의 사랑에 대해(꼭 이성적 사랑이 아니어도 됨) 스턴버그(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스턴버그(R. Sterberg)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서 바라본 나의 사랑
1.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
2. 스턴버그 이론으로 본 나의 사랑
III. 내가 추구하는 사랑과 펙(M. S. Peck)의 참사랑 비교
1. 펙(M. S. Peck)의 참사랑
2. 내가 추구하는 사랑과 펙의 참사랑 비교
Ⅳ. 이론으로 본 사랑에 대한 나의 소회
Ⅴ.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사랑과 펙의 참사랑 비교
직장이나 가정에서 하는 내가 추구하는 사랑은 펙의 사랑과 닮은 점이 많다. 서로를 독립적으로 인정해 분리된 대상으로 바라보면서 서로를 존중한다는 측면에서 펙의 참사랑과 유사하다. 또한 서로의 고민을 들어주면서도 상대의 고민 해결을 내 방법을 강요하지 않고 나의 사례를 들면서 상대의 고민을 공감한다. 하지만 간혹 내 경험을 강요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이미 경험한 적이 있는 나에게 상대의 고민이 그다지 크게 느껴지지 않거나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치부되기도 하기에 상대의 고민을 낮잡아 보는 측면에서 반성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펙의 참사랑은 내가 추구하는 사랑보다 한 차원 높은 일종의 종교적 사랑처럼 느껴진다. 왜냐하면 보통 사랑은 정신적 측면에서만 머물지 않고 내가 주는 사랑의 양만큼 내가 받을 사랑도 측정하는 경향성이 높기 때문이다. 내가 준 사랑보다 상대가 준 사랑이 적다고 판단된다면 실망을 넘어서 미움의 감정까지 갖기 마련인데 펙의 참사랑은 상대를 사랑하는 것이 곧 나의 사랑 실현이라는 점에서 일종의 종교성을 띠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펙의 사랑은 남녀 간의 사랑보다는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과 유사하다.
내가 생각하는 아이들의 미래와 아이들이 행하는 자기 미래가 차이를 보이면 부모는 사랑에 대한 보답이 오지 않는다고 스트레스를 받거나 오히려 자기를 힘들게 하는 아이를 미워할 수도 있다. 간혹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데, 네가 이거밖에 못 하냐?’라며 실망과 미움의 감정을 쏟아내는 부모도 있다. 이들에게 그건 사랑이 아니라 너의 욕심이었다는 충고가 적당하겠지만 저는 이것 또한 부모의 사랑이라 생각한다. 자녀가 자라 실망과 뿌듯함을 주었다고 한들 아이에 대한 부모의 사랑은 변함없기에 펙의 참사랑은 종교적 사랑 혹은 자녀에 대한 엄마의 사랑이라 판단된다.
Ⅳ. 이론으로 본 사랑에 대한 나의 소회
사랑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 가운데 스턴버그와 펙의 사랑은 학문적 측면을 넘어서 현실적 공감을 얻을 정도로 쉽게 다가왔다. 특히 사랑의 구성 요소를 3가지로 구분해 요소에 따른 결핍과 부재의 정도에 따라 사랑을 일곱 가지로 구분해 나의 사랑을 비교한 작업은 흥미로웠다. 이 과정에서 과거와 현재의 사랑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 본 것도 재미있는 작업이었다.
오십이 넘은 나이에서 남녀 간의 사랑은 현실에서보다 드라마나 영화에서 짐작해 볼 정도로 아득한 장면이지만 스턴버그의 이론으로 그 사랑들을 분석해 보니 쉽게 공감되었다. 게다가 아이들에 대한 내 생각과 행동을 스턴버그와 펙의 이론으로 바라보니 엄마라는 위치가 꽤 괜찮은 자리다는 것을 깨달았다. 물론 이것 또한 오로지 내 처지에서 공감되겠지만 사랑에 대한 여러 측면을 분석해 볼 수 있어 좋았다.
마지막으로 펙의 참사랑은 현실적 사랑과 거리가 먼 이상적 사랑으로 판단되지만 인간관계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사랑이라 생각한다. 인간이 인간을 대할 때 서로를 독립적 존재로 인정하면서 서로에 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서로의 고민과 고충을 상담해 주려는 펙의 참사랑이야말로 돈과 명예를 수치로 줄 세운 능력주의 현대 사회의 삭막한 인간관계를 더욱 따뜻하게 만들어준 온정주의 사회로 조금은 변화시켜 줄 것이라 기대한다.
Ⅴ. 출처 및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김은영(2001). “사랑요인의 확인과 사랑척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박성암(2010). “사랑의 진화와 퇴화”, 대진대학교 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김경순(2000). “사랑학습 프로그램이 교제 중인 대학생의 이성관계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1.19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5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