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단을 통해 정의가 요구하는 것을 실행한 사람을 구제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보인다. 법이 그를 구제할 테니 더는 스스로 고통 속으로 밀어 넣는 벌을 내리지 않도록 하려는 장치인 것 같다.
법실증주의가 정의를 인정하지 않으며 실정법만을 지키면 사회질서가 유지된다는 관점에 입각하기에 자연법과의 괴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괴리는 사회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며 같은 행위라도 사회의 분위기나 문화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 이에 시대가 바라보는 정의와 정의를 실행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시대나 가치관에 따라 도스토옙스키가 쓴 『죄와 벌』의 주인공처럼 살인을 저질렀음에도 이후 그가 한 행동이 선한 행동이 많았고 살인을 저지르게 된 목적 또한 금전적 부분이 아니었기에 그의 행동은 정의로운 행동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의 행동이 마땅히 옳은 행동이라 보지 않으며 이 같은 정의는 사회를 위한 정의가 아니라 그저 자기의 행동을 합법화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본다. 자신의 신념이 옳다고 여기기에 남을 해치는 행동을 한다면 사회는 올바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법실증주의와 자연법은 서로의 한계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변화가 따라와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도스토옙스키가 쓴 『죄와 벌』은 법실증주의와 자연법 사이에 나타나는 정의의 차이를 독자에게 던져주는 역할을 했으며 소설이라는 장르가 갖는 장점을 통해 이 시대가 반성해야 할 부분, 보완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가를 얘기하고 있다고 본다.
출처 및 참고문헌
도스토옙스키 저. 김성호 옮김(2000). 죄와 벌. 청목사
법실증주의가 정의를 인정하지 않으며 실정법만을 지키면 사회질서가 유지된다는 관점에 입각하기에 자연법과의 괴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괴리는 사회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며 같은 행위라도 사회의 분위기나 문화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 이에 시대가 바라보는 정의와 정의를 실행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시대나 가치관에 따라 도스토옙스키가 쓴 『죄와 벌』의 주인공처럼 살인을 저질렀음에도 이후 그가 한 행동이 선한 행동이 많았고 살인을 저지르게 된 목적 또한 금전적 부분이 아니었기에 그의 행동은 정의로운 행동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의 행동이 마땅히 옳은 행동이라 보지 않으며 이 같은 정의는 사회를 위한 정의가 아니라 그저 자기의 행동을 합법화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고 본다. 자신의 신념이 옳다고 여기기에 남을 해치는 행동을 한다면 사회는 올바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법실증주의와 자연법은 서로의 한계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변화가 따라와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도스토옙스키가 쓴 『죄와 벌』은 법실증주의와 자연법 사이에 나타나는 정의의 차이를 독자에게 던져주는 역할을 했으며 소설이라는 장르가 갖는 장점을 통해 이 시대가 반성해야 할 부분, 보완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가를 얘기하고 있다고 본다.
출처 및 참고문헌
도스토옙스키 저. 김성호 옮김(2000). 죄와 벌. 청목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