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를 가지고 증감한다.
고주파 유전육의 측정에서 수분을 구하는 방법은 전기저항식보다 높은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으나 그 장치가 대형이고 값도 비싸다. 분체에 응용하면 측정 셀에 시료가 채워지는 방법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지는 결점이 있다.
전기적 수분측정법의 실제에 있어서는 각 기기의 매뉴얼을 참고하여야 하며, 그 적용범위에 있어서는 때에 따라 판단을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6.실험 방법
A.상압 가열법
1.칭량접시의 항 량을 구한다. ( 0.5mg)
2.시료의 무게를 정확히 제어 넣고 뚜껑을 열어 놓고 105?의 오븐에 넣고 1시간 가열 후 뚜껑을 덮고 데시케이터에서 30분 방냉한 후 무게 측정한다.
3.2의 방법을 0.5mg 차이가 날 때까지 반복한다.
B.수분측정기
1.시료를 balance 기능으로 1g 정도 잰다.
2.oven 기능의 start button을 누른다.
3.105 10분 동안 수분을 측정한다. (자동으로 program 되어 있으며 끝나면 bell 소리가 나며 자동으로 멈춘다. bell 소리가 나자마자 수치를 읽어주면 된다)
4.% 수치가 올라가기 시작하면 처음 시작할 때부터 (-) 수치로 표시되며 수치만 읽 어 수분 %로 읽으면 된다.
C.적외선 수분 측정기
이 방법은 적외선 lamp를 가열 원으로 하며 정밀도가 높은 수평 천칭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의 증발함을 직접 읽을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특히 적외선의복사열과 직선성에 따라 시료를 가열하고 효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이때 건조감량을 수분함량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가열 건조법에 비해
정밀도는 떨어지지만, 간단한 방법이며, 일반편차의 범위에 의한 수분함량을
신속하게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매우 편리한 방법이다.
1.수분지침 표시가 '0'이 되도록 수분 치침 이동핸들을 조정한다.
2.분동접시에 분동을 3-5g 올려놓는다.
3.Lamp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고, 이때의 온도는 반드시 105-110 여야 한다.
4.시료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평형지침이 이동한다.
5.이때 계속 평형 지침이 '0'이 되도록 수분지침 이동핸들을 이동시켜 준다.
6.더 이상의 수분증발이 없어 평형지침이 계속 '0'이 되는 그 시점의 수분 눈금이
수분함량이다.
*주의점 :온도를 반드시 유지하여 시료가 타거나 그을리는 경우가 없어야 한다.
D.수분활성도 측정법
*수분 활성도-식품의 저장성을 간접적으로 표시해주는 지표로서 식품의 수분활성도
를 낮추어 주면 그만큼 미생물의 번식이나 성장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1.시료를 membrane sample cup에 60-70% 만큼 샘플을 채우고 뚜껑을 닫는다.
Membrane의 윗부분이 덮지 않도록 하여야 측정시간이 단축된다.
2.Sample cup을 센서 부분에 꽂아 넣는다. 이때 sample cup과 센서부분이 잘
밀착되어야 한다.
3.시료, sample cup, 센서의 온도가 측정하기 전에 같게 한 다음에 측정한다.
4.수치가 안정되면 최종 수분활성도로 하여 기록한다.
7.실험결과
<우리조의 시료 '현미'의 결과>
-상압가열 건조법
시 료
수분 평균
표준 편차
문헌값(수분%)
현 미
16.0799
0.0247
11.0
-수분 측정기
시 료
수분 함량 평균(%)
표준 편차
문헌값(%)
현 미
17.595
0.71417
11.0
-수분활성도
시 료
수분 활성도 평균(%)
표준 편차
현 미
74.55
2.3334
<다른조의 실험결과>-별도 첨부
<각 시료별 문헌값>
시 료
문헌값(%)
쌀
11.6
노란콩
9.2
검은콩
12.9
크래커
3.5
밀가루
13.3
8.고찰
가장 먼저 상압가열 건조법으로 우리조의 시료인 현미의 수분 정량을 하였다.
수기 항량은 15.0975였고 시료량은 2.2288으로 두개를 합하면 17.3263이었다.
우리 조는 현미를 6차에 걸쳐서 칭량을 했다.
우리 조의 실험결과는 1차는16.9854, 2차는16.9786, 3차는16.9728,4차는16.9708,
5차는16.9690, 6차는16.9683으로 칭량을 할 때마다 양이 점점 줄어들었다. 이로써
수분이 계속 증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날씨가 흐리거나 습도가 높으면 양이 증가하기도 한다는데 우리가 실험할 때는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았는지 계속 감소하였다.
