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큰 반응이 나오는 터라 시행착오를 겪는 기간에는 좌절감을 꽤나 맛본다. 하늘은 노력하는 자를 배신하지 않는다, 참는 자에게 복이 있나니, 고생 끝에 낙, 이란 명언들이 바로 생리적 반응에서 오는 자기효능감을 표현한 것인데, 이러한 명언들이야 물론 훌륭하다. 그러나 훌륭한 말이라 해도 내게 적용되지 않는 명언이기에 이에 따라 나의 효능감이 올라갈 수 있는지는 미지수다. 특히 끈기가 부족한 사람들이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포기하거나 기로를 바꾸며 쓴맛을 많이 느끼는 걸 본 적 있을 것이다. 이것이 지속되면 결국 자신감으로 직결되어 점차 자기에 대한 기대가 낮아질 텐데, 이러한 상태는 역시 성취감을 맛보지 않는 이상 자신감을 올리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나 또한 그런 시기를 겪었기에 예측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말했듯이 성과를 끝내 달성해낸다면 내가 겪어온 좌절감, 결핍, 모자람 등이 다 밑거름이 되어 나의 효능감을 한없이 치켜세워줄 것이다. 그렇게 되도록 목표를 위한 꾸준한 노력과 용기 있는 자기 주문, 그리고 끈기 등을 동반하여 해내는 과정을 실패로 해석하지 않는 것이 무척 중요하다. 나는 아직 자기효능감이 높지 않은 것 같아서 생리적 반응에 대해 긍정적인 양상을 보일 순 없지만, 나 또한 과정을 즐길 줄 아는 자가 되고 싶다는 건 언제나 사실이다. 자기효능감은 사람이 건강한 일상을 살기 위해서 너무나도 필요한 개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편 자기효능감은 그것이 바닥난 사람을 스스로 파괴하도록 만들 뿐만 아니라 주변 타인까지 그 영향이 미쳐 되레 본인에게 두 배의 독화살로 돌아오는 개념이라고도 생각한다. 이는 긍정적인 믿음과도 같기에 사람에게 반드시 필요한 양식이며, 결핍되어선 안 되고, 충분히 충족되어야만 자신을 성장케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우리는 고유한 나 자신을 격려할 수 있도록 누구보다 나를 위하는 내가 되고 나를 사랑하는 내가 되어야 한다. 이 모든 걸 위해 우리는 자기효능감을 지키고자 노력하는 것을 삶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남의 성장을 응원하면서도 나 또한 자기효능감을 잃지 않도록 도전하는 사람이 될 것이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1) 신득렬(1988), 계명대학교, “인간행동의 이해 : 원인과 이유” Vol.1 No.1
2) 이임정(2009), 연세대학교, “자기효능감의 이해를 통한 인간의 욕구와 행동에 관한 연구” 55권 55호
3. 출처 및 참고문헌
1) 신득렬(1988), 계명대학교, “인간행동의 이해 : 원인과 이유” Vol.1 No.1
2) 이임정(2009), 연세대학교, “자기효능감의 이해를 통한 인간의 욕구와 행동에 관한 연구” 55권 55호
추천자료
글쓰기가 경쟁력 [글을 잘 쓰는 법]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년)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
[2023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년]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년 2학기]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