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게 되었다. 물론, 당시에는 한번 읽고 난 수준으로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당시에는 자신에 가득 찬 상태가 되었다. 이렇게 작은 독서의 성공들은 쌓이고 쌓여서 어느새 나 자신의 작은 성공들로 이어졌고, 이것은 학교 성적의 향상으로 이어졌다.
나는 다른 친구들에 비하여 학업 자체에는 큰 흥미를 가지진 못하였다. 그래서 기본적인 숙제를 끝마치고 나면 나머지 시간들은 모두 독서에 그 시간을 투자했다. 하지만 이러한 독서는 단순히 독서로 끝나지 않았고 독서한 책 수가 대략 200여권 수준에 이르렀을 때 그것은 성적으로 이어지기 시작했다. 또한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모의고사에서 언어성적은 늘 상위권을 유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학교 국어시간이 점점 즐거워졌고, 국어 선생님들과도 친해지게 되어 늘 칭찬을 듣게 되었다. 지금 생각하면 얄팍한 지식이었지만 선생님들의 칭찬과 격려는 또다른 힘이 되어 내가 잘 해나가고 있다는 확신으로 이어졌다. 그렇게 대략 1년여를 보내고 나서 다시 피터드러커의 ‘미래경영’을 읽었을 때, 그때에는 끝까지 그 책을 마치게 되었고, 그 일을 해내고 나서는 나는 나에 대한 확신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되었다.
지금도 나는 무언가를 배울 때 누군가에게 가르침을 받기 보다는 책을 통하여 먼저 배우고 나서 그 다음 내가 익혀야 할 것들을 찾고 있다. 다른 사람을 관찰하기보다는 책을 통한 간접경험을 선호하는 편인데 이 또한 책을 통하여 내가 이해를 하게 되고 나면 내가 곧 그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 분야의 책을 대략 20여권 정도 읽고 나면 그 분야는 그냥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편이다.
이러한 자기효능감은 자기개발 서적들에서는 끊임없이 인용되곤 한다. 어떠한 일을 구체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한 번에 큰 결과물을 가지려 하지 말고 자신이 해낼 수 있는 작은 일들부터 하나씩 하나씩 성공경험을 쌓아가라는 말이다. 작심삼일은 나쁘지 않다. 작심삼일을 하고 실패하면, 다시 작심삼일을 해 나가면 끊임없는 향상을 이루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심삼일이 성공의 요소로 작용하기 힘든 이유는 작심삼일은 성공의 경험이 아닌 실패의 경험이기 때문이다. 작심을 한 후 삼 일 후에 실패를 하게 되고, 이러한 경험이 계속해서 쌓이게 되면 좌절과 절망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성공도 습관이며 실패도 습관이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가지기 위해서 작은 성공들을 쌓고, 그 작은 성공이 쌓여서, 행동이 되고 그 성공하는 행동들을 통하여 타인이 나를 칭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순환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사람은 밥만 먹고 사는 것이 아니라 칭찬을 먹고 살아간다고 생각한다. 나의 행동이 타인의 칭찬으로 이어질 때 자신에 대한 확신이 강해지고 자아 정체성이 더욱 강화되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송대영, 최현섭 지음. 출판문화원. 2012
대학장구신강, 장기근, 명문당, 2005.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선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1998.
나는 다른 친구들에 비하여 학업 자체에는 큰 흥미를 가지진 못하였다. 그래서 기본적인 숙제를 끝마치고 나면 나머지 시간들은 모두 독서에 그 시간을 투자했다. 하지만 이러한 독서는 단순히 독서로 끝나지 않았고 독서한 책 수가 대략 200여권 수준에 이르렀을 때 그것은 성적으로 이어지기 시작했다. 또한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모의고사에서 언어성적은 늘 상위권을 유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학교 국어시간이 점점 즐거워졌고, 국어 선생님들과도 친해지게 되어 늘 칭찬을 듣게 되었다. 지금 생각하면 얄팍한 지식이었지만 선생님들의 칭찬과 격려는 또다른 힘이 되어 내가 잘 해나가고 있다는 확신으로 이어졌다. 그렇게 대략 1년여를 보내고 나서 다시 피터드러커의 ‘미래경영’을 읽었을 때, 그때에는 끝까지 그 책을 마치게 되었고, 그 일을 해내고 나서는 나는 나에 대한 확신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되었다.
지금도 나는 무언가를 배울 때 누군가에게 가르침을 받기 보다는 책을 통하여 먼저 배우고 나서 그 다음 내가 익혀야 할 것들을 찾고 있다. 다른 사람을 관찰하기보다는 책을 통한 간접경험을 선호하는 편인데 이 또한 책을 통하여 내가 이해를 하게 되고 나면 내가 곧 그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 분야의 책을 대략 20여권 정도 읽고 나면 그 분야는 그냥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편이다.
이러한 자기효능감은 자기개발 서적들에서는 끊임없이 인용되곤 한다. 어떠한 일을 구체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한 번에 큰 결과물을 가지려 하지 말고 자신이 해낼 수 있는 작은 일들부터 하나씩 하나씩 성공경험을 쌓아가라는 말이다. 작심삼일은 나쁘지 않다. 작심삼일을 하고 실패하면, 다시 작심삼일을 해 나가면 끊임없는 향상을 이루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심삼일이 성공의 요소로 작용하기 힘든 이유는 작심삼일은 성공의 경험이 아닌 실패의 경험이기 때문이다. 작심을 한 후 삼 일 후에 실패를 하게 되고, 이러한 경험이 계속해서 쌓이게 되면 좌절과 절망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성공도 습관이며 실패도 습관이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가지기 위해서 작은 성공들을 쌓고, 그 작은 성공이 쌓여서, 행동이 되고 그 성공하는 행동들을 통하여 타인이 나를 칭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순환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사람은 밥만 먹고 사는 것이 아니라 칭찬을 먹고 살아간다고 생각한다. 나의 행동이 타인의 칭찬으로 이어질 때 자신에 대한 확신이 강해지고 자아 정체성이 더욱 강화되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송대영, 최현섭 지음. 출판문화원. 2012
대학장구신강, 장기근, 명문당, 2005.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선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1998.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년)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
[2023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년]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학년도 2학기]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
인간행동과사회환경 2023년 2학기] 1. 인간행동에 관한 지식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