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산출하시오.
1) 미생물의 수를 산출하는 방법 중 하나인 MPN (Most Probable Number) 방법
- MPN 방법은 미생물의 수를 산출하는 통계적 방법 중 하나이다.
- 이 방법은 여러 희석도의 시료를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미생물의 가장 가능성 있는 수를 추정한다.
2) 시험 데이터
- 우리는 세 가지 다른 희석도의 시료를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 0.1 단계 희석에서는 5개의 시험관 중 3개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
- 0.01 단계 희석에서는 5개의 시험관 중 2개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
- 0.001 단계 희석에서는 양성 반응을 보이는 시험관이 없었다.
3) MPN 값의 참조
- 이러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 MPN 표를 참조하였다.
- 3-2-0의 조합에 해당하는 MPN 값은 93으로 나타났다.
- 이는 1mL 또는 1g의 검체에 대략 93개의 대장균이 있을 것이라는 추정치를 의미한다.
4) 대장균수의 산출
- 해당 MPN 값을 사용하여 실제 검체의 대장균 수를 산출해야 한다.
- 해당 사항에서 중요한 것은 희석 계수이다.
- 희석 계수는 가장 낮은 희석도에서의 양성 시험관 수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해당 경우, 0.01 단계 희석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시험관이 2개였으므로, 희석 계수는 100이다. 따라서, 검체 1mL 또는 1g 당 대장균수는 MPN 값 (93)에 희석 계수 (100)를 곱한 값, 즉 9,300이 된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식품미생물학. 김승민, 김선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0년 07월 25일
1) 미생물의 수를 산출하는 방법 중 하나인 MPN (Most Probable Number) 방법
- MPN 방법은 미생물의 수를 산출하는 통계적 방법 중 하나이다.
- 이 방법은 여러 희석도의 시료를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미생물의 가장 가능성 있는 수를 추정한다.
2) 시험 데이터
- 우리는 세 가지 다른 희석도의 시료를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 0.1 단계 희석에서는 5개의 시험관 중 3개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
- 0.01 단계 희석에서는 5개의 시험관 중 2개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
- 0.001 단계 희석에서는 양성 반응을 보이는 시험관이 없었다.
3) MPN 값의 참조
- 이러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 MPN 표를 참조하였다.
- 3-2-0의 조합에 해당하는 MPN 값은 93으로 나타났다.
- 이는 1mL 또는 1g의 검체에 대략 93개의 대장균이 있을 것이라는 추정치를 의미한다.
4) 대장균수의 산출
- 해당 MPN 값을 사용하여 실제 검체의 대장균 수를 산출해야 한다.
- 해당 사항에서 중요한 것은 희석 계수이다.
- 희석 계수는 가장 낮은 희석도에서의 양성 시험관 수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해당 경우, 0.01 단계 희석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시험관이 2개였으므로, 희석 계수는 100이다. 따라서, 검체 1mL 또는 1g 당 대장균수는 MPN 값 (93)에 희석 계수 (100)를 곱한 값, 즉 9,300이 된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식품미생물학. 김승민, 김선아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0년 07월 25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