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복)) 1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또는 경험)를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2반두라(Bandura)가 제시한 자 (2)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복)) 1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또는 경험)를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2반두라(Bandura)가 제시한 자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쉽게 일을 해낼 수 있었다. 또, 이렇게 일을 해냈을 때 오는 뿌듯함, 그리고 이제 이러한 일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계속적으로 더해졌기 때문에 본인의 삶 자체에 긍정적인 생각을 심어주게 되었다.
일을 잘 해냈을 때 오는 뿌듯함과 자신감은 다른 일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든다. 또한, 처음해보는 일이더라도 본인이 잘 해왔던 일들과 비교를 하고, 대입하면서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이렇듯 한번 높게 유지를 할 경우 웬만해서는 계속 높게 유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항상 그렇게 자기효능감이 높은 상태로 살아가기는 힘들 것이다. 어떤 날은 조금 피곤한 날도 있을 것이고, 어떤 날은 컨디션이 좋지 않게 느껴지는 날도 있었을 것이다. 어느 날, 나는 피곤하거나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 날들을 연속적으로 겪게 되었던 경험을 하게 되었었다. 똑같은 일을 하더라도 평소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렸었고, 다음날로 미루는 등의 행동을 하게 되었었다. 이 과정에서 “왜 오늘따라 일이 더 힘들지? 이건 금방 할 수 있었던 일인데?”라는 생각을 시작하게 되었고, 그 생각은 꼬리를 계속 이어가게 되었다. 이러한 날이 연속적으로 일어난 결과, 나는 자신감이 떨어지는 시기를 겪게 되었다. 내가 일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 항상 모든 것을 잘 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그때의 나는 일을 잘 한다는 자부심이 있었기 때문에 일에 집중을 하지 못하거나 일을 못한다는 점에 대해 자신감, 자존감의 하락으로까지 연결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면 정말 별거 아닌 상황이었다. 그러나 그때의 나는 내가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그리고 내가 못하는 것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실망을 하거나 더 나아가 무시를 하면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지 등에 대해 계속 생각을 하게 되었고, 이러한 생각은 더더욱 나를 갉아먹었던 것 같다.
일을 하지 못하는 날, 그리고 컨디션이 좋지 않은 날에는 과감하게 그것을 던질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본인의 효능감을 낮추는 행위로 연결되지 않을 것이고, 컨디션을 회복한 나는 다시 일을 지속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못하는 것은 못한다고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내가 잘 하지 못하는데 잘해내기 위해 평소보다 더 힘을 쓰게 될 경우 나는 부족함에 대해 계속 생각을 하게 될 것이고 이는 자기효능감의 하락으로 연결될 것이다.
즉, 내가 생각하는 자기효능감은 자신에 대해 객관화하는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내가 잘하는 것은 더욱 잘할 수 있도록 하고,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못한다는 점을 인정하며 노력하는 것이 주어진 상황을 최적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송대영, 최현섭 지음. 출판문화원. 2012
전상원, (2010).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2169309
  • 가격3,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1.26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9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