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집단상담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집단상담의 각 단계(초기, 과도기, 작업, 종결)에 대한 특징을 기술하시오.
당신이 상담자라면 집단상담의 필수적인 요소인 응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지 자신의 생각을
기술하시요.
2. 집단상담의 각 단계(초기, 과도기, 작업, 종결)에 대한 특징을 기술하시오.
당신이 상담자라면 집단상담의 필수적인 요소인 응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지 자신의 생각을
기술하시요.
본문내용
기존의 멤버로만 진행을 이어나갈 폐쇄집단으로 진행할 것인지, 구성원이 빠지면 충당을 하는 개방집단으로 진행을 할 것인지 미리 계획을 해 놓는 것도 집단 응집력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집단상담시 어떤 문화가 사람들에게 깊이가 있으면서 편안함을 주는가에 대한 고민을 해 봐야 할 것이다. 상담시 자기 개방의 경우도 집단원이 돌아가면서 말을 하게 하는 것은 강제적으로 자기 이야기를 하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솔직한 오픈과 솔직한 피드백이 형성되도록 먼저 나의 이야기를 개방하거나 발표자를 격려함으로 집단상담 초기 과정을 강제적이지 않는 분위기로 이어나가고자 한다. 또한 지금 여기에 활성화를 잘 이해해야 한다. 어색한 첫 분위기를 위해 바깥이나 과정의 이야기를 하는 집단원에게 지금 이야기를 이끌어 낼 수 있게 한다. 추상적이고 막연한 이야기를 하게 되면 왜 그러한 주제로 흘러갔는지, 추상적인 이야기를 구체적인 이야기로 이끌어 갈 필요가 있다. 추상적인 이야기는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이야기는 개별적인 이야기로 이끌어 내는 순간순간의 전환이 관심을 지금 여기로 모이도록 하여 응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집단원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몇 몇 사람들끼리의 동맹구축이나, 주의를 끄는 행동을 하는 집단원, 책임감이 결여되어 협동하지 않은 집단원, 힘을 과시하는 집단원의 행동들을 관심을 가지고 살피어 집단상담에 저해되는 요소들을 잘 관찰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보다는 ‘우리’라는 개념은 유대감을 상승 시킬 수 있으므로 집단의 목표나 가치가 들어날 수 있는 팀 구호 또는 응원동작을 만들어 활동 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활용해 본다. 쉬는 시간을 이용하여 간단한 다과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부담 없이 서로를 개방하거나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간단하게 차 한 잔을 하며 나누며 자기소개로 시작하여 집단상담을 참여하게 된 계기 및 참여 소감까지 대화로도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여긴다.
상담을 시작할 시 몸 풀기 게임이나 노래 한 곡 같이 부르기, 유머가 섞인 퀴즈 풀기 등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 선에서 긴장감이나 거부감을 줄일 수 있게 몸과 마음의 긴장해소를 위한 워밍업 단계를 갖는 것도 집단원간의 친밀감 형성을 위해 도움이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응집력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여긴다. 마지막으로 가장 기본적인 자세이며 가장 중요한 부분인 집단원의 상담내용과 고민거리를 진중한 자세로 마음으로 공감하며 듣는 자세를 보여 주는 것이다. 마음을 다하는 경청은 상대방에도 신뢰를 형성하여 마음을 열수 있도록 하는 길이라고 본다. 또한 집단상담에서는 권위적인 리더십을 발휘하여 다수의 집단원을 일률적으로 통제하기 보다는 집단 상담에 필요한 실천사항이나 규칙들을 결정하고, 집단원 사이에 문제 발생 시 조율의 입장에서 의견을 제시하여야 할 때 또는 결정단계에 있어 일방적인 결정권을 행사하기 보다는 모든 참여자의 의견을 민주적으로 듣고 결정하는 상담자의 자세를 갖추도록 할 것이다.
