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20mL)를 첨가한다.
4. 나머지 빈 부분의 용적은 희석수로 가득 채우고, 공기가 갇히지 않게 마개를 닫는다.
5. 1개의 BOD병은 바로 DO를 측정한다.
6. 나머지 3개의 BOD병은 20±1℃에서 5일간 배양한다.
7. 산소의 소비량이 40~70% 범위의 것을 택하여 DO를 계산한다.
8. BOD 계산
① 식종하지 않은 시료의 BOD
BOD(mg/L) = (D1 - D2) × P
② 식종한 시료의 BOD
BOD(mg/L) = (D1 - D2) - (B1 - B2) × f] × P
D1 = 희석시료(=시료+식종희석수)를 조제해서 15분 후의 용존산소량(mg/L)
D2 = 부란 후의 희석시료의 용존산소량(mg/L)
B1 = 부란 전의 식종희석수의 용존산소량(mg/L)
B2 = 부란 후의 식종희석수의 용존산소량(mg/L)
P = 희석배수 =
시료(sample) + 희석수(dilution) mL
희석시료(sample) mL
f = 식종비 =
D1 에서의 식종 %
=
식종희석수 내의 식종수
× 100
희석시료
B1 에서의 식종 %
식종수
× 100
석종희석수
6. 참고문헌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네이버 블로그,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mjh1373&folder=1&list_id=14047297』
『단국대 이러닝 위생공학실험 자료실, http://lms.dankook.ac.kr/index.jsp』
『K-water 공식 블로그 맛있는 수다, http://www.blogkwater.or.kr/624』
4. 나머지 빈 부분의 용적은 희석수로 가득 채우고, 공기가 갇히지 않게 마개를 닫는다.
5. 1개의 BOD병은 바로 DO를 측정한다.
6. 나머지 3개의 BOD병은 20±1℃에서 5일간 배양한다.
7. 산소의 소비량이 40~70% 범위의 것을 택하여 DO를 계산한다.
8. BOD 계산
① 식종하지 않은 시료의 BOD
BOD(mg/L) = (D1 - D2) × P
② 식종한 시료의 BOD
BOD(mg/L) = (D1 - D2) - (B1 - B2) × f] × P
D1 = 희석시료(=시료+식종희석수)를 조제해서 15분 후의 용존산소량(mg/L)
D2 = 부란 후의 희석시료의 용존산소량(mg/L)
B1 = 부란 전의 식종희석수의 용존산소량(mg/L)
B2 = 부란 후의 식종희석수의 용존산소량(mg/L)
P = 희석배수 =
시료(sample) + 희석수(dilution) mL
희석시료(sample) mL
f = 식종비 =
D1 에서의 식종 %
=
식종희석수 내의 식종수
× 100
희석시료
B1 에서의 식종 %
식종수
× 100
석종희석수
6. 참고문헌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
『네이버 블로그,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mjh1373&folder=1&list_id=14047297』
『단국대 이러닝 위생공학실험 자료실, http://lms.dankook.ac.kr/index.jsp』
『K-water 공식 블로그 맛있는 수다, http://www.blogkwater.or.kr/62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