실험 후 조교언니께서 올려주신 결과로 평균값을 계산해보니 16.0799가 나왔고
표준편차는 0.0247이 나왔다. 평균과 표준편차 계산 후 문헌 값을 알아보니 현미의
수분 량은 11.0이었다.
칭량을 할 때 현미를 오븐에 넣어둔 뒤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 전자 수분 측정기와
적외선 수분 측정기를 통해 현미의 수분 량과 수분 활성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수분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수분측정기로 측정할 때 실험 전 현미의 양은
1.013g이었다. 현미를 넣어둔 후 Oven기능의 Start 버튼을 누른 뒤 105도에서
수분 측정을 하였다. 10.56분후 측정기에서 벨이 올리고 결과를 보았더니
85.91%가 나왔다. 이는 수분이 날라 간 후 남은 현미의 양으로 수분의 양은
100에서 이를 뺀 17.09%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 적외선 수분 측정기로
현미의 수분을 측정을 하였다. 적외선 수분 측정기를 이용할 때는 처음 수분 지침
표시가 '0'이 되도록 한 후에 현미를 올려놓고 온도는 105-110도를 유지하였다.
시료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평행지침이 이동하는데 이 때에는 평형 지침이 '0'이
되도록 이동핸들을 이동시켜줘야 하는데 눈금이 잘 보이지 않아 좀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고 이 실험을 할 때는 온도를 유지 하여 시료가 타면 안되는데
우리의 기술이 부족하여 결과를 제대로 얻을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수분 활성도
측정기로 현미의 수분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수치가 안정된 수 최종 수분 활성도를
측정하였는데 18.8도에서 76.2의 수분 활성도가 측정되었다.
9.참고 문헌
<식품분석 이론 및 실습>지구문화사, 채수규 외, 1997년 본 P218~234
<표준식품분석학> 지구문화사, 채수규 외, 1997 초판
<엠파스>지식거래소
검색어 '현미성분'
<네이버>검색어 '수분활성도'
'수분 정량'
<그림 출처>
/
고주파 유전육의 측정에서 수분을 구하는 방법은 전기저항식보다 높은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으나 그 장치가 대형이고 값도 비싸다. 분체에 응용하면 측정 셀에 시료가 채워지는 방법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지는 결점이 있다.
전기적 수분측정법의 실제에 있어서는 각 기기의 매뉴얼을 참고하여야 하며, 그 적용범위에 있어서는 때에 따라 판단을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6.실험 방법
A.상압 가열법
1.칭량접시의 항 량을 구한다. ( 0.5mg)
2.시료의 무게를 정확히 제어 넣고 뚜껑을 열어 놓고 105?의 오븐에 넣고 1시간 가열 후 뚜껑을 덮고 데시케이터에서 30분 방냉한 후 무게 측정한다.
3.2의 방법을 0.5mg 차이가 날 때까지 반복한다.
B.수분측정기
1.시료를 balance 기능으로 1g 정도 잰다.
2.oven 기능의 start button을 누른다.
3.105 10분 동안 수분을 측정한다. (자동으로 program 되어 있으며 끝나면 bell 소리가 나며 자동으로 멈춘다. bell 소리가 나자마자 수치를 읽어주면 된다)
4.% 수치가 올라가기 시작하면 처음 시작할 때부터 (-) 수치로 표시되며 수치만 읽 어 수분 %로 읽으면 된다.
C.적외선 수분 측정기
이 방법은 적외선 lamp를 가열 원으로 하며 정밀도가 높은 수평 천칭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의 증발함을 직접 읽을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특히 적외선의복사열과 직선성에 따라 시료를 가열하고 효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이때 건조감량을 수분함량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가열 건조법에 비해
정밀도는 떨어지지만, 간단한 방법이며, 일반편차의 범위에 의한 수분함량을
신속하게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매우 편리한 방법이다.
1.수분지침 표시가 '0'이 되도록 수분 치침 이동핸들을 조정한다.
2.분동접시에 분동을 3-5g 올려놓는다.
3.Lamp에 불이 들어오도록 하고, 이때의 온도는 반드시 105-110 여야 한다.
4.시료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평형지침이 이동한다.
5.이때 계속 평형 지침이 '0'이 되도록 수분지침 이동핸들을 이동시켜 준다.
6.더 이상의 수분증발이 없어 평형지침이 계속 '0'이 되는 그 시점의 수분 눈금이
수분함량이다.
*주의점 :온도를 반드시 유지하여 시료가 타거나 그을리는 경우가 없어야 한다.
D.수분활성도 측정법
*수분 활성도-식품의 저장성을 간접적으로 표시해주는 지표로서 식품의 수분활성도
를 낮추어 주면 그만큼 미생물의 번식이나 성장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1.시료를 membrane sample cup에 60-70% 만큼 샘플을 채우고 뚜껑을 닫는다.
