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case study+문헌고찰_장폐색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case study+문헌고찰_장폐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7일째(7/17)까지 color: 녹색]
4. 매일 2,500m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5. 대상자에게 금식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6. 대상자와 가족에게 변비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교육하였다.
평가(Evaluation)
금식이 해제된 후 규칙적인 식사, 운동을 시행하고, 물을 많이 섭취하였다.
복부마사지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복부 불편감이 조금 줄었다고 이야기 하였다.
#3 전신허약감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
(Assessment)
S : “토를 했더니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워.”, “못 서 있겠어.”, “어지러워 토할 것 같아.”, “밥을 조금만 먹어도 3~4번 설사를 해. 힘들어서 못 움직이겠어.”
O :
-디아제팜주사액: 경련발작 또는 간질 중첩상태/부작용: 때때로 졸음, 휘청거림, 어지러움, 보행실조, 두통, 요실금, 언어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의사 회진: 신경과약 복용으로 어지러움 증상 나타날 수 있음. 수액과 PO처방함.
날짜
7/11
7/12
7/13
Intake
-
2785
2285
Output
-
905(+1880)
800(+1485)
Stool
-
-
-
vomiting
1(455cc)
1(515cc)
1(30cc)
- AGE : 90, 과거력: 10년 전 파킨슨병
항목
척도
평가점수
07-11
낙상력
(3개월 이내)
없음
0
v
있음
25
이차진단
(부진단)
주진단만 있음
0
주진단 외 이차진단(부진단) 있음
(완치된 진단 제외)
15
v
보행보조기구
사용안함/ ABR / Bed ridden 휠체어 사용/ 사람의 도움필요
0
v
목발/ 지팡이/ 보행기 사용
15
보행보조 목적의 보조기 이외의 주변 기물. 기구를 잡고 보행(IV Pole 포함)
30
Heparin rock
정맥수액요법
없음
0
있음
20
v
보행/이동
정상 보행(시선/ 균형/ 보폭유지)/ ABR/ Bed ridden
0
v
균형 및 시선 유지되나 보폭이 좁거나 기력이 저하됨
10
사람이나 기구의 도움없이 보행이 불가능한 사람, 시선 및 균형 유지 불가능, 의족 사용, 파킨슨 보행
20
v
정신상태 및
이행도
의식 명료하며 자신의 기능 수준을 알고 지킴
0
v
의식이 명료하지 않거나 자신의 기능 수준을 지키지 않음
15
총점
55
점수
0~24점: 낙상의 위험 없음./ 25~50점: 낙상의 위험 낮음./ 51~125점: 낙상의 위험 높음.
RBC
2020.07.11.
3.7 ▼
4.2~6.3
▲ 진성다혈구증, 탈수, shock,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 각종 빈혈, 골수기능부전, 급성감염증
2020.07.13.
2.81 ▼
2020.07.18.
2.97 ▼
2020.07.22.
2.73 ▼
2020.07.27.
2.61 ▼
Hb
2020.07.11.
11.6 ▼
13~17
▲ 적혈구 증다증, 탈수, shock,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흡연, 만성순환장애, 만성호흡장애
▼ 빈혈, 백혈병
2020.07.13.
8.8 ▼
2020.07.18.
9.4 ▼
2020.07.22.
8.7 ▼
2020.07.27.
8.2 ▼
Hct
2020.07.11.
34.1
38~54
▲ 다혈구혈증, 선천성 심질환, 고산병
▼ 빈혈, 출혈, 간경변증
2020.07.13.
26.3 ▼
2020.07.18.
27 ▼
2020.07.22.
24.9 ▼
2020.07.27.
24.6 ▼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3 전신허약감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목표
(Nursing goals)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어지럼증이 없다.
2.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걷는데 불편함이 없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이 이내 어지럼증으로 인해 손상을 입지 않는다.
2. 대상자는 14일 이내 보조기구 사용하지 않고 보행할 수 있다.
간호계획
(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어지럼증의 원인을 사정한다.
2. 하루 구토와 설사 빈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휴식시간을 충분히 제공한다.
4. 대상자가 침상에서 일어나 나올 때 돕도록 한다.
<교육적 계획>
5. 어지럼증으로 인한 신체손상을 예방한다.
6. walker 사용법을 교육한다.
빈혈로 인해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다.
2. 구토와 설사의 빈도를 측정하여 허약감을 살펴볼 수 있다.
3. 충분한 휴식은 신체기능을 증진시킨다.
4. 대상자의 안전을 보장하여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5. 어지럼증이 있을 경우 낙상의 위험이 따른다.
6. walker를 잘못 사용할 경우 신체손상을 입을 수 있다.
간호수행
(Nursing intervention)
빈혈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혈액수치를 확인하였다.
RBC
2020.07.11.
3.7 ▼
4.2~6.3
▲ 진성다혈구증, 탈수, shock,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 각종 빈혈, 골수기능부전, 급성감염증
2020.07.13.
2.81 ▼
2020.07.27.
2.61 ▼
Hb
2020.07.11.
11.6 ▼
13~17
▲ 적혈구 증다증, 탈수, shock,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흡연, 만성순환장애, 만성호흡장애
▼ 빈혈, 백혈병
2020.07.13.
8.8 ▼
2020.07.27.
8.2 ▼
Hct
2020.07.11.
34.1
38~54
▲ 다혈구혈증, 선천성 심질환, 고산병
▼ 빈혈, 출혈, 간경변증
2020.07.13.
26.3 ▼
2020.07.27.
24.6 ▼
2. 구토와 설사 빈도와 양상을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3. 환자의 휴식이 방해받지 않는 시간에 간호 수행하였다.
4. 주변에 넘어질 수 있는 물건이 있는지 확인하고, 환경을 정리하였다.
5. 대상자의 침상난간을 올려주고 항상 올리고 있도록 교육한다.
6. walker 사용법을 확인하고, 잘못된 방법을 교정하였다.
평가(Evaluation)
입원 후 7일째부터 어지럼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침상난간을 항상 올리고 있다.
III. 참고문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p420-422, 현문사, 서울
2.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205-248, 서울
3.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https://nedrug.mfds.go.kr/index
  • 가격4,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4.02.17
  • 저작시기202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1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