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Ⅱ. 성과배분제도
1. 성과배분제도의 의의
2. 성과배분제도의 유형
Ⅲ. 성과배분제도의 역할과 긍정적 효과
Ⅵ. 결론
Ⅴ. 참고문헌
Ⅱ. 성과배분제도
1. 성과배분제도의 의의
2. 성과배분제도의 유형
Ⅲ. 성과배분제도의 역할과 긍정적 효과
Ⅵ.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계가 존재한다면 이는 관리감독의 비용을 크게 절감시켜 기업의 경영성과 개선에 기여한다고 말하였다. 사전적으로 이미 정해져 있는 임금과는 달리 성과배분제는 종업원의 노력에 따라서 보상이 달라지는 것을 말하였다.
크루즈의 또 다른 이론인 안정성이론에 따르면 이익분배제는 거시 경제적으로 경기변동의 폭을 좁히고 고용의 상대적 안정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기본적으로 실업과 경제적 불안정성의 근처에는 임금이 경기상황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임금의 하방 경직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안정성 이론은 이익분배제가 보상의 일부를 경기상황에 연동시킴으로써 실업증가를 예방하고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크루즈는 성과배분제의 역할을 거시 경제적 안정 효과에서 찾고 있기 때문이다.
Ⅵ. 결론
성과배분제도는 산업복지의 측면보다는 경영 및 경제의 측면에서 더 설명하기가 용이할 것이다. 하지만 서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다수의 근로자 및 종업원은 성과배분제도의 존재자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자연스레 기업 경영진에 의하여 임금수준을 강제 받고 있다. 근로자와 종업원은 더 받고, 못 받고 차원의 안일한 생각보다는 성과배분제도의 시혜를 받으려는 노력과 경영진과 근로자집단간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종업원 스스로 경영진의 분위기를 형성하려 노력하여야한다.
성과배분제도는 현금지급부터 스캔런플랜, 워커플랜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이러한 다양한 유형은 다양한 기업의 분위기 및 경영방식에 적용할 수 있음을 전제하고 있다. 모든 복지의 시작은 필요성의 인식이다. 기업경영진은 기업의 분위기에 맞춘 유형의 사용으로 성과배분제도의 도입목적을 실현화 할 필요성이 있으며, 근로자 및 종업원 집단은 적극적인 경영의 참여와 협의를 통하여 산업복지 차원의 필요성을 실현화 할 것을 기대한다.
Ⅴ. 참고문헌
국회의안정보, 근로복지기본법 제84조(성과 배분)
김상균 외, 『사회복지학 개론』, 나남출판, 2011
김석연, 「성과배분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집단성과배분제, 이익배분제, 종업원지주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이도원, 「성과배분제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이정환·노병일·변보기, 『산업복지론』, 대학출판사, 2001, pp.51~58
조흥식·김진수·홍경준, 『산업복지론』, 나남출판, 2005
크루즈의 또 다른 이론인 안정성이론에 따르면 이익분배제는 거시 경제적으로 경기변동의 폭을 좁히고 고용의 상대적 안정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기본적으로 실업과 경제적 불안정성의 근처에는 임금이 경기상황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임금의 하방 경직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안정성 이론은 이익분배제가 보상의 일부를 경기상황에 연동시킴으로써 실업증가를 예방하고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크루즈는 성과배분제의 역할을 거시 경제적 안정 효과에서 찾고 있기 때문이다.
Ⅵ. 결론
성과배분제도는 산업복지의 측면보다는 경영 및 경제의 측면에서 더 설명하기가 용이할 것이다. 하지만 서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다수의 근로자 및 종업원은 성과배분제도의 존재자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자연스레 기업 경영진에 의하여 임금수준을 강제 받고 있다. 근로자와 종업원은 더 받고, 못 받고 차원의 안일한 생각보다는 성과배분제도의 시혜를 받으려는 노력과 경영진과 근로자집단간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종업원 스스로 경영진의 분위기를 형성하려 노력하여야한다.
성과배분제도는 현금지급부터 스캔런플랜, 워커플랜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이러한 다양한 유형은 다양한 기업의 분위기 및 경영방식에 적용할 수 있음을 전제하고 있다. 모든 복지의 시작은 필요성의 인식이다. 기업경영진은 기업의 분위기에 맞춘 유형의 사용으로 성과배분제도의 도입목적을 실현화 할 필요성이 있으며, 근로자 및 종업원 집단은 적극적인 경영의 참여와 협의를 통하여 산업복지 차원의 필요성을 실현화 할 것을 기대한다.
Ⅴ. 참고문헌
국회의안정보, 근로복지기본법 제84조(성과 배분)
김상균 외, 『사회복지학 개론』, 나남출판, 2011
김석연, 「성과배분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집단성과배분제, 이익배분제, 종업원지주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이도원, 「성과배분제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이정환·노병일·변보기, 『산업복지론』, 대학출판사, 2001, pp.51~58
조흥식·김진수·홍경준, 『산업복지론』, 나남출판,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