또한 집단상담시 어떤 문화가 사람들에게 깊이가 있으면서 편안함을 주는가에 대한 고민을 해 봐야 할 것이다. 상담시 자기 개방의 경우도 집단원이 돌아가면서 말을 하게 하는 것은 강제적으로 자기 이야기를 하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솔직한 오픈과 솔직한 피드백이 형성되도록 먼저 나의 이야기를 개방하거나 발표자를 격려함으로 집단상담 초기 과정을 강제적이지 않는 분위기로 이어나가고자 한다. 또한 지금 여기에 활성화를 잘 이해해야 한다. 어색한 첫 분위기를 위해 바깥이나 과정의 이야기를 하는 집단원에게 지금 이야기를 이끌어 낼 수 있게 한다. 추상적이고 막연한 이야기를 하게 되면 왜 그러한 주제로 흘러갔는지, 추상적인 이야기를 구체적인 이야기로 이끌어 갈 필요가 있다. 추상적인 이야기는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이야기는 개별적인 이야기로 이끌어 내는 순간순간의 전환이 관심을 지금 여기로 모이도록 하여 응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집단원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몇 몇 사람들끼리의 동맹구축이나, 주의를 끄는 행동을 하는 집단원, 책임감이 결여되어 협동하지 않은 집단원, 힘을 과시하는 집단원의 행동들을 관심을 가지고 살피어 집단상담에 저해되는 요소들을 잘 관찰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보다는 ‘우리’라는 개념은 유대감을 상승 시킬 수 있으므로 집단의 목표나 가치가 들어날 수 있는 팀 구호 또는 응원동작을 만들어 활동 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활용해 본다. 쉬는 시간을 이용하여 간단한 다과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부담 없이 서로를 개방하거나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간단하게 차 한 잔을 하며 나누며 자기소개로 시작하여 집단상담을 참여하게 된 계기 및 참여 소감까지 대화로도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여긴다.
상담을 시작할 시 몸 풀기 게임이나 노래 한 곡 같이 부르기, 유머가 섞인 퀴즈 풀기 등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 선에서 긴장감이나 거부감을 줄일 수 있게 몸과 마음의 긴장해소를 위한 워밍업 단계를 갖는 것도 집단원간의 친밀감 형성을 위해 도움이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응집력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여긴다. 마지막으로 가장 기본적인 자세이며 가장 중요한 부분인 집단원의 상담내용과 고민거리를 진중한 자세로 마음으로 공감하며 듣는 자세를 보여 주는 것이다. 마음을 다하는 경청은 상대방에도 신뢰를 형성하여 마음을 열수 있도록 하는 길이라고 본다. 또한 집단상담에서는 권위적인 리더십을 발휘하여 다수의 집단원을 일률적으로 통제하기 보다는 집단 상담에 필요한 실천사항이나 규칙들을 결정하고, 집단원 사이에 문제 발생 시 조율의 입장에서 의견을 제시하여야 할 때 또는 결정단계에 있어 일방적인 결정권을 행사하기 보다는 모든 참여자의 의견을 민주적으로 듣고 결정하는 상담자의 자세를 갖추도록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집단상담의기초 청, 교3 목차 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집단상담 이론은?(10점) - ...
[2022 집단상담의기초][기말시험] 1. 집단상담의 과정을 초기, 과도기, 작업, 종결단계로 구...
(2022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집단상담의기초, 과제형) 1. 집단상담의 과정을 초기, 과도기, ...
[집단상담의기초] 2022년 기말시험 과제물, 1. 집단상담의 과정을 초기, 과도기, 작업, 종결...
[집단상담의기초] 2022년 기말시험 과제물, 1. 상담의 과정을 초기, 과도기, 작업, 종결단계...
집단상담의기초
[집단상담의기초] 2022년 기말시험 과제물, 1) 집단상담의 과정을 초기, 과도기, 작업, 종결...
[집단상담의기초] 2022년 기말시험 과제물, 1) 집단상담의 과정을 초기, 과도기, 작업, 종결...
방송대_22학년도2학기 기말시험)_집단상담의기초(공통) - 집단상담, 집단상담의 과정, 집단상...
방송대_22학년도2학기방송대_22학년도2학기 출석수업과제물)_집단상담의기초(공통) - 집단상...
소개글