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제목
실험목적
이론
실험장치 및 시약
실험방법 및 유의사항
추론
실험목적
이론
실험장치 및 시약
실험방법 및 유의사항
추론
본문내용
Mg2+(또는 0.1M-Mg-EDTA약 1ml)를 가하여 적정한 후, 총량으로부터 Mg2+에 상당하는 양을 빼면 된다.
추론
실험에서 사용된 EBT지시약은 pH6 이하에서는 붉은색을 띠고, pH 7과 11 사이에는 주로 푸른색을,그리고 pH 12 이상에서는 주황색을 띤다. 그런데 금속이온과 1:1의 안정한 착물을 만들면 붉은색을 띤다. 반응액에 먼저 EBT 지시약을 가하면 반응액중의 금속과 반응하여 지시약의 색은 붉은색을 나타낼것이다. EDTA 표준용액을 적가하면 Ca는 EBT보다 EDTA와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들기 쉬우므로 EBT에 결합되었던 금속은 EDTA와 결합하여 금속지시약이 유리되기 때문에 반응종점에서 용액의 색은 EBT 지시약 자체의 색인 푸른색으로 변화할것이다. 이때 푸른색으로 변하는 점이 종말점이다.
이 실험에 사용되는 지시약이나 시약을 정량하여 제조해야 오차가 줄어들 것 같다. 또한 지시약의 색 변화를 통해 종말점을 확인해야 하므로 완충용액을 많이 넣어 pH가 일정 범위 안쪽으로 유지되도록 하는게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 같다. pH에 따라 지시약의 변색이 달라지기 때문에 완충용액을 서서히 신중히 가하며 종말점을 확인해야 한다.
추론
실험에서 사용된 EBT지시약은 pH6 이하에서는 붉은색을 띠고, pH 7과 11 사이에는 주로 푸른색을,그리고 pH 12 이상에서는 주황색을 띤다. 그런데 금속이온과 1:1의 안정한 착물을 만들면 붉은색을 띤다. 반응액에 먼저 EBT 지시약을 가하면 반응액중의 금속과 반응하여 지시약의 색은 붉은색을 나타낼것이다. EDTA 표준용액을 적가하면 Ca는 EBT보다 EDTA와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들기 쉬우므로 EBT에 결합되었던 금속은 EDTA와 결합하여 금속지시약이 유리되기 때문에 반응종점에서 용액의 색은 EBT 지시약 자체의 색인 푸른색으로 변화할것이다. 이때 푸른색으로 변하는 점이 종말점이다.
이 실험에 사용되는 지시약이나 시약을 정량하여 제조해야 오차가 줄어들 것 같다. 또한 지시약의 색 변화를 통해 종말점을 확인해야 하므로 완충용액을 많이 넣어 pH가 일정 범위 안쪽으로 유지되도록 하는게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 같다. pH에 따라 지시약의 변색이 달라지기 때문에 완충용액을 서서히 신중히 가하며 종말점을 확인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