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1단계 가족상황 및 재무상태의 파악
2) 2단계 재무목표의 설정
3) 3단계 행동계획의 수립과 실행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1단계 가족상황 및 재무상태의 파악
2) 2단계 재무목표의 설정
3) 3단계 행동계획의 수립과 실행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성향지표
자산을 운영하며 위험성 있으나 수익성 있는 높은 투자 자산 등 가계경제의 성장성 평가
투자자산/총자산
0
가계재무상태 평가지표를 통해 살펴보면 가계수지지표는 최현자와 양세정 연구기준 모두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을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교육비로 큰 비용이 나가고 있는 만큼 자녀의 대학 졸업 이후로는 해당 금액만큼 더 가계재무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비상금 지표도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으며, 위험대비지표의 경우도 월평균 가계소득에 비해 너무 많은 비용이 지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채부담 지표의 경우는 권장하는 모든 기준보다 낮은 수치로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볼 수 있었다. 저축성향지표는 두 기준에 모두 부합하지 못하여 저축의 양을 더 늘려야 할 필요가 있으며, 투자성향으로 본다면 현재 투자자산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가계재무를 확보 후 투자자산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3) 3단계 행동계획의 수립과 실행
수입
금액
지출
금액
소득
가구주 급여
부가 소득
계
8,000만원
1,200만원
9,200만원
저축과 투자
정기적금
계
2,200만원
2,200만원
자산변동유입
-
계
-
-
고정지출
가족보험료
세금
부채상환비
관리비
계
1,800만원
360만원
420만원
370만원
2,950만원
변동지출
식비
교육비
기타
계
1,440만원
1,700만원
910만원
4,050만원
합계
9,200만원
합계
9,200만원
기존 소득에서는 가구주의 급여만 있었지만 이제는 부수적인 소득으로 한달에 100만원씩 벌 수 있는 방법을 확보하여 정기적금의 비중을 높이고 가족보험료를 최소한으로 줄여서 이로 인한 부담도 줄여 저축의 비율을 더 높이고자 한다. 또한 기존보다 부채상환비를 좀 더 높여서 빨리 주택담보대출 잔액을 줄이고 적립식 펀드 등의 새로운 투자 방식을 확대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이제는 재무목표가 노후준비로 들어가야 할 시기가 되었고, 자녀의 교육비 지출이 끝나게 되면 자산증식을 위해서도 적극적인 노력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퇴직 이후 여생을 보내는 시기에 모아 둔 재산을 안전하게 운용하면서 균등하게 생활비로 인출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요한 재무 과제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 적절한 보험료 수준을 유지하여 노년기 건강의 악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건비의 부담은 줄이되 재산 증여나 상속에 대한 설계는 자녀의 대학졸업 이후로 후순위로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3. 결론
가족상황과 재무상태를 평가하고 재무목표를 설정하여 앞으로 재무활동을 위해서 필요한 자금에 대한 구체화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가계운영을 위해서도 불필요한 지출은 줄이고 장, 단기적 목표를 세워 중요도와 긴급성을 고려하면서 노후자금 마련과 자녀결혼자금 마련 그리고 자산 증식 등의 노후대비를 시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가계재무관리. 서지원, 성영애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0년 07월 25일
자산을 운영하며 위험성 있으나 수익성 있는 높은 투자 자산 등 가계경제의 성장성 평가
투자자산/총자산
0
가계재무상태 평가지표를 통해 살펴보면 가계수지지표는 최현자와 양세정 연구기준 모두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을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교육비로 큰 비용이 나가고 있는 만큼 자녀의 대학 졸업 이후로는 해당 금액만큼 더 가계재무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비상금 지표도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으며, 위험대비지표의 경우도 월평균 가계소득에 비해 너무 많은 비용이 지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채부담 지표의 경우는 권장하는 모든 기준보다 낮은 수치로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볼 수 있었다. 저축성향지표는 두 기준에 모두 부합하지 못하여 저축의 양을 더 늘려야 할 필요가 있으며, 투자성향으로 본다면 현재 투자자산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가계재무를 확보 후 투자자산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3) 3단계 행동계획의 수립과 실행
수입
금액
지출
금액
소득
가구주 급여
부가 소득
계
8,000만원
1,200만원
9,200만원
저축과 투자
정기적금
계
2,200만원
2,200만원
자산변동유입
-
계
-
-
고정지출
가족보험료
세금
부채상환비
관리비
계
1,800만원
360만원
420만원
370만원
2,950만원
변동지출
식비
교육비
기타
계
1,440만원
1,700만원
910만원
4,050만원
합계
9,200만원
합계
9,200만원
기존 소득에서는 가구주의 급여만 있었지만 이제는 부수적인 소득으로 한달에 100만원씩 벌 수 있는 방법을 확보하여 정기적금의 비중을 높이고 가족보험료를 최소한으로 줄여서 이로 인한 부담도 줄여 저축의 비율을 더 높이고자 한다. 또한 기존보다 부채상환비를 좀 더 높여서 빨리 주택담보대출 잔액을 줄이고 적립식 펀드 등의 새로운 투자 방식을 확대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이제는 재무목표가 노후준비로 들어가야 할 시기가 되었고, 자녀의 교육비 지출이 끝나게 되면 자산증식을 위해서도 적극적인 노력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퇴직 이후 여생을 보내는 시기에 모아 둔 재산을 안전하게 운용하면서 균등하게 생활비로 인출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요한 재무 과제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 적절한 보험료 수준을 유지하여 노년기 건강의 악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건비의 부담은 줄이되 재산 증여나 상속에 대한 설계는 자녀의 대학졸업 이후로 후순위로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3. 결론
가족상황과 재무상태를 평가하고 재무목표를 설정하여 앞으로 재무활동을 위해서 필요한 자금에 대한 구체화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가계운영을 위해서도 불필요한 지출은 줄이고 장, 단기적 목표를 세워 중요도와 긴급성을 고려하면서 노후자금 마련과 자녀결혼자금 마련 그리고 자산 증식 등의 노후대비를 시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가계재무관리. 서지원, 성영애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0년 07월 25일
추천자료
3차분과제
판매촉진, 인적판매
가족생활과 재정관리
[조직목표의 관리] 조직목표관리 (기업조직의 목표,조직목표의 역할,조직에 있어서 개인목표...
2017년 2학기 가계재무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장기재무설계, 단기재무설계)
가계재무관리)학생 자신의 가계를 대상으로 하여 장기와 단기 가계재무관리를 수행하시오 이...
가계재무관리 ) 가계재무관리의 과정(4단계)에 맞게 자신의 가계를 대상으로 가계재무관리를 ...
방송대_22학년도2학기 출석수업과제물)_가계재무관리(공통) - 가계재무관리의 과정(14단계)에...
가계 재무관리(출석)) 가계 재무관리의 과정 중 1단계(가족 상황 및 재무 상태의 파악), 2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