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의 이해) 1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 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2페이지)
2.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 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1페이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어느 동물보다 순화된 욕망 및 감정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자신의 도덕적 본성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면서 행동할 수 있는 존재로 도덕적으로 살아감으로 선한 자신의 본래 모습을 회복하는 의식 주관이 있는 존재이며 삶의 의미를 스스로 발견하며 발전할 수 있는 존재로 보았다. 이렇듯 유가는 인간의 존재를 중요시하며, 개인의 능력과 성품, 개인의 욕구와 행복, 그것을 이루려는 인간의 노력을 높게 샀으며 그것이 가능한 존재라고 하였다. 유가는 최고의 선인 우주를 떠받치는 세 가지 기둥이 있는데, 세 기둥 중 하나가 하늘과 땅과 함께 인간이라고 할 정도로 사유 체계의 근본으로 보아 유가의 사상을 인본주의 사상이라고 부른다.
4) 유가사상이 본 건 이데올로기로 받아들여지게 된 이유는?
오늘날의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지배 엘리트의 수양 및 통치 이론으로 확립된 지배와 예속의 유가 사상은 어울리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여전히 자본주의적 현실사회를 들여다보면 정치권력자이든 소시민이든 지배 욕구가 넘쳐나는 것도 사실이며 작건 크건 간에 우리는 일상의 사회관계에서 누군가를 지배하는 위치에 있다. 유가는 인간은 동물과 달리 의식 주관이 있기 때문에 자신의 도덕적 본성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볼 수 있으며, 짐승이 아니라 인간에 걸맞은 행동할 수 있는 존재, 삶의 참 의미를 발견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존재로 보았다. 유가 사상의 목표인 참된 선이며 최고의 선인 우주와 우주의 일부인 인간이 하나인 천인합일이다.
도덕적 삶을 살 수 있기 위해 도덕적 본성을 가지고, 자신을 반성적으로 돌아보며 도덕적 삶을 살 수 있다’고 믿었으며, 도덕적 삶의 실천이 가능한 인간 의지에 대한 무한한 믿음을 가질 정도로 인간을 중시하였다. 오늘날의 사회처럼 겉은 민주적이나 자기보다 낮은 위치의 인간을 지배하려는 욕구라는 본능적 욕망이 도사리는 현대 사회의 아이러니에서 인간만이, 인간은 가능하다고 보는 것은 문제의 원인이지만 스스로 헤쳐 나가는 것 또한 인간일 수 있다는 이러한 유가 사상을 본 건에서는 중요하게 보고 공자나 노자처럼 어느 한 곳 치우치는 이데올로기가 아닌, 도가 사상과 함께 유가 사상이 이데올로기적으로 한 곳으로 치우치지 않고 서로 보안적인 관계를 이루며 세상을 바르게 이끌어갈 수 있는 이데올로기로 보아 본 건의 이데올로기로 적합하다고 보는 것이다.
참고문헌
철학의이해.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지음. 출판문화원. 2016
  • 가격2,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22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