Membrane의 윗부분이 덮지 않도록 하여야 측정시간이 단축된다.
2.Sample cup을 센서 부분에 꽂아 넣는다. 이때 sample cup과 센서부분이 잘
밀착되어야 한다.
3.시료, sample cup, 센서의 온도가 측정하기 전에 같게 한 다음에 측정한다.
4.수치가 안정되면 최종 수분활성도로 하여 기록한다.
7.실험결과
<우리조의 시료 '현미'의 결과>
-상압가열 건조법
시 료
수분 평균
표준 편차
문헌값(수분%)
현 미
16.0799
0.0247
11.0
-수분 측정기
시 료
수분 함량 평균(%)
표준 편차
문헌값(%)
현 미
17.595
0.71417
11.0
-수분활성도
시 료
수분 활성도 평균(%)
표준 편차
현 미
74.55
2.3334
<다른조의 실험결과>-별도 첨부
<각 시료별 문헌값>
시 료
문헌값(%)
쌀
11.6
노란콩
9.2
검은콩
12.9
크래커
3.5
밀가루
13.3
8.고찰
가장 먼저 상압가열 건조법으로 우리조의 시료인 현미의 수분 정량을 하였다.
수기 항량은 15.0975였고 시료량은 2.2288으로 두개를 합하면 17.3263이었다.
우리 조는 현미를 6차에 걸쳐서 칭량을 했다.
우리 조의 실험결과는 1차는16.9854, 2차는16.9786, 3차는16.9728,4차는16.9708,
5차는16.9690, 6차는16.9683으로 칭량을 할 때마다 양이 점점 줄어들었다. 이로써
수분이 계속 증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날씨가 흐리거나 습도가 높으면 양이 증가하기도 한다는데 우리가 실험할 때는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았는지 계속 감소하였다.
실험 후 조교언니께서 올려주신 결과로 평균값을 계산해보니 16.0799가 나왔고
표준편차는 0.0247이 나왔다. 평균과 표준편차 계산 후 문헌 값을 알아보니 현미의
수분 량은 11.0이었다.
칭량을 할 때 현미를 오븐에 넣어둔 뒤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 전자 수분 측정기와
적외선 수분 측정기를 통해 현미의 수분 량과 수분 활성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수분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수분측정기로 측정할 때 실험 전 현미의 양은
1.013g이었다. 현미를 넣어둔 후 Oven기능의 Start 버튼을 누른 뒤 105도에서
수분 측정을 하였다. 10.56분후 측정기에서 벨이 올리고 결과를 보았더니
85.91%가 나왔다. 이는 수분이 날라 간 후 남은 현미의 양으로 수분의 양은
100에서 이를 뺀 17.09%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 적외선 수분 측정기로
현미의 수분을 측정을 하였다. 적외선 수분 측정기를 이용할 때는 처음 수분 지침
표시가 '0'이 되도록 한 후에 현미를 올려놓고 온도는 105-110도를 유지하였다.
시료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평행지침이 이동하는데 이 때에는 평형 지침이 '0'이
되도록 이동핸들을 이동시켜줘야 하는데 눈금이 잘 보이지 않아 좀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고 이 실험을 할 때는 온도를 유지 하여 시료가 타면 안되는데
우리의 기술이 부족하여 결과를 제대로 얻을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수분 활성도
측정기로 현미의 수분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수치가 안정된 수 최종 수분 활성도를
측정하였는데 18.8도에서 76.2의 수분 활성도가 측정되었다.
9.참고 문헌
<식품분석 이론 및 실습>지구문화사, 채수규 외, 1997년 본 P218~234
<표준식품분석학> 지구문화사, 채수규 외, 1997 초판
<엠파스>지식거래소
검색어 '현미성분'
<네이버>검색어 '수분활성도'
'수분 정량'
<그림 출처>
/
추천자료
인삼에 대한 정리
물리,화학흡착의 비교 및 흡착식에 대한 설명
칼로리미터 실험 예비 및 결과
맥주에 관한 조사정리 자료
내과 케이스 게실염
염화수소사전보고서
PTCA, 경피적 관상동맥확장술
[토양][토양의 정의][토양의 구성][토양의 기능][토양과 식물][토양과 미생물][토양의 정화기...
병원미생물학실험_report_3_(단순염색 및 그람염색)
성인간호학 Ⅵ. 신경계 종양과 간호
big5 및 병원 간호사 면접 질문 및 이론 (딸기책 외 전공책 모두 동원하여 작성한것)
고체의 용해도 결정(결과 레포트)
[피부노화] 피부노화 원인, 특징, 피부노화 예방 및 관리 - 피부노화 원인, 예방, 관리 방법
구직활동을 앞둔 비만 청소년의 비만관리를 통한 자신감 회복과 구직의지 향상을 위한 단일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