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TA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DTA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 목적
2.실험 이론
3.사용시약 정보
4.기구 및 시약
5.실험 방법
6.예비보고서

본문내용

(2) EDTA의 착물형성상수(KF)와 조건부 착물형성상수(KF’)의 정의와 차이점을 조사.
-> 착물형성상수(KF)는 금속과 리간드의 반응에 대한 평형 상수이다. 조건부 형성 상수는 어떤 조건에서 금속이온과 리간드와의 배위결합 이 형성되는 상수이다. 형성 상수는 Y4-와 금속 이온 간의 반응을 나타내 준다. 그러나 대부분의 EDTA는 ph10.37이하에서 Y4-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형성 상수 KF에 금속 이온과 결합 하지 않은 전체 EDTA 중 Y4-형으로 존재하는 분율인 αY4-를 곱한 kf’를 이용한다.
(3) 본실험에서 사용되는 지시약의 변색 범위와 시약의 구조식을 조사하시오.
-> Eriochrome Black T(C20H12N3NaO7S) : 우리 실험에서 지시약으로 사용됨.
분자량 461g/mol이며, PH6이하에서 적색을 나타내며 PH7~11에서 청색, PH12이상에서 오렌지색을 나타낸다. 금속 지시약으로 마그네슘, 칼슘, 아연 등의 EDTA에 의한 킬레이트 적정에 사용된다.
(4) 0.02M EDTA 1ml당 반응하는 CaCO3의 질량을 구하고, 이를 이용해 0.02M Na2H2Y 표준용액 factor 구하는 식을 유도하시오.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0.05.18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0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