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률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진행할 때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클 경우 경계면에서 전부 반사(100% 반사)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굴절률이 큰 매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진행하면 경계면에서 일부는 투과해 나가고 일부는 반사된다. 그러나 입사각을 점점 증가시키면 특정한 각 이상이 되었을 때 투과하는 빛은 전혀 없고 전부 경계면에서 반사한다. 이것을 전반사라고 하며, 이 때의 입사각을 임계각(臨界角)이라고 한다. 아래 그림에서 A, B, C 광선의 경우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해 나가지만 D의 경우에는 밖으로 투과해 나가는 광선이 전혀 없다. 이 때의 입사각이 임계각이다. 입사각이 임계각 θc가 되었을 때 굴절각이 90˚가 된다.
-렌즈 공식이란??
구면 거울과 렌즈의 공식굴절의 법칙절대 굴절률 : 진공에 대한 어느 물질의 굴절률→n진공ㆍ물질=n물질상대 굴절률 : 물질 1에 대한 물질 2의 굴절률→n12굴절률(n)굴절률이 n인 매질에서의 광속도(c\')굴절률 n인 매질에서의 빛의 파장(λ\')임계각(θc)① 빛이 굴절률 n인 매질에서 진공(근사적으로 공기)으로 진행할 때의 임계각② 빛이 굴절률 n2인 매질에서 n1인 매질로 진행할 때의 임계각
-렌즈 공식이란??
구면 거울과 렌즈의 공식굴절의 법칙절대 굴절률 : 진공에 대한 어느 물질의 굴절률→n진공ㆍ물질=n물질상대 굴절률 : 물질 1에 대한 물질 2의 굴절률→n12굴절률(n)굴절률이 n인 매질에서의 광속도(c\')굴절률 n인 매질에서의 빛의 파장(λ\')임계각(θc)① 빛이 굴절률 n인 매질에서 진공(근사적으로 공기)으로 진행할 때의 임계각② 빛이 굴절률 n2인 매질에서 n1인 매질로 진행할 때의 